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50 likes | 1.52k Views
13 주. 노인 수면이해. 문미영. 수면의 개념. 수면이란 ? “ 눈을 감으며 , 심신이 비활동적이 되고 , 의식이 저하되는 자연스런 휴식 상태 ” 수면의 기능 - 신체적 , 정서적 , 지적 에너지 충전 : 활력 회복 - 뇌의 원상 회복을 위한 강제적인 재충전 - 단백질 합성과 세포분열 : 수면과 휴식 시 증가 - 성장호르몬 ( 아미노산흡수촉진 ) 증가 : 3, 4 단계 수면. 수면 조절.
E N D
13주 노인 수면이해 문미영
수면의 개념 • 수면이란? “눈을 감으며, 심신이 비활동적이 되고, 의식이 저하되는 자연스런 휴식 상태” • 수면의 기능 - 신체적, 정서적, 지적 에너지 충전 : 활력 회복 - 뇌의 원상 회복을 위한 강제적인 재충전 - 단백질 합성과 세포분열 : 수면과 휴식 시 증가 - 성장호르몬(아미노산흡수촉진) 증가 : 3, 4단계 수면
수면 조절 • 수면조절:말초신경, 내분비, 호흡, 심혈관, 근육계와 관련된 중추신경의 고도의 통합된 활동에 의해 조절 • 수면은 능동적 과정:뇌를 활성화시키고, 억제하는 2개의 대뇌기전에 의해 각성, 수면이 발생함 1.망상활성체와2. 연수의 동시영역이감각유입을 통제하여 뇌의 상위중추를 간헐적으로 활성화하거나 억압함으로써 수면 통제
수면 조절 중추 1 • 망상활성계(RAS, Reticular Activation System) -상부 뇌간(Brain stem)에 위치 각성과 관련 -의식수준의 명료성과 기민성을 유지 -시각, 청각, 통각, 촉각 등 감각자극을 수용 -대뇌피질의 활동(사고과정 정서)도 RAS를 자극 -RAS의 뉴런에서 신경전달 물질인 norepinephrine 등이 방출되어 깨어난다.
수면 조절 중추 2 2. 연수의 동시영역 (BSR, bulbar synchronizing region) -뇌교와 연수에 위치 -BSR 내의 세포로부터 serotonin이 방출됨으로써 수면상태가 유발 -눈을 감고 이완된 자세로, 어둡고 조용한 환경에 있으면 RAS활동이 감소하면서 일정시점에서 BSR 활동이 상승되어수면상태에 이르게 된다.
수면조절중추: RAS, BSR 망상활성체계 대뇌피질:망상활성체의 상단에서 전달된 감각자극에 영향 받음 변연 피질 시상 시상하부 시각적 자극 중뇌: 망상체계 형성 연수의 동시영역 청각자극 연수의 상행성 자극 통로: 상행성 망상활성체계로 유입
수면의 단계 • Non-REM 수면 1 단계 ( 매우 가벼운 수면 ) 2 단계 ( 가벼운 수면 ) 3 단계 ( 다소 깊은 수면 ) 4 단계 ( 깊은 수면) • REM 수면(Rapid Eye Movement, 활동적 수면)빠른 눈 움직임에도 골격근 긴장도는 감소 - paradoxical 맥박, 혈압, 호흡이 불규칙, 증가 대부분의 꿈과 잠꼬대가 발생 의학적 위기 발생(협심증, 호흡곤란). 위산 분비 증가 깨우기가 매우 힘들다 평균 20분간 지속, 수면이 진행될수록 지속시간 증가
하루 밤의 수면단계의 진행 수면단계 수면시간
수면의 기능 1 • NREM Sleep의 기능: 2가지 이론 1. 신체조직 회복설: -심박, 혈압, 호흡 감소 및 근육톤의 이완으로 에너지 보충 예) 야간에 심박은 주간보다 10-20회/분 감소 -deep slow-wave(stage 4) sleep 시 성장 호르몬의 방출 : 상피세포 및 뇌세포 등 특수세포의 보수 및 재생. 휴식과 수면 중 단백합성. 피부, 골수, 위점막, 뇌 세포가 분화된다. - 2. 에너지 보존설: -수면 중 점진적 골격근이완: 세포재생에 필요한 화학적 에너지 보존 -기초대사감소: 신체에너지 공급 비축
수면의 기능 2 • REM Sleep의 기능 -뇌조직의 회복, 인지적 회복에 중요 -뇌의 혈액순환 변화, 뇌피질 활동증가, 산소소비의 증가, 에피네프린 방출과 관계가 있다. -기억저장과 학습을 돕는다. 수면 중 주간활동에 관한 저장된 정보를 여과한다.
노년기 일주기 수면리듬의 변화 정상수면 양상 • 일주기리듬(Circadian Rhythm, CR)이란? 하루 24시간을 주기로 하는 인체의 리듬 • 시상하부 송과체에서 형성(내적 조절) • 빛은 CR의 일치를 가능케하는 요인(외적) (인간이 빛에 노출되면 빛은 망막을 통과 한 후 송과체에 도달하여 CR 형성)
노년기 일주기 수면리듬의 변화 정상수면 양상변화의 원인 • 진폭 감소 • 일주기 기간 단축과 이에 따른 주기 전진 • 리듬 간의 불일치 • 개인 간, 개인 내 변화 증가 노년기 수면양상의 변화는 일주기리듬의 변화가 일차적 원인
노년기 수면 양상의 변화 • 잠들기가 어렵고(sleep latency 증가), 지속적으로 수면을 취하기도 어렵다 • 취침 시간이 이르고, 아침 일찍 깨어남 • 낮 수면 시간 증가 • 총 수면시간의 감소 : 70세 6시간, 청년층 7.5시간 • 총 침상 시간 증가
노년기 수면 양상의 변화 • 수면이 자주 중단됨 (자주 깨어남) 이유; 야뇨, 다리경련, 몽유증, 걱정, 사별, 소음 • 수면의 효율성이 떨어짐 : 노년기: 75% 이하, 젊은 성인: 90~99% • 수면장애 발생 빈도의 증가 : 75세 노인의 1/3이상 • 수면의 효율성 ; 침대에 누워있는 시간 대 실질적인 총수면시간의 비율
노인의 수면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생리적 • 일일 주기의 혼란 등 수면주기의 변화 • 통증이나 불편감 • 질병이나 수술 호흡기(COPD)- REM 수면 시 호흡이 증가하고 불규칙 순환기(관상동맥질환)- REM이 많은 새벽에 협심증빈발 소화기(위궤양)- REM 수면 시 위산 분비 증가로 통증 • 각종 약물복용 : 가장 문제 이뇨제, 각성제, 항우울제, 에스트로젠 등
노인의 수면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사회심리적 • 우울과 불안: 총 수면시간 변화 3, 4단계 수면 저하 혹은 생략 • 심리적 스트레스: 배우자 사망, 불안과 정서적 긴장 • 은퇴: 불규칙적 생활, 낮잠, 야간의 수면 저해 • 대인관계의 변화로 인한 고립과 외로움 : 독거 노인
노인의 수면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환경 • 수면하는 방의 온도, 습도, 조명, 소음 (노인은 소음에 대한 각성 역치가 낮아짐) • 함께 잠자는 사람이나 노인의 수면 습관 • 빛과 같이 건강한 일주기리듬을 위해 필요한 시간자극에 노출되는 기회가 적음
노인 수면 관련 실태- 미국 • 1982, National Institute on Aging : 65세 이상 노인 9,282명 대상 57%가 chronic disruption of sleep 호소 • 1991, National Sleep Foundation : 18세 이상 성인 1000명 대상 Chronic insomnia 호소율 전체의 9% 65세 이상 노인의 20%
노인 수면 관련 실태- 국내 ▶재가노인
노인 수면 관련 실태- 국내 ▶ 시설노인
노인 수면 관련 실태- 국내 ▶ ▶입원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