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10

Consent of the Networked 제 1 회 스터디 발제

Consent of the Networked 제 1 회 스터디 발제. Part 1 Disruptions. Chapter 1. Consent and Sovereignty. 튀니지 활동가들은 유튜브 , 페이스북 , 트위터가 나오기 전 (2002 년 ) 부터 비디오 공유 플랫폼 등을 활용하여 디지털 활동을 해 왔음

naida-koch
Download Presentation

Consent of the Networked 제 1 회 스터디 발제

An Image/Link below is provided (as is) to download presentation Download Policy: Content on the Website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and may not be sold / licensed / shared on other websites without getting consent from its author. Content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only. Download presentation by click this link. While downloading, if for some reason you are not able to download a presentation, the publisher may have deleted the file from their server. During download, if you can't get a presentation, the file might be deleted by the publisher.

E N D

Presentation Transcript


  1. Consent of the Networked제1회 스터디 발제 Part 1 Disruptions

  2. Chapter 1

  3. Consent and Sovereignty 튀니지 활동가들은 유튜브, 페이스북, 트위터가 나오기 전(2002년)부터 비디오 공유 플랫폼 등을 활용하여 디지털 활동을 해 왔음  이에 대하여 튀니지 정부는 아랍에서 가장 정교한 감시 체제를 발전시켰음(DPI를 사용하여 네트워크를 다니는 모든 것을 필터링하고 추적함 – 정보 빼오기, 정보차단하기, 이메일 변환시키기, 비번 빼오기 등등)  그러나 튀니즈 혁명 이후 정권이 바뀌었음에도 튀니지 국가 보안국은 정부는 품위없고 폭력적 요소나 증오를 자극하는 표현이 있는 웹사이트를 차단하겠다고 밝힘  독재정권이 물러난 5 달후 정부는 많은 페이스북 페이지, 페이스북 그룹을 차단함  정부에 참여한 활동가 Amamou는 절망하여 사임함  활동가였던 Guerfali는 전에는 모든 것이 단순해서 나쁜 자와 착한 자가 구별될 수 있었지만 이제는 모든 것이 좀더 미묘하다고 코멘트 • 오늘날의 투쟁은 조지오웰이1984년과 다르다. 단순히 민주주의대 독재, 다른 이데올로기에 대한 어떤 이데올리기의 투쟁이 아니다. 다양한 지점에서 전쟁이 일어나고 있다. • 인터넷 플랫폼과 서비스는 시민들에게 정부에게 문제제기할 수 있게 해 줄 뿐 아니라 인터넷이 무엇인지 이해한 정부에게도 마찬가지의 능력을 준다. • 그래서 정보에 대한 접근과 커뮤니케이션이 인식하지 못하는 방법으로 조작될 수 있다. 정치적 혁신이 기술적 혁신을 따라 잡아야만 한다. Comment 의무교육이 항상 중요하다 민주주의만으로 말하기에는 ... 민주주의라는 말이 가지고 있는 추상성과 각자의 마음마다 다른 개념 때문에 사회의 다변화된 이해를 모두 반영할 수 없음. 

  4. Corporate Superpower 2011. 4. 버락오바마의 연설 “What Facebook allows us to do is make sure this isn’t just one way conversation --- 블라블라”  대통령 정치선거 캠페인의 페이스북 의존도가 높아지는 것이 미국인의 민주주의에 어떤 의미를 가지는가? 상호의존성이 높아지는 것은 공적 담론을 좀 더 미묘하게 조작할 수 있지 않는가?  실제로 facebook은 정치인들에게 영향력을 행사하고 다른 회사들을 이겨서 이익을 최대화하려고 노력하고 있음 (로비/ 정치인과 친해지기) 2011. 5.에 그런 취지의 발표문 (구글은2005년부터 그런 역할) 새로운 디지털 초권력의 등장은 전통적인 국가와 충돌하고 있음 2010. 3. Google 중국 검색엔진(google.cn)을 검열하는 것을 중단하고 중국으로부터의 공격 때문에 본토로부터 이전. 그러나 여전히 검색과 무관한 활동은 중국에서 계속 하고 있음 (왜냐하면 중국에서 구글 사용자들이 원했기 때문) : 중국내에서구글철수시 우리는 어떻게 사업하냐, 어떻게 정보를 얻냐는 등의 의견이 커서, 중국정부는 모든 구글서비스를 차단하는 명령을 내리지 않았음  새로운 국제 조직체들 :World Economic Forum - 기업주도형의 멀티스테이크홀더 모델  정부들은 강대해진 새로운 조직들에 대해서 그 힘 때문에 정확히 통제하기 위해서 노력하고 있음 어쨌든 민주주의 정부와 정책의 본래적 목적을 기억하자 – “시민의 이익을 위해 봉사하고 시민의 권리를 보호하는 것을 보장하는 것” Comment 멀티스테이크홀더리즘 체계를 둘러싼 최근의 이슈를 기업과 국가간의 권한다툼으로 이해할 수도 있겠군. 버뜨 이용자 개념을 본래의 이용자 개념을 보면 이 문제는 큰 문제가 아닐 수도 있지 않을까. 음 ... citizen과 private sector를 나누는게 바람직한지 잘 모르겠다. 그동안 고민을 안 해 왔던 부분들이 엄청 헷갈리는 느낌. /

  5. Legitimacy 마그나카르타, 청교도 혁명당시의 수평파들이 지향했던 것 • 피지배자들의 동의(the consent of the governed) • 네트워크되는 자들의 동의 (the consent of the networked) • 민주주의는예의바르게 요구하는 사람들에 의하여 발전하지 않는다. 정부와 사기업의 권력에 대한 의미있는대항마: 디지털 커먼스 Comment 신기한 것은우리나라에서 나오는 책들은 그 기원을 저 멀리 조선시대나 고려시대 또는 중국왕조나 일본왕조까지 안 가는데 서양애들은 유럽에서 발생한 것은 다 가져다 쓴다. 그만큼 왕래가 되던 문화통일체였기 때문에 가능한 것이었을까. 우리나라나 중국의 역사에서는 이런거에 빗대어 가져다 쓸 수 있는 게 없는 것일까. 아니면 실패한 운동에 대한 평가가 박해서 가져다 쓸 수 없는 것일까. 진짜 의문이다. “피지배자”로 번역하는게 맞는 걸까? 피지배와 네트워크당하는자.. 쩜 어감이 안 좋음 (피동형) : 오늘날의 정치나 인터넷상의 참여와는 개념이 적합하지 않은 것 같음.

  6. Chapter 2

  7. Rise of the Digital Commons 2003년 Mullenweg오픈 소스 블로그퍼블리싱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WordPress를 런칭  중국에서 탄압받는 블로거Zola(가택연금됨/ 중국 서버 이용한 블로그는 차단되거나 삭제됨) : 돈이 없는 Zola는 워드프레스 소프트웨어로 블로그 운영, 전세계의 워드프레스 개발자 커뮤니티에서 모르는 것은 도와줌, 사람들이 익명으로 코멘트를 남길 수도 있음  공유경제, 디지털 커먼스: 인터넷이 혁명적이고 파괴적인 중요한 이유가 됨  알렉시스드 토크빌 “민주주의가 작동하는 중요한 열쇠는 활발한 시민사회였다”라고 결론 : 디지털 커먼스는 토크빌의 시민사회와 가상적인 등가물.  요하이벤클러: 비전유적인 형태로 정보를 생산하는 개인들과 느슨한 연대체”가 없다면 인터넷이나 www는 없었을 것. 디지털 커먼스는 그들의 창작물을 자유롭게 공유하는 것을 선택한 사람들에 의하여 창조된 공학발명품, 소프트웨어, 디지털 미디어 콘텐츠로 구성된 광대하고 자라나는 우주이다.

  8. The Technical Commons TCP/IP 프로토콜, WWW,  IETF, ICANN 등 기구들. 그러나 최근 중국등은UN이 ICANN,IETF의 권한을 넘겨 받아야 한다고 로비를 해오고 있음. 이에 대하여 미국, 인권그룹, 중요 서방인터넷 기업들은 반대 Google(public stand) : 그러나 대부분의 이용자들은 무슨 일이 일어나는지 모름  오픈 소프트웨어 운동 : GPL, Linux 인터넷이나 WWW가 가능한 기술적 표준은 디지털 커먼스의 핵심 내용

  9. Activism 튀니지에서는 2000년부터 온라인 운동이 실험적으로 시작 (온라인 매거진)  2004년부터 WordPress기반의 Nawaat.org 웹 사이트를 만들어 자스민혁명기간동안 정보제공 허브로써 중요한 역할을 함 (CC License 활용) : 새로운 서비스가 나올 때마다 운동에 적용해봄 :그러나 그들 스스로 완전히 통제할 수 있는 그들 자신의 플랫폼에 자료를 집적해야 한다는 소중한 교훈을 배움; Nawaat의 YouTube채널은 누군지 알 수 없는 누군가에 의한 신고에 의하여 동결됨 / Nawaat팀의페북 아이디는 실명을 스지 않는다는 이유로 신고됨 이집트에서는 오픈 소스 퍼블리싱 소프트웨어 Drupal을 통해서 정치 블로거들의 포스트를 모은 웹사이트를 구축함  2008년 Arab Techies Collective가 만들어짐 : 아랍 운동에 필요한 오픈소스 운동을 하여 오고 있음 & 미국, 유럽, 아시아에서의 개발자 커뮤니티간의 관계를 발전시킴 : 블로그가 정부에 의하여 해킹당사거자 차단당할 때 블로거는 이제 누구를 찾아서 문제를 해결하는지 알 수 있게 됨  Arab Digital Commons

  10. Balace of Power 새로운디지털 시민사회는 누가 옳고 그름을 정할 수 있는가?  소수, 기술을 잘 모르는 사람들, 무고한 사람들의 권리를 보호할 필요; 민주적 정부에 대한 필요 : 다국가적 기업은 계속 팽창하고 성장하면서 시민들을 착복 : 정부 – 기업에 대한 균형추로서 시민 커먼스가 필요하다.  기술을 적극적으로 조작하는 것을 적극적으로 배운 극단적인 나라는 중국: 중국의 디지털 커먼스는 정부, 그리고 private sector의 부패와 직접적인 도움으로 공격받거나 조작되고 있다. 정부 – 기업에 대한 균형추로서 시민 커먼스가 필요하다. comment 비슷한 의문은 오래전부터 내 가슴에 있던 것이지만 여전히 풀리지 않고 있다. 사실 그래도 "가르친다, 교육, 계몽" 의 개념이 바람직하지 않다는 생각이 든다. 아직까지 잠정적인 결론은 "결국 관심있는 사람들이 제기하는 목소리가 이용자의 목소리다" 이지만... 논리적으로는 여전히 해결되지 않는 부분이 있다. 아직까지 인류에게는 여러 조건이 아직 정리되지 않았기 때문에 목소리를 내지 않는다고 아이디어가 없다고 볼 수는 없다는 점이다. 음... .... 이 책이 이 질문에 대한 답을 준다면 대충 주지 않았으면 좋겠다.

More Rel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