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0 likes | 990 Views
차세대 학사정보시스템 구축. 홈페이지 웹표준 가이드. 단계명 : 설계. 시스템명 : 학생정보서비스 ( 홈페이지 ). 문서번호 : nKNOU-DEHP-05. 목차. 가 . 웹 표준 가이드라인 ……………………………………………………………………… 2 웹 접근성 정의 ……………………………………………………………………… 3 기술가이드라인 ……………………………………………………………………… 9 웹 표준 준수지침 ………………………………………………………………… 10
E N D
차세대 학사정보시스템 구축 홈페이지 웹표준 가이드 단계명 : 설계 시스템명 : 학생정보서비스(홈페이지) 문서번호 : nKNOU-DEHP-05
목차 가. 웹표준 가이드라인 ……………………………………………………………………… 2 • 웹 접근성 정의 ……………………………………………………………………… 3 • 기술가이드라인 ……………………………………………………………………… 9 • 웹 표준 준수지침 ………………………………………………………………… 10 • 접근성 시험 및 참조사이트……………………………………………………… 11
가. 웹 표준가이드라인 A. 웹 접근성 정의 1.1 W3C 정의 1)Web Accessibility Initiative (WAI)에서의 정의 1. 웹 접근성은 장애를 지닌 사람이 웹을 이용할 수 있는 것을 의미. 2. 장애를 가진 사람들이 웹 콘텐츠를 인지하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그 내용이 이해하기 쉬워야 하며, 견고성을 지녀야 웹 접근성이 있다고 보는 관점. 2)Web Content Accessibility Guidelines ( WCAG 2.0 )의 웹접근성 지침의 목적 1. WCAG 1.0기준과 달리 장애인의 실제적인 사용성에 초점을 맞춘 것이 가장 큰 특징. 2. 인터넷 기술의 발전 속도에 맞는 신기술 수용 부분까지 고려해서 제정. 3. 사용성이란 접근성의 확대된 개념으로 단순히 장애인이 웹에 접근하는 수준에서 한 걸은 더 나아가 인터넷을 직접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데 초점을 맞춤. 3) WCAG 2.0 가이드 라인 1. 인지성 - 정보와 사용자 인터페이스 요소는 그들이 인지할 수 있도록 사용자에게 표시될 수 있어야 한다. 1-1. 모든 텍스트가 아닌 콘텐츠에 대체 텍스트를 사람들이 원하는 인쇄, 점자, 음성, 기호 또는 간단언어들과 같은 형태로 제공해야 한다. 1-2. 시간에 기본한 미디어에 대한 대안을 제공해야 한다. 1-3. 정보와 구조 손실 없이 콘텐츠를 다른 방식 (예를들면 더욱 간단한 형태)들로 표현될 수 있어야 한다. 1-4. 사용자들이 보다 쉽게 보고 들을 수 있는 전경에서 배경을 분리한 콘텐츠를 만들어야 한다.
가. 웹 표준가이드라인 A. 웹 접근성 정의 2. 운용성 - 사용자 인터페이스 요소와 탐색은 운용 가능해야 한다. 2.1. 키보드로 모든 기능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2.2. 읽기 및 콘텐츠를 사용하는 사용자에게 충분한 시간을 제공해야 한다. 2.3. 알려진 방법으로 발작을 일으킬 수 있는 콘텐츠를 디자인하지 않아야 한다. 2.4. 사용자가 탐색하고, 콘텐츠를 찾고 그들이 어디에 위치해 있는지를 알 수 있도록 도와주는 방법을 제공해야 한다. 3. 이해성 - 정보와 사용자 인터페이스 운용은 이해할 수 있어야 한다. 3.1. 텍스트 콘텐츠를 판독하고 이해할 수 있도록 만들어야 한다. 3.2. 웹페이지의 운용을 예측 가능한 방법으로 제작해야 한다. 3.3. 사용자의 실수를 방지하고 수정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한다. 4. 내구성 - 콘텐츠를 보조기술을 포함한 넓고 다양한 사용자 에이전트에 의존되어 해석될 수 있도록 충분한 내구성을 가져야 한다. 4.1 보조기술을 포함한 현재 및 미래의 사용자 에이전트의 호환성을 극대화해야 한다. 1) 웹 접근성을 고려한 콘텐츠 제작 방법 1. 원칙, 지침, 검사 항목의 3단계로 구성. 2. 본 지침을 준수할 경우, 비장애인, 노인 등이 장애인, 젊은이 등과 동등하게 웹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인식하고, 이를 운영하고 이해할 수 있게 되는 것. 1.2 한국형 웹 콘텐츠 접근성지침 2.0
가. 웹 표준가이드라인 A. 웹 접근성 정의 • 2) 한국형 웹 콘텐츠 접근성 2.0 개요 ( KWCAG 2.0 ) • 1. 인식의 용의성 - 모든 콘텐츠는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어야 한다. • 1.1 대체 텍스트 • - 적절한 대체 텍스트 제공 : 텍스트 아닌 콘텐츠는 그 의미나 용도를 이해할 수 있도록 대체 텍스트를 제공 • 해야 한다. • 1.2 멀티미디어 대체 수단 • - 자막 제공 : 멀티미디어 콘텐츠에는 자막, 원고 또는 수화를 제공해야 한다. • 1.3 명료성 • - 색에 무관한 콘텐츠 인식 : 콘텐츠는 색에 관계없이 인식될 수 있어야 한다. • - 명확한 지시사항 제공 : 지시사항은 모양, 크기, 위치, 방향, 색, 소리 등에 관계없이 인식될 수 있어야 한다. • - 텍스트 콘텐츠의 명도 대비 : 텍스트 콘텐츠와 배경 간의 명도 대비는 4.5대 1 이상이어야 한다. • - 배경음 사용 금지 : 자동으로 재생되는 배경음을 사용하지 않아야 한다. • 2. 운용의 용의성 -사용자 인터페이스 구성요소는 조작 가능하고 내비게이션할 수 있어야 한다. • 2.1 키보드 접근성 • - 키보드 사용 보장 : 모든 기능은 키보드만으로도 사용할 수 있어야 한다. • - 초점 이동 : 키보드에 의한 초점은 논리적으로 이동해야 하며 시각적으로 구별할 수 있어야 한다. • 2.2 충분한 시간 제공 • - 응답시간 조절 : 시간제한이 있는 콘텐츠는 응답시간을 조절할 수 있어야 한다. • - 정지 기능 제공 : 자동으로 변경되는 콘텐츠는 움직임을 제어할 수 있어야 한다.
가. 웹 표준가이드라인 A. 웹 접근성 정의 • 2.3 광과민성 발작 예방 • - 깜빡임과 번쩍임 사용 제한 : 초당 3~50회 주기로 깜빡이거나 번쩍이는 콘텐츠를 제공하지 않아야 한다. • 2.4 쉬운 내비게이션 • - 반복 영역 건너뛰기 : 콘텐츠의 반복되는 영역은 건너 뛸 수 있어야 한다. • - 제목 제공 : 페이지, 프레임, 콘텐츠 블록에는 적절한 제목을 제공해야 한다. • -적절한 링크 텍스트 : 링크 텍스트는 용도나 목적을 이해할 수 있도록 제공해야 한다. • 3. 이해의 용이성 -콘텐츠는 이해할 수 있어야 한다.) • 3.1 가독성 • - 기본 언어 표시 : 주로 사용하는 언어를 명시해야 한다. • 3.2 예측가능성 • - 사용자 요구에 따른 실행 : 사용자가 의도하지 않은 기능(새 창, 초점 변화 등)은 실행되지 않아야 한다. • 3.3 콘텐츠의 논리성 • - 콘텐츠의 선형화 : 콘텐츠는 논리적인 순서로 제공해야 한다. • - 표의 구성 : 표는 이해하기 쉽게 구성해야 한다. • 3.4 입력 도움 • - 레이블 제공 : 입력 서식에는 대응하는 레이블을 제공 해야 한다. • - 오류 정정 : 입력 오류를 정정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 해야 한다.
가. 웹 표준가이드라인 A. 웹 접근성 정의 • 4. 견고성 -웹 콘텐츠는 미래의 기술로도 접근할 수 있도록 견고하게 만들어야 한다. • 4.1 문법준수 • - 마크업 오류 방지 :마크업 언어의 요소는 열고 닫음, 중첩 관계 및 속성 선언에 오류가 없어야 한다. • 4.2 웹 애플리케이션 접근성 • - 웹 애플리케이션 접근성 준수 : 콘텐츠에 포함된 웹 애플리케이션은 접근성이 있어야 한다.
가. 웹 표준가이드라인 A. 웹 접근성 정의 • 1.3 웹 접근성 및 정보통신 접근성에 • 대한 주요 정의
가. 웹 표준가이드라인 B. 기술 가이드라인
가. 웹 표준가이드라인 C. 웹 표준 준수지침 1.1 전자정부 웹 표준 준수지침 • - 목적 : 정부기관에서 홈페이지 구축 시 콘텐츠에 접근하려는 모든 사람들이 어떤 컴퓨터나 운영체제, 또는 • 웹 브라우저(web browser)를 사용하는 환경에 구애 받지 않고 홈페이지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 목적으로 한다. • - 본 지침은 공포 이후 정부기관에서 구축하는 모든 정보화 시스템 구축 사업의 계획 수립, 시스템 구축, 감리 등 • 전 단계에 적용한다. 다만, 관계법령에서 따로 정한 경우는 제외할 수 있다. 1.2 지침의 적용범위
가. 웹 표준가이드라인 D. 접근성 시험 및 참조사이트 1.1 웹 접급성 / 웹 표준화 관련단체 1.2 웹 접근성 / 웹 표준 테스트
가. 웹 표준가이드라인 D. 접근성 시험 및 참조사이트 1.3 웹 접근성 관련 표준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