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22

한국유통물류진흥원

국제표준바코드 소개 및 활용사례. 한국유통물류진흥원. 목 차. Ⅰ. 진흥원 및 GS1 소개 / 3 Ⅱ. 국제표준과 상품코드 / 7 Ⅲ. 국제표준 바코드 및 활용 / 11 Ⅳ. 회원제도 및 등록안내 / 19 Ⅴ. 의약품의 바코드 활용 / 21. I. 진흥원 및 GS1 소개. 1) 개 요. 기 관 명 : ( 재 ) 한국유통물류진흥원 (GS1 Korea)

mikel
Download Presentation

한국유통물류진흥원

An Image/Link below is provided (as is) to download presentation Download Policy: Content on the Website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and may not be sold / licensed / shared on other websites without getting consent from its author. Content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only. Download presentation by click this link. While downloading, if for some reason you are not able to download a presentation, the publisher may have deleted the file from their server. During download, if you can't get a presentation, the file might be deleted by the publisher.

E N D

Presentation Transcript


  1. 국제표준바코드 소개 및 활용사례 한국유통물류진흥원

  2. 목 차 Ⅰ. 진흥원 및 GS1 소개 / 3 Ⅱ. 국제표준과 상품코드 / 7 Ⅲ. 국제표준 바코드 및 활용 / 11 Ⅳ. 회원제도 및 등록안내 / 19 Ⅴ. 의약품의 바코드 활용 / 21

  3. I. 진흥원 및 GS1 소개 1) 개 요 기 관 명 : (재)한국유통물류진흥원(GS1 Korea) 대 표 자 : 손경식(대한상공회의소 회장) 설 립 일 : 1991. 5. 10 회 원 수 : 20,358사(2007. 2월 현재) 현 재 원 : 49인 • 일반현황 • 연 혁 1988. 4 1991. 5 1999. 3 2003. 11 2004. 5 2004. 7 • 대한상의, GS1 가입(국가번호 880취득) • (재)한국유통정보센터 설립 • 한국SCM민관합동 추진위원회 설치 • UNSPSC 국내 운영기관 지정 • (재)한국유통물류진흥원 발족 • EPCglobal, AIMglobal 한국지부로 가입

  4. I. 진흥원 및 GS1 소개 2) 설립목적 유통물류산업의 진흥 및 국민경제의 균형적 발전 유통물류산업의 정보화와 효율화 추진 GS1(EAN/UCC) 표준 보급 GS1(EAN/UCC) 시스템 보급 GS1시스템= EPCglobal network, GDSN(글로벌전자카탈로그), eCom(문서표준) 등

  5. I. 진흥원 및 GS1 소개 3) 주요 추진사업 전자상거래 사업 - 코리안넷 사업(14,000사 97만 상품등록) - 바코드 검증서비스 사업 - UNSPSC 보급 사업 RFID/EPC 사업 - 무선인식(RFID) 산업 활성화 지원센터 - EPCglobal 성능 인증 센터 글로벌 유통물류 표준 및 서비스 선도기관 국제표준코드/시스템 보급 및 관리 유통물류산업의 정보화 효율화 추진 유통정책 지원사업 - 유통정보 DB 서비스 - POS데이터서비스사업 • - 중소상인 교육연수 사업 • - 한국소매업협의회 운영 물류정책 지원사업 - 산업물류 통계 인프라 구축 - 유통물류합리화 정책자금 지원사업 - SCM민관합동추진위원회 활동전개

  6. The global language of business I. 진흥원 및 GS1 소개 4) GS1 소개 GS1 (Global Standards Number 1): 유통물류분야 국제표준 개발 비영리 기관 • 설 립 : 1977년 (前 EAN International) • 회 원 국 : 106개국 (한국: GS1 Korea, 1988년 가입) • 회 원 사 : 145개국 약 1백만 제조/유통/물류업체 핵심 표준개발 분야 • EDI (전자문서) • 전자카탈로그 • 바코드 • RFID / EPC (전자상품코드)

  7. II. 국제표준과 상품코드 1) 국제표준과 관리기관 공식 국제표준: ISO(국제표준기구)에서 제정 사실상의 국제표준(De facto): 국제시장에서 사용되는 표준 - 민간표준기관인 GS1(Global Standard No1.)등에서 주도 GS1 • 1972년 출범, 106개 회원국(한국 88년, 북한 99년 가입) • 국제표준상품코드(바코드)의 생산, 보급, 관리 EPCglobal • GS1의 자회사로 출범(2003. 10) • 차세대 바코드 RFID/EPC의 생산, 보급관리 RFID/EPC(Electronic Product Code)  현재 RFID 기술은 여러분야에서 활용 - 동물식별(135KHz), 교통카드(13.56MHz), 원격시동장치(433MHz) 등  EPC(860~960MHz)표준은 상품의 유통물류단계에 적용되어 산업의 경쟁력 혁신기술로 관심 집중

  8. II. 국제표준과 상품코드 2) 상품코드와 보급현황 기업과 시장에서의 상품코드 ○상품코드의 사용은 IT기반의 상품정보교류 등 유통물류 효율성을 혁신 - 대기업 또는 중견기업의 ERP(전사적자원관리)시스템을 작동하는 기본언어 - 상품주문, 재고관리, 결제 등에 사용되어 대형 유통물류업체 출현 - 통계 및 소비 추이 분석 등에 사용되어 정책개발 및 기업경영에 활용 ○글로벌 경제체제에서 국제표준상품코드의 중요성 지속 증대  GS1(EAN, UPC)코드의 보급 ○ 선진국의 경우 99%가 EAN, UPC코드 활용 ○ 우리나라의 경우 약 30~40% 활용 중 - 91년부터 표준바코드 보급 시작 - 비표준(사설)코드의 교체 어려움 ※ IT기반의 기업간 정보교류 등 공급체인망관리(SCM)를 할 수 없어 물류효율성 저하

  9. RETAIL SIDE SUPPLY SIDE SUPPLY SIDE RETAIL SIDE II. 국제표준과 상품코드 3) 표준의 종류와 활용 기본 표준 : 코드(표준식별코드), 자동인식기술(표준 바코드(심벌), 전자문서(표준 EDI, XML) 응용 표준 : 전자카탈로그, EPCglobal N/W <전자카탈로그 활용 이전> <전자카탈로그 활용 이후> *전자카탈로그(KorEANnet) : 거래업체 간 필요한 상품 정보와 거래업체 정보를 중앙 저장소를 통해 실시간으로 공유할 수 있도록 한 데이터풀 표준의 활용 : 공급체인관리(SCM), 재고및 자산관리 • *표준 바코드: 데이터의 자동 입력을 가능케 한 수단 *표준 EDI : 거래 정보의 전자적인 교환을 할 수 있도록 한 수단

  10. 분류단계명 분류코드 분 류 명 [43000000] 정보기술방송 및 통신기 [43190000] 통신장치 및 액서세리 [43191500] 개인통신장치 핵심표준영역 국내 표준제정 현황 국제기관 [43191501] 휴대폰 Only 5% of the work 단체표준(ECIF) 국가표준(KS)/ 단체표준(ECIF) 글로벌기반표준 국가표준(KS)/ 단체표준(ECIF) UNDP, UCC UNSPSC 상품분류표준 GTIN EAN.UCC(GS1) 상품식별표준 상품속성표준 GDAS EAN.UCC(GS1) II. 국제표준과 상품코드 4) 표준의 종류와 활용 UNSPSC (United Nations Standard Products & Services Code) - UNSPSC는 전세계적으로 가장 널리 알려지고 활용되고 있는 전 산업대상의 전자상거래용상품분류체계이며, 상품검색 및 원가분석을 위한 상품 핵심 데이터임 상품 컨텐츠 관련 기반표준 - Segmen4단계 8자리로 구성(Segment(2), Family(2), Class(2), Commodity(2) <대> <중> <소> <세>

  11. (0 1) 1 1 2 3 4 5 6 7 8 9 0 1 2 5 UCC/EAN-128 III. 국제표준바코드 및 활용 1) 국제표준 바코드 심벌 EAN-8 EAN-13 EAN-14(ITF-14) UPC-A UPC-E

  12. III. 국제표준바코드 및 활용 2) 표준형 바코드(EAN-13) 체계 및 특징 ※ 체크디지트(C/D) : 바코드의 전체 숫자가 올바르게 변환되었는지를 검증하기 위한 숫자(한국유통물류진흥원 홈페이지에서 확인가능) 표준형 바코드 특징 -표준사이즈 : 3.73㎝×2.63㎝ - 표준사이즈에서 0.8배∼2.0배 축소/확대 인쇄가능

  13. III. 국제표준바코드 및 활용 3) 표준 물류바코드(EAN-14) 특징 및 활용 물류바코드 : 물류단위, 특히 골판지 박스의 인쇄조건과 인쇄재료 특성에 잘 적응할 수 있도록 고안된 바코드 심벌 물류바코드 특징 및 활용 ○ 구 조 : 물류식별코드+ EAN13 ○코드부여 및 활용 - 0 ~ 8까지의 물류식별코드 부여 - 좌우 양방향으로 판독가능

  14. III. 국제표준바코드 및 활용 4) 바코드 인쇄 방법 인쇄 전문업체에 위탁하여 인쇄하는 방법 바코드 출력기를 구입 및 활용하는 방법 ○소스마킹 : 필름(바코드원판)을 이용한 바코드 인쇄법 - 포장지의 다량인쇄를 위해 활용하는 인쇄방법 ○인스토아마킹 : 필름(바코드원판)을 이용하지 않는 바코드 인쇄법 - 액세서리, 의류 등 다품종 소량상품(상품포장지에 인쇄가 불가능한 경우)

  15. III. 국제표준바코드 및 활용 5) 물류바코드 인쇄 방법 ○포장지에 직접 바코드 인쇄 - 표준사이즈 : 가로15.98㎝×세로3.18㎝ - 표준사이즈에서 0.625배~1.2배 축소/확대가능 - 박스 최소 2면(인접면)이상 인쇄 - 흑바와 백바의 명암 대조율 75%이상 유지 ○기계장치에 의한 박스 인쇄 - 최하단으로부터 심벌까지 좌우 테두리 19mm까지 - 좌우측 가장자리에서 심벌의 첫번째, 또는 마지막 바까지의 거리는 34mm - 박스의 수직한 측면 4곳 모두 인쇄원칙

  16. III. 국제표준바코드 및 활용 6) 바코드 필름마스터 인쇄업체

  17. III. 국제표준바코드 및 활용 7) GS1 회원국 현황

  18. III. 국제표준바코드 및 활용 8) 표준바코드 활용 절차 ☞ 회원가입(납품업체 -> 진흥원) ☞ 상품 납품(제조/유통/납품업체) ☞EAN 활용교육 참석(유통물류진흥원) ☞상품정보(코드번호 등)제공 (납품업체->서울대병원) ☞제조업체 코드 부여(유통물류진흥원) ☞상품 포장지 대량인쇄(인쇄업체) ☞상품품목코드 부여(납품업체) ☞바코드 판독 검증(유통물류진흥원) ☞필름마스터 제작(필름마스터 인쇄업체) ☞인쇄규격 및 색상결정(납품업체) ☞상품 포장지 시험 인쇄(인쇄업체)

  19. Ⅳ. 회원제도 및 등록안내 1) 회원가입 및 회비 회원가입 - 회원가입 신청서 등 서류제출(www.gs1kr.org의 “회원가입안내”) ※ 코드사용 기초교육(매주 수요일 15:00~16:30, 유통물류진흥원) 회원 종류별 회비현황 (단위 : 천원)

  20. Ⅳ. 회원제도 및 등록안내 2) 대행기관 현황

  21. Ⅴ. 의약품의 바코드 활용 1) 의약품 등 EAN 시스템 도입에 따른 이점 • 의약품 및 의료용품 공급 시 바코드 자동판독으로 컴퓨터 파일로 저장된 제품명, • 용량, 성분 등을 정확히 조회하여 의료사고 미연에 방지 •  공급망 관리의 효율화 가능 • - 유통된 의약품 및 의료관련 제품에 문제발생시 제품번호, 배치번호, 로트 • 번호, 일련번호 등을 이용 생산, 유통/물류, 소비에 이르는 이동경로 추적 가능 • - 필요한 시점과 장소에 필요한 약품 및 의료기기의 적시조달 가능 •  계획수립 및 재고관리의 효율화 • - 제조에서 재주문에 이르는 모든 기업 관리활동에 대한 정확한 계획수립 가능 • - 재고관리 효율성 제고로 비용 절감 •  표준화된 정보시스템을 통해 제약업체, 유통업체, 병원/약국, 관련단체, 관리당국 • 등 의료 공급망과 관련된 업체 또는 조직 간의 긴밀한 업무협조, 정보교류 가능

  22. Ⅴ. 의약품의 바코드 활용 2) 의약품 바코드 사용현황 및 국내동향 의약품의 바코드 사용국가 현황 (2006년 12월 현재) *국내 의약품 제조업체 회원 수 : 430사 *의약부외품의 경우 많은 국가에서 EAN시스템을 표준으로 사용 ※ 의약품 바코드와 보험청구용 코드를 통합한 국가표준코드(안) 마련 중 • - 건강보험심사평가원 내 ‘의약품 DB센터’ 설치(’06년 12월) • - ’07년 4월 중 통합 국가표준 코드(안) 국회상정 예정

More Rel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