160 likes | 614 Views
집진설비에 의한 공기질 개선. 토목환경시스템공학과 2100932 민경원. 목차. 배경 및 목적 집진시설 소개 및 원리 ( 각 용도별 사용 예시 ) 각 시설별 집진효율 산정 결론. 배경 및 목적. 각 집진시설별 원리 파악 집진시설별 효율 산정 시설별 집진장치 적용 사례. 원심력 집진 설비. Cyclone 가스의 선회를 가속에 의한 원심력을 이용 기체로부터 고체의 입자를 분리
E N D
집진설비에 의한 공기질 개선 토목환경시스템공학과 2100932 민경원
목차 • 배경 및 목적 • 집진시설 소개 및 원리 (각 용도별 사용 예시) • 각 시설별 집진효율 산정 • 결론
배경 및 목적 • 각 집진시설별 원리 파악 • 집진시설별 효율 산정 • 시설별 집진장치 적용 사례
원심력 집진 설비 • Cyclone • 가스의 선회를 가속에 의한 원심력을 이용 • 기체로부터 고체의 입자를 분리 • 다소 효율이 낮은점은 있으나 입자가 큰 경우에는 높은 효율을보인다. 처리가스량의 범위는 3㎥/min 이상에 적용된다. • Multi-clone • 멀티콘은 많은 소구경의 사이클론을 병열연결 • (공통 가스유입구와 유출구 사용) • 구조상 단독 사이클론보다 길이가 더 길고 직경이 더 작음 • (효율면에서 단독 사이클론 보다 효율적)처리가스량의 범위는 7㎥/min 이상에 적용된다
여과식 집진 설비 • 여과포로 분진을 함유한 배출가스를 여과(테프론, 유리섬유 사용) • 건식처리이므로 배출수 처리시설이 불필요 • 압력손실은 100-200 mmAq로 비교적 큼 • 운전비과다, 높은 함수율 가스, 고온가스(200℃ 이상) 부적합 (소각처리시설에서는 보통 사용하지 않음 )
전기 집진 설비 전기집진기 공기중에 떠다니는 먼지에 전기를 띄게하여 음과 양이 서로 끌어당기는 원리를 이용하여 먼지를 수집후 제거하는 장치 전기집진기는 분진을 유발하는 시멘트공장이나 제철소, 화력발전소 등 다양한 곳에서 사용 • 방전극(-)에 고압전압을 보내 집진극(+)과 방전극(-)간에 전계를 형성한 후 전계속을 통과하는 gas중에 부유하는 미립자(dust)를 이온화시켜 분진을 포집하는 장치이다. • - 낮은 압력손실(10~30mm H₂O)- 고온 배가스의 처리가능(150~400℃)- 높은 집진효율 - 넓은 범위의 포집가능 입자크기(0.1㎛~50㎛이상)
세정식 집진 설비 • 액적, 액막, 기포 등에 의하여 함진 가스를 세정, 입자의 부착, 입자 상호의 응집을 일으켜 입자를 분리하는 장치 • 액적 등에 입자가 충돌하여 부착한다. • 미립자의 확산에 의하여 액적과의 접촉을 좋게 한다. • 가스의 증습에 의하여 입자는 상호 응집한다. • 입자를 핵으로 한 증기의 응결에 의하여 응집정을 증가시킨다. • 액막, 기포에 입자가 접촉하여 부착한다. 특징 ① 미세분진의 포집효율이 높고 2차 분진 처리 불필요. ② 고온, 고압가스취급 가능.(가스 폭발 위험감소) ③ 분진 및 가스(특히 습한 가스)동시 처리가능. ④ 설치비가 저렴하고(폐수처리 미설치시)설치공간이 적다. ⑤ 부식성가스. mist환수 가능. ⑥ Bed 및 Plates의 Plugging초래. ⑦ 폐수처리와 건습 Interface에서 고형화 문제. ⑧ 압력손실 및 동력이 높고 장치의 부식 및 침식가능.
집진 설비 소각시설 소규모 실내공기질 제어 유해가스(악취) 제거 중,대규모 산업시설 분진 제거 • 주어진 조건에 따라 선택(처리가스, 공정, 경제성등) • 두가지 이상 설비 복합적으로 사용(각 집진설비의 효율의 차이) 집진 시설의 설치 집진 시설 용도
유해가스(악취)제거 소각로 후단 설비-세정식과 여과식 병행(각 시설별 제거 인자가 다름) • 세정식(스크러버)-산성가스 처리율이 높다. -산성가스(HCI,SO2,HF등)를 알칼리세정수 로 흡수 및 액상화학 반응시켜 처리함. • 여과식(백 필터)분진 제거설비와 겸용이 가능하여 구성단순화 -중금속 제거 탁월 -활성탄 투입설비 겸용 -다이옥신 제거기능 우수 -미세분진 제거기능 우수
결론 • 전기집진기 성능 우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