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0 likes | 688 Views
한국 농업의 구조변화와 현황. 국가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 1. 농경지 면적 ( 천 ha, %). 기타 : 도로 , 하천 , 주택용지 , 공장용지 등. 산림 제외한 용도별 면적과 비중 ( 천 ha, %). 최근 자료가 없어 2006 년 자료를 제시한 것임. 2. 작목별 경지 이용 면적 ( 천 ha, %): 생산에 실제 이용되는 면적. 2 모작이 있어 농경지 면적과 작목별 경지 이용면적의 합이 같지 않음.
E N D
국가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 1. 농경지 면적(천 ha, %) 기타 : 도로, 하천, 주택용지, 공장용지등
산림 제외한 용도별 면적과 비중(천 ha, %) 최근 자료가 없어 2006년 자료를 제시한 것임
2. 작목별 경지 이용 면적(천 ha, %): 생산에 실제 이용되는 면적 2모작이 있어 농경지 면적과 작목별 경지 이용면적의 합이 같지 않음
채소 : 배추(3.6만 ha), 무(2.3만 ha), 고추(4.3만 ha), 마늘(2.4만 ha), 양파(2.3만 ha) 과실 : 사과(3.1만 ha), 배(1.5만 ha), 복숭아(1.3만 ha), 감귤(2.1만 ha) 포도(1.8만 ha) 벼 재배면적이 월등히 많고, 다른 품목의 경우에는 그리 많지 않음 벼 재배면적이 감소하면 다른 작목의 공급이 급격히 증대되어 다른 작목들의 가격이 폭락할 가능성이 있음
3. 취업자 및 국민소득에서 차지하는 비중 농림어업 취업자 : 전체 취업자(2,315만 명)의 약 7.7% 농업 : 국민 총소득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약 3.1% 4. 인구 및 가구수 비중 단위 : 천명, 천호, %
5. 국가 전체 총지출에서 차지하는 비중 보건복지 : 92.6조원(28.3%) 일반공공행정 : 55.1조원(16.8%) 교육 : 45.5조원(13.9%) 국방 : 33조원(10.1%) SOC : 23.1조원(7.1%) 농림수산식품 : 18.1조원(5.5%) R&D : 16조원(4.9%) 산업,중소기업,에너지 : 15.1조원 공공질서, 안전 : 14.5조원 환경 : 6조원 문화,체육, 관광: 4.6조원 외교통일 : 3.9조원 총 : 327.5조원(100%) 출처 : 기획재정부, “나라살림”
6. 수출입에서 차지하는 비중(억 $) 농림수산물 수지의 적자가 큰 상황이고, 앞으로 더욱 증대될 전망
농가특성 1. 농가의 고령화(천명, %)
7. 농가별 경영규모(천호, %) 취미농 중간농 대농
0.5ha 이하의 소규모 농가의 수는 많지만 생산량 비중은 얼마 되지 않는다. 반면 3ha 이상의 대규모 농가의 수는 적지만 생산량 비중은 크다.
8. 경지규모별 농가소득(천 원/년, 2011년 자료) 규모가 클수록 농가소득이 증대 10ha이상은 0.5ha미만 농가의 2.27배 소득 규모화를 통해 소득을 증대시킬 수 있음
전국 가구 소득 평균 : 4,610만원/년 농가평균 소득 : 3,015만원/년 농가소득/전국가구소득 = 약 2/3 1인당 농가소득 : 전체가구의 85% 출처 : 통계청 website(2011년 자료)
농가제외 단위 : 만원, % 1인당 농가소득 : 전체가구의 85% 농가소득 정체 + 전국가구 소득 증대
9. 농가 자산과 부채(천 원) 지가 상승으로 부채비율이 감소 농가부채가 많다고 하더라도 자산대비 부채비율은 높은 것이 아님
농산물 소비의 변화추이 1. 쌀 소비량 감소추세 ’79년도 135.6kg 136.4kg ’76년도 120.1kg ’11년 : 71.2kg
1인당 쌀 소비량 벼 재배면적 ’06년 95.5만 ha ’79 : 135.6kg ’07 : 76.9kg 최근 2000-2010년 : 매년 2.5%씩 감소 소비량 감소로 재배면적이 약 2.1만 ha가 감소하여야 현재 수급유지
2. 육류 소비량 증대 미국산 소 광우병 영향
주요국의 1인당 육류 소비량(kg/년) 대만 : 육류 소비량 = 75.6kg
3. 과실과 채소 소비량 정체 교재 : 280쪽 : <그림 19-3> 채소 90년대 급격히 소비량 증대 2000년대는 증가추세 둔화 과실 90년대 초반에 쌀 공급과잉 벼 재배면적이 채소와 과실로 이동 시장충격이 크지 않고 조정이 되었음 최근 쌀 공급과잉 벼 재배면적이 채소와 과실로 이동이 어려움 시장충격이 크기 때문에 과잉해소가 되지 않고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