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29

“ 공학 교육 인증과 대책 “

“ 공학 교육 인증과 대책 “. 2004. 8. 26. ( 목 ) 서울 공대 공학교육 연구센터 , 호암생활관 김 병 식 ( 동국대 교수 ) 공학교육인증원 인증사업단장 ,. 공학교육 환경의 변화. 기업의 요구 강화 : 다양화 , 세계선도기업 등장 , 창의력 , 영재 , 국제인력화 , 주문식 교육 , 팀웤 , 의사소통능력 등 학생 취향 : 전통학문 기피 , 평생직장 사회의 변화 : 다양성의 사회 , 지식정보화 사회

miyo
Download Presentation

“ 공학 교육 인증과 대책 “

An Image/Link below is provided (as is) to download presentation Download Policy: Content on the Website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and may not be sold / licensed / shared on other websites without getting consent from its author. Content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only. Download presentation by click this link. While downloading, if for some reason you are not able to download a presentation, the publisher may have deleted the file from their server. During download, if you can't get a presentation, the file might be deleted by the publisher.

E N D

Presentation Transcript


  1. “공학 교육 인증과 대책 “ 2004. 8. 26. (목) 서울 공대 공학교육 연구센터, 호암생활관 김 병 식 (동국대 교수) 공학교육인증원 인증사업단장,

  2. 공학교육 환경의 변화 • 기업의 요구 강화 : 다양화, 세계선도기업 등장, 창의력, 영재, 국제인력화, 주문식 교육, 팀웤, 의사소통능력 등 • 학생 취향 : 전통학문 기피, 평생직장 • 사회의 변화 : 다양성의 사회, 지식정보화 사회 • 국제 환경 : 공학 교육의 전문화와 세계화(Global Society) → 수요자 : 산업계 → what & how to be learned →what & how to be measurably learned

  3. 21세기 경제 패러다임의 변화와 산업기술인력의교육 • 21세기 : 새로운 공학/기술 시대, 선진국 장벽 • 세계 경제 운용의 새로운 틀 : WTO 뉴라운드/ FTA (자유무역협정)의 실시 중요 내용 국가간 엔지니어 상호인증. 전문직/서비스 분야의 국가간 자유 이동성 보장. 공학교육의 Global Standization

  4. 국제 엔지니어 체계도 NEW WTO ROUND DDA FTA NAFTA FEANI / EU APEC HRD EUR - Ing APEC Engineer NAFTA Engineer Washington Accord / ABET Sydney Accord and ETMF EMF – IR Professional Engineer International Registration of Professional Engineers

  5. “산업인력의 국가간 이동”과 관련 된International Agreements Washington Accord, an agreement for recognisng equivalence in accrediting engineering programmes for professional engineers (WA) Sydney Accord, an agreement for recognisng equivalence in accrediting engineering programmes for engineering Technologists(SA) Dublin Accord, an agreement for recognisng equivalence in accrediting engineering programmes for engineering technicians (DA)

  6. Cont’d APEC Engineer, an agreement amongst APEC countries for recognising equivalence of procedures and standards for asessing competence of Professional engineers(APEC) Engineers Mobility Forum, an agreement for recognising equivalence of procedures and standards for assessing competence of professional engineers(EMF) Engineers Technologists Mobility Forum,an agreed Memorandum of Understanding towards recognising equivalence of procedures and standards for assessing competence of professional engineers(ETMF).

  7. 5개 국제 협약 가입국 현황 SA ; Australia, Canada, Hong Kong, Ireland, New Zealand. South Africa, United Kingdom(7) DA ; Canada, Ireland, South Africa, United Kingdom(4) EMF ; Australia, Canada, Hong Kong, Japan, Korea, Malaysia, New Zealand, South Africa, United Kingdom, United States of America(10) Apec Engineer ; Australia, Canada, Hong Kong, Japan, Korea, Malaysia, New Zealand, South Africa, United Kingdom, United States of America(10) ,태국(2003) FEISEAP=Federation Engineer Institute of South-East Asia-Pacific(한,중,일+10, 인도, 파키)15개국.. IEM2003에서 추진

  8. 제 국제 협약 들의 상관성 및 미국 공학교육 인증원(ABET)의 역할 : 기술사, 전문 엔지니어 Apec 엔지니어 제도 Engineer Mobility Forum (EMF) 국제 등록 기술사 제도 근 간 미국 공학 · 기술 교육 인증원 (ABET)에 기반을 둔 Washington Accord가 정한 대학공학 교육 프로그램의 실시를 전제 ABEEK Recognition of Equivalency of accredited engineering Education programs leading to the engineering degree

  9. 한국공학한림원 CEO 포럼 국제 기준과 교육시스템 Washington Accord 인증기준 시스템 요구사항 - 수요자 중심 교육 - C Q I 의 보장 • 학습성과 달성 및 평가에 기초한 교육 (12 + α) • 새로운 환경 적응에 필요한 엔지니어 소양교육 • 공학 교육 인증 제도 도입 - 전공 지식적 능력 - 문제 해결 능력 - 환경, 경제, 사회의 공학적 주제 해결 능력 • 의사전달 능력 • 평생교육 및 전문가 자질 개발 능력 • 윤리의식 • 동시대적 문제의 인지 능력

  10. 한국공학한림원 CEO 포럼 Washington Accord & Abet 전문 공학 교육 프로그램 (Pro. Eng. Degree Program) 의 인증기관들 간의 “공학 교육의 동등성 (Substantial Equivalency)”을 보장하기 위한 국제 협약. 1989년, NGO, 8개국(RS), 4개국(PS) 1989년 미국, 영국, 캐나다, 아일랜드, 호주, 뉴질랜드 1995년 남아프리카 공화국 1997년 홍콩 2001년 일본 (준회원국) 2003년 독일, 싱가폴, 말레이시아 (준회원국) 의장국 = 호주 (피터 그린우드) , 사무국 = 미국 (죠지 피터슨)

  11. 한국공학교육인증원(ABEEK) • ABET을 모델로 하여 1999. 8.설립 • 공학공동체에 의한 자발적 한국대표기구(NGO) • 전국공과대학장협의회, 한국공학기술학회, • 전문학회, 정부기관, 공학한림원, 산업체 등

  12. 인증제도의 목적 • 인증된 프로그램의 졸업생은 공학실무를 담당할 준비가 되어 있음을 보증 • 국제 인증을 위한 동등성 확보 • 공학교육에 새롭고 창의적인 접근방법을 고취 • 인증된 공학교육프로그램과 졸업생을 사회에 공지

  13. 이사장 감사 운영이사회 전국공과대학장 협의회 한국공학한림원 한국공학기술학회 원장 공학인증위원회 (EAC) 교육인적자원부 한국공학교육 인증원 (ABEEK) 산업체 부원장 과학기술부 공학관련 전문학회 산업자원부 한국공학교육연구센터 인증기준제정 평가단 구성 이 견 인 증 심 사 인증 사업단 교육 홍보부 대외 협력부 정책 개발부 사무처 전국공과대학 교육 프로그램별(학과별) 인증 한국공학한림원 CEO 포럼 Abeek 현황 요약 Abeek 조직과 관련기관 :1999.8 사업 : 인증평가, 국제교류, 평가자 교육, 홍보 주요 인증 대학 및 신청대학(29개대학) - 2001년 2개대 11개 프로그램 - 2002년 3개대 17개 프로그램 - 2003년 4개대 29개 프로그램 - 2004년 6개대 33개 프로그램 - 2005년 9개대 95개 프로그램 신청(시행준비) 4. 한국형 인증모델 개발 - Dual Track 인정 - 고유인증 기준(7)개발 - 학습성과, 창의사고력 중심, 지속 피드백 교육방식 5. 예산 : 연 10억 (인증 공과대학, 기업, 정부 )

  14. 주요 인증 대학 요약(14개 대학 90 프로그램) • 2001년 인증평가 : 시범인증 • 동국대 : 8개 프로그램 • 영남대 : 3개 프로그램 • 2002년 인증평가 : 정상인증 • 부경대 : 3개 프로그램 • 울산대 : 10개 프로그램 • 인하대 : 4개 프로그램 • 2003년 인증평가 : 정상인증 • 경상대 : 4개 프로그램 • 공주대 3개 프로그램 • 창원대 : 12개 프로그램 • 한국해양대 : 10개 프로그램 • 2004년 인증평가 : • 연세대(7), 부산대(8), 한양대(2), 광운대(8), 동국대(1), 강릉대(7)등 33개 프로그램을 인증평가 진행 중

  15. 프로그램 교육목적, 목표 설정 및 개정 소요학생능력(학습성과) 설정 및 개정 교과과정 편성 및 개정 교과과정, 내용 개정 교육방법 및 환경개선 학생(학습성과) 평가 학생 교육 학생능력 평가방법 결정 순환적 자율 개선형 교육 모델 구성주체의 요구반영

  16. 인증 기준 • 기준 1. 학생 • 기준 2. 프로그램의 교육목적 • 기준 3. 프로그램의 학습성과와 평가 • 기준 4. 교육요소 • 기준 5. 교수진 • 기준 6. 시설 및 재원 • 기준 7. 프로그램 기준

  17. 학습성과(EC 2000)와 평가 • 전공기반: • 수학, 기초과학, 공학지식과 이론을 응용할 수 있는 능력 • 자료를 이해하고 분석할 수 있는 능력 및 실험을 계획하고 수행할 수 있는 능력 • 요구된 필요조건에 맞추어 시스템, 요소, 공정을 설계할 수 있는 능력 • 복합 학제적 팀의 한 구성원의 역할을 해낼 수 있는 능력 • 공학문제 들을 인식하며, 이를 공식화하고 해결할 수 있는 능력 • 기본소양: • 직업적, 도덕적인 책임에 대한 인식 • 효과적으로 의사를 전달할 수 있는 능력 • 거시적 관점에서 공학적 해결방안이 사회에 끼치는 영향을 이해할 수 있는 능력 • 평생교육에 대한 필요성의 인식과 평생교육에 참여할 수 있는 능력 • 경제, 경영, 환경, 법률 등 시사적 논점들에 대한 기본 지식 • 세계문화에 대한 이해와 국제적으로 협동할 수 있는 능력 • 공학실무: • 공학 실무에 필요한 기술, 방법, 최신 공학도구들을 사용할 수 있는 능력

  18. 인증기준 교육요소(기준4) • 그 분야에 적합한 수학, 기초과학(실험실습을 포함) 및 전산학을 합하여 1년 이상 • 그 분야에 적합한 공학이론과 설계를 합하여 1년 6개월 이상 • 공학 프로그램의 목적과 교육 기관의 목적에 부합하고, 공학 교과과정의 기술적 내용을 보완하는 기본 소양 교육 (단, 기본소양교육은 6개월 이상)

  19. 졸업에 필요한 학습량 비교

  20. 한국공학한림원 CEO 포럼 교육목표/교과과정/교육내용과 양 국외 : 구체적 국내 : 추상적 Stanford : 실용적 교육 CalTech : 창의적 교육 Michigan : 고급 현장엔지니어 리더 쉽 전문인력 고급연구인력 미 국 일 본 한 국 16 기초과학 33 33 전공/과목 42% 52% 62% 산업연계 40% 90% 75% 구체적 교육 목표 , 내용의 입체화 , 기초교육 강화 개선

  21. 인증 준비 요약1] 12개 학습성과를 이룰 수 있는 교과과정 2] 자율 순환 개선형 교육시스템 구축 • 학생: 강화된 전공교육 • 전공과목 56학점이수 • BSM 36학점이수 • 공학기초소양과목 15학점이수 • 교수: 교육관련 업무내용; 심화, 부담증가 • 강의계획서 • CQI(지속적 품질 개선서) • 강좌에 관련된 모든 기록 및 자료 유지 • 학과: 행정업무 효율화 및 정비 • 학과단위의 CQI • 학습성과 평가 시스템 • 졸업생 의견조사 • 고용기업의 의견조사 • 학교차원: 각종 규정의 보안, 소요예산의 특별배정

  22. 공학인증 지원 전산 프로그램 ABEEK 부설 한국공학교육연구센터

  23. 공학인증 관련 양식의 표준화 1. 지속적 강좌 품질 개선서 2. 학기별 전공 프로그램 개선서 3. 학생 면담 기초자료 4. 학생 면담 기록 5. 강의계획서 6. 인증교과과정 확인서 7. 각 프로그램의 과목별 학습 성과표

  24. 인증 절차 인증신청대학 5.1 – 5.30 중 3일간 프로그램감사표 접수 후 14일 이내 예비논평서 접수후 30일 이내 전년도 4. 10 - 6. 15 12. 1 - 2. 28 인증평가 신청 자체보고서 제출 현지방문 평가 14일 대응서 인증신청 대학 30일 대응서 인증대상 선정통보 평가위원 선정 서류 심사 프로그램 감사표 인증평가 예비논평서 인증결과 통보 방문평가마지막일 8.15 7. 15 2월 중 3. 1 – 4.30 12.30 ABEEK

  25. 인증 성과 • 산업체 • 전문 능력과 자질을 갖춘 졸업생을 채용하여 경쟁력 강화 • 사내교육기간 감소, 경비 절감 • 업무처리 효율 향상 • 부서간 업무 협조의 활성화와 대외활동에 유리 • 국가, 사회 • 현실성 있는 교육을 제공 • 공과대학 교육이 국제적으로 인정됨 • 공학프로그램이 체계화되고 공학교육의 효율성 향상 • 국가 교육정책수립에 이바지 • 산업체의 경쟁력이 제고, 국가적 경쟁력 향상

  26. 인증성과(계속) • 대학교 • 특성화된 교육목표를 설립하여 운영 • 교육프로그램 개발과 이를 평가 및 검증할 자체 평가시스템 구비 • 실험실습 및 학술활동 시스템의 확충 • 인증 받은 대학은 졸업생의 취업 기회가 확대, 우수한 신입생 선발 가능함 • 학생 • 기본소양과 전공기반을 갖추게 됨 • 적성에 맞는 전문능력을 발전시킴 • 취업이 유리하여짐 • 국제적으로 취업 진출

  27. 인증 학생 • 취업우선 기회의 확대 ; 대기업 중심으로 우선 채용 계획 발표 • 최초 임금에 대한 인센티브 제(차별화, 기업 협조) • “기사” 자격시험과목 면제 • “기술사” 자격시험 1차 시험 면제 • 기업에서 당장 쓸 수 있는 공학 전공자 교육 • 설계 “포트폴리오” 소지 학생을 졸업 • 국제 인증 “등록 기술사”의 취득 자격 확보 등

  28. 결론적 사항 • 세계 경제 규모 12위에 걸 맞는 공학교육의 시스템과 내용 정립이 필요한 시점 • 산업인력의 국가간 이동시스템의 구축에 대비해야 할 필요성 증대 - 최근이 산업인력 국가간 이동성에 관한 국제 질서형성에서 매우 중요한 싯점으로 판단됨. 보다 조직적 대응이 필요 • 대안 : 공학교육인증제 (ABEEK) • 정착을 위한 유관 단체 (산업체, 정부, 기술사회, 산업인력공단, 전문학회, 공과대 등)의 지원과 협력. • 특히 정부, 산업자원부, 정통부, 건교부, 교육부의 역할과 지원 21세기: 기술력확보, 국제경쟁과 장벽, 공학교육의 내실강화와 국제인정의 중요성 증대

  29. 참 고 자 료 • WA/ABET 당사자간 협의(2002.10) 내용. • IEM2003, 2004 관련 회의 자료 및 유인물 • WA, SA, DA, EMF, ETMF, APEC등 관련 자료 모음 • 참고 홈페이지 주소 • 한국공학교육인증원 : http://www.abeek.or.kr • 미국공학기술교육인증원 : http://www.abet.org • 워싱톤협정사무국 : http://www.washingtonaccord.org • 일본기술자교육인정기구 : http://www.jabee.org

More Rel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