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0 likes | 365 Views
내압용기 안전관리 요령. 2012. 03 .29. ENK CO.,LTD. 목 차. 1. CNG2 용기의 라이너 관련 사례 ------------------------- PAGE 3 2. CNG2 용기의 복합재 관련 사례 ------------------------- PAGE 10 3. CNG2 용기의 기타 결함 ------------------------------ PAGE 20
E N D
내압용기 안전관리 요령 2012. 03 .29 ENK CO.,LTD
목 차 1. CNG2 용기의 라이너 관련 사례 ------------------------- PAGE 3 2. CNG2 용기의 복합재 관련 사례 ------------------------- PAGE 10 3. CNG2 용기의 기타 결함 ------------------------------ PAGE 20 4. CNG2 안전관리 요령 -------------------------------- PAGE 22
1. CNG2 용기의 라이너 관련 사례 현상파악 확인 결과 : 사용 넥부 긁힘 용기 넥부에 결함으로 보이는 스크래치가 존재. 넥부에 존재하는 스크래치에 PT검사를 시행한 결과 CRACK(결함)이 아니라 표면 긁힘 자국임. ▶표면 긁힘이므로 용기의 안전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음. PT 검사 ▶버스 제조사 등에서 포장지 제거시 발생, 밸브 조임 확인을 위한 넥부에 표시한 자국 PAGE :3
현상파악 확인 결과 : 교체 심한 부식 인천지역에서 발견된 두부쪽 심한 부식 타사 용기 PAGE :4
현상파악 확인 결과 : 교체 라이너 패임 라이너에 깊이 0.5MM 이상 손상 발생시 교체 PAGE :5
현상파악 확인 결과 : 보수 후 사용 일반 부식 PAGE :6
현상파악 확인 결과 : 교체 틈새 부식 PAGE :7
※ CNG2 용기 부식의 안전성 검증 부식부위 결함 유부 확인 부식부위 두께 검증 시험용기: 2005년도 부식이 가장 심한 용기에 대해 시행 녹 부분만 고운사포로 제거후에 라이너 두께 측정 복합재 제거 전 복합재 제거 후 녹 부분만 제거를 위하여 고운 사포로만 녹을 제거한 후 MT, PT검사 진행 결과 부식부위 결함 없음. 용기 저부에 존재하는 부식을 제거한 라이너 두께가 평균 5.4mm로 기준두께인 4.3mm보다 약 25%정도 두꺼움 PT 검사 MT 검사 ▶부식을 제거한 라이너 두께가 기준설계보다 두꺼우므로 용기의 안전성에는 문제가 없음. PAGE :8
반복가압시험 (용기의 수명을 측정하기 위한 시험) 시험용기: 2005년도 부식이 가장 심한 용기에 대해 시행 시험용기: 2006년도 부식이 존재하는 용기에 대해 시행 현대 자동차사 시험진행 자료 (2009년) 한국가스안전공사 수집검사 자료 (2009년) 시험결과:11,364회 동안 반복 가압하여 누출 또는 파열 없음. (* 규격 KGS AC 412의 반복가압기준은 11,250회 이상) ▶ 약 5년을 버스에 장착 후 사용한 용기가 11,300회까지 반복시험을 견디므로, 부식이 용기의 안전성에 영향이 없음. 시험결과:11,734회 동안 반복 가압하여 누출 또는 파열 없음. (* 규격 KGS AC 412의 반복가압기준은 11,250회 이상) 반복 횟수 복합재 제거 PAGE :9
2. CNG2 용기의 복합재 관련 사례 현상파악 확인 결과 : 사용 복합재 갈라짐 복합재의 국부적인 원주방향의 갈라짐은 용기의 안전성에 안전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음. PAGE :10
현상파악 확인 결과 : 교체 복합재 응력 손상 길이방향 갈라짐 브라켓 [BRACKET] PAGE :11
현상파악 확인 결과 : 교체 길이방향 손상 PAGE :12
현상파악 확인 결과 : 사용 접촉 마모 현상 복합재 일부분이 접촉마모로 인하여 수지부분 손상 접촉마모가 E-GLASS를 손상시키는 깊이까지 진행된 것이 아니므로 용기의 안전성에 영향이 없음. 차체 일부분이 복합재와 접촉시 발생 *복합재 = E-GLASS+레진/부직포+레진으로 구성 *E-GLASS의 손상이 없으면 안전성에는 문제가 없음 단, 계속해서 접촉마모가 일어나면 동일부위가 E-GLASS까지 손상 될 수 있음. 1.25mm이하 사용가능 PAGE :13
현상파악 확인 결과 : 교체 복합재 마모 PAGE :14
현상파악 확인 결과 : 사용 수지 갈라짐 수지 갈라짐 이후 용기팽창 등이 없으면, 사용이 가능하나 지속적인 관찰 필요함 타사 용기 PAGE :15
현상파악 확인 결과 : 교체 용기 부분 팽창 PAGE :16
현상파악 확인 결과 : 사용 이물질 부착 PAGE :17
현상파악 확인 결과 : 사용 복합재 돌기 PAGE :18
현상파악 확인 결과 : 사용 변색 PAGE :19
3. CNG2 용기의 기타 사례 현상파악 확인 결과 : 사용 방수 테이프 손상 사용은 가능하나 보수후 사용이 필요함 PAGE :20
현상파악 확인 결과 : 사용 고무 패드 밀림 PAGE :21
현상파악 확인 결과 : 교체 인위적 손상 PAGE :22
4. 안전 관리 요령 차량 저부 관찰용 장비 또는 설비 필요 저상차량 관찰용 필요 ☞ 차량 저부에 묻은 먼지 등의 이물질 제거용 고압세척기와 밝은 조명은 필수 PAGE :23
용기 제조자에 의해 공급된 압력방출장치, 밸브 및 고정장치를 사용할 것. 용기에 부착된 부품을 임의로 분해하거나 조정하지 말 것. 용기 취급 또는 차량 운행 중 용기에 손상이 가지 않도록 할 것.( 손상의 기준은 재검사기준에 의하여 판단한다.) 용기에 손상이 발생하였을 경우나 충전시 이상음 또는 누설이 발생시 즉시 충전을 중지하고, 차량제조사 A/S 또는 검사기관에 통보한다. 사용 용기는 장착 후 36개월마다 재검사를 받아야 한다. 가스 충전은 기준압력으로 충전되어야 한다. 복합재 부분에 열화 또는 화학물질에 의한 손상이 가지 않도록 할 것. 용기 끝단부에 부착된 방수테이프의 임의 제거 및 손상이 가지 않도록 할 것. ( * 고압세척시 방수테이의 손상이 없도록 할 것) 용기의 표면에 부식및 손상에 영향을 주는 이물질은 주기적으로 제거가 되어야 한다. 점검시 이상 용기가 발견되면, 가스의 압력을 낮춘 뒤용기의 밸브를 잠그고 운행하거나. 차량의 운행을 중단시킨다. PAGE :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