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30 likes | 1.12k Views
컴퓨터의 이해. 컴퓨터의 정의. 컴퓨터 (Computer) 란 계산하다라는 뜻을 가진 ‘ compute ’ 라는 단어에서 유래됨 전문적으로 계산만을 하는 사람을 일컫는 말이었으나 그 작업을 컴퓨터가 대신하면서 컴퓨터라는 대명사로 사용되게 됨. 컴퓨터의 정의. EDPS(Electronic Data Processing System)
E N D
컴퓨터의 정의 • 컴퓨터(Computer)란 • 계산하다라는 뜻을 가진 ‘compute’라는 단어에서 유래됨 • 전문적으로 계산만을 하는 사람을 일컫는 말이었으나 그 작업을 컴퓨터가 대신하면서 컴퓨터라는 대명사로 사용되게 됨
컴퓨터의 정의 • EDPS(Electronic Data Processing System) • 입력된 자료(Data)를 프로그램이라는 명령 순서에 따라 처리하여 그 결과를 사람이 알아볼 수 있도록 출력하는 전자(Electronic) 자료 처리(Processing) 시스템(System) • ADPS(Automatic Data Porcessing System) • 프로그램에 의해 자동(Automatic)으로 처리되므로, ADPS(Automatic Data Processing System)이라고도 함
컴퓨터의 특징 • 정확성 • 신속성 • 대용량성 • 범용성 • 범(凡)은 ‘모두’, 용(用)은 ‘사용하다’의 의미로, 컴퓨터는 여러가지 용도로 사용됨을 뜻함 • 호환성 • 호(互)는 ‘서로’, 환(換)은 ‘바꾸다’의 의미로, 하나의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를 여러 컴퓨터에서 교환하여 사용할 수 있다는 뜻
컴퓨터의 특징 • GIGO(Garbage In Garbage Out) • 쓰레기(Garbage)가 들어가면 쓰레기가 나온다는 의미 • 아무리 정확한 컴퓨터라도 입력한 자료가 틀리면 잘못된 결과를 출력한다는 뜻하는 말 • 사용자가 자료를 입력하지 않으면 동작하지 않는 ‘컴퓨터의 수동성’을 나타내는 말
컴퓨터의 기원 • 파스칼의 계산기(1642) : 덧셈, 뺄셈이 가능한 최초의 기계식 계산기 • 해석기관(1834) : 현대 컴퓨터의 개념을 최초로 제시 • 천공카드(1839) : 인구통계 및 국세조사에 이용, 자동 계산의 실용성 확인 • 튜링기계(1937) : 추상적인 계산기의 모형으로서 컴퓨터의 논리적 모델이 됨 • ENIAC(1946) : 진공관을 사용한 최초의 전자계산기 • EDSAC(1949) : 최초로 프로그램 내장 방식을 도입한 계산기 • UNIVAC-I(1951) : 최초의 상업용 전자계산기 • EDVAC(1952) : 2진법을 채택한 프로그램 내장방식 사용
컴퓨터의 구성 • 컴퓨터는 기계장치인 ‘하드웨어(Hardware)’와 하드웨어를 움직이는 ‘소프트웨어(Software)’로 구성됨 • 사람에 비유하면 우리의 몸은 하드웨어, 머리는 소프트웨어라고 말할 수 있음
컴퓨터의 구성 • 하드웨어(Hardware) • 딱딱한 제품이라는 의미로, 컴퓨터 시스템을 구성하는 물리적 부품, 즉 기계적인 장치들을 말함 • 하드웨어는 중앙처리장치와 주변장치로 구성됨 • 중앙처리장치 = 주기억장치 + 제어장치 + 연산장치 • 주변장치 = 입출력장치 + 보조기억장치 • 위 장치들을 통틀어 컴퓨터의 5대 장치라고 함
컴퓨터의 구성 • 소프트웨어(Software) • 하드웨어의 반대 개념으로, 하드웨어를 사용하기 위한 각종 명령의 집합으로서 일반적으로 프로그램이라고 함 • 시스템 소프트웨어(운영체제, OS) • 윈도우 시리즈, 리눅스, O/S2 등 하드웨어 전체를 제어 및 운영하는 프로그램 • 응용 소프트웨어(Application) • 한글, 엑셀, 파워포인트 등 특정한 업무를 처리하기 위한 프로그램
컴퓨터의 구성 • 펌웨어 • 하드웨어의 동작을 지시하는 소프트웨어이지만 하드웨어적으로 고성되어 하드웨어의 일부분으로도 볼 수 있음 • 주로 ROM에 반영구적으로 저장되어 하드웨어를 제어관리하는 역할을 수행 • 최근에는 읽기/쓰기가 가능한 플래시 롬(Flash ROM)에 저장되기 때문에 내용을 쉽게 변경하거나 추가삭제할 수 있음 • 펌웨어로 만들어져 있는 프로그램을 마이크로 프로그램이라고 함
처리능력에 따른 분류 • 슈퍼 컴퓨터(Super Computer, 초대형 컴퓨터) • 여러 개의 CPU를 병열로 연결하여 속도가 매우 빠르다. • 복잡하고 정밀한 연산이 필요한 기상 분석, 우주 과학 등에 사용된다. • 메인프레임(Mainframe, 대형 컴퓨터) • 하나 이상의 CPU를 연결하여 빠른 속도로 사용할 수 있다. • 단말기를 이용하여 여러 사용자가 동시에 사용할 수 있다. • 과학기술 계산이나 은행, 병원 등에서 사용된다.
처리능력에 따른 분류 • 미니컴퓨터(Mini computer, 중형 컴퓨터) • 메인프레임과 마이크로 컴퓨터의 중간 정도의 성능을 가진 컴퓨터다. • 메인프레임과 같이 다중 사용자 시스템으로 학교, 연구소, 중소기업체 등에서 많이 사용한다. • 워크스테이션(Workstation) • 고성능 그래픽 처리기능을 제공한다. • 복잡한 계산처리가 가능하도록 강력한 처리능력과 대용량 저장장치를 제공한다. • 네트워크에서 서버로 사용된다.
처리능력에 따른 분류 • 마이크로 컴퓨터(PC, 개인용 컴퓨터) • 마이크로프로세서를 장착한 컴퓨터로 개인용으로 사용한다. • 네트워크 상에서 클라이언트로 사용된다. • 휴대 가능 여부에 따라 데스크탑 컴퓨터와 휴대용 컴퓨터로 구분된다. • 휴대용 컴퓨터 종류는 랩톱 컴퓨터, 노트북, 팸톱컴퓨터(PDA)가 있다.
데이터 취급에 따른 분류 • 디지털 컴퓨터(Digital Computer) • 문자나 숫자화된 비연속적인 데이터를 처리하는 컴퓨터로, 사회 각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 • 아날로그 컴퓨터(Analog Computer) • 온도, 전류, 속도 등과 같이 연속적으로 변화하는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특수 목적용 컴퓨터 • 하이브리드 컴퓨터(Hybrid Computer) • 디지털 컴퓨터와 아날로그 컴퓨터의 장점을 혼합하여 만든 컴퓨터
사용 용도에 따른 분류 • 범용 컴퓨터 • 여러 분야에서 다양한 용도로 사용하기 위해 제작된 컴퓨터로, 디지털 컴퓨터가 여기에 해당됨 • 전용 컴퓨터 • 특수한 목적에만 사용하기 위해 제작된 컴퓨터로 자동 제어 시스템, 항공기술 등 산업용 제어 분야 등에 사용되며, 아날로그 컴퓨터가 여기에 해당됨
연대별 분류 • 1세대 : 진공관, 연산속도 ms(1/100초) • 2세대 : 트랜지스터, 연산속도 us(1/100만초) • 3세대 : 집적회로(IC), 연산속도 ns(1/10억초) • 4세대 : 고밀도집적회로(LSI), 연산속도 ps(1/10조 초) • 5세대 : 초고밀도집적회로, 연산속도 fs (1/1000조 초)
출력장치 • 기타출력장치 • 플로터 • 용지의 크기에 거의 제한 없이 고해상도 출력이 가능한 인쇄 장치 • X-Y 플로터: 초기에 사용하던 펜 플로터로, 펜(Pen)이나 종이를 X축과 Y축으로 움직이면서 인쇄하는 방식, 지도, 통계도표, 설계 도면 등을 출력하는 데 사용 • 마이크로필름 출력장치(COM) • 컴퓨터에서 처리한 자료를 마이크로필름에 기록하는 장치
하드웨어 제어방식 • 인터럽트(Interrupt) •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도중에 예기치 않은 상황이 발생할 경우 현재 실행 중인 작업을 일시 중단하고, 발생된 상황을 우선 처리한 후 실행 중이던 작업으로 복귀하여 계속 처리하는 것 • 외부 인터럽트 • 입출력장치가 데이터의 전송을 요구하거나 전송이 끝났음을 알릴 경우 • 특정 장치에 할당된 작업 시간이 끝났을 경우 • 컴퓨터의 전원 공급이 끊어졌을 경우 • 내부 인터럽트 • 명령 처리 중 오버플로(Overflow) 또는 언더플로(Underflow)가 발생했을 경우 • 0으로 나누는 명령이 수행될 경우 • 소프트웨어 인터럽트 • 운영체제의 감시 프로그램을 호출하는 SVC(SuperVisor Call)인터럽트가 있음
하드웨어 제어방식 • 채널(Channel) • 주변장치에 대한 제어 권한을 CPU로부터 넘겨받아 CPU 대신 입출력을 관리하는 것 • DMA(직접 메모리 접근) • DMA(Direct Memory Access)는 CPU의 참여 없이 입출력장치와 메모리가 직접 데이터를 주고받는 것을 말함
운영체제의 정의 • 운영체제란? • 하드웨어 등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컴퓨터 사용자들이 쉽게 컴퓨터 시스템을 이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기능을 담당하며, 컴퓨터가 작동하기 위해 가장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 일반적으로 시스템 소프트웨어 전체를 운영체제라고 보기도 하고, 시스템 소프트웨어 중 제어 프로그램만을 운영체제라 보기도 한다. 이는 운영체제의 종류에 따라 처리 프로그램인 언어번역 프로그램 등이 제공되기도 하고, 제공되지 않기도 하기 때문이다.
운영체제의 기능 • 메모리 관리 : 메모리 상태와 운영 관리 • 주변장치 관리 : 하드웨어 장치 관리(주변장치 관리)와 제어 • 파일과 디스크 관리 : 프로그램이나 데이터 저장, 액세스 제어 • 프로세스 관리 : 프로그램 수행 제어 • 운영체제의 종류 • 개인용 컴퓨터(PC) 운영체제 • DOS, Windows CE/XP/Vista, OS/2, MacO/S, LINUX 등 • 서버용 컴퓨터 운영체제 : • UNIX, LINUX, Windows NT/2000 등
Windows XP의 특징 • 사용자 계정 • 같은 컴퓨터를 사용하는 여러 사용자가 사용자별로 바탕화면, 시작 메뉴, 즐겨찾기, 메일 계정 등 윈도우 설정을 서로 다르게 지정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 계정을 쉽게 설정하고 관리할 수 있음 • 컴퓨터를 다시 시작하지 않고도 사용자 계정을 전환할 수 있음 • 강화된 디지털 미디어 지원 기능 • 동영상 편집을 위한 윈도우 무비 메이커(Windows Movie Maker), 다양한 형태의 멀티미디어 파일을 재생하거나 CD로 구울 수 있는 윈도우 미디어 플레이어(Windows Media Player), 이미지 파일을 바로 볼 수 있는 “Windows 사진 및 팩스 뷰어”가 제공됨
홈 네트워크 기능 • 네트워크 설정 마법사를 통해 여러 컴퓨터를 홈 네트워크 또는 소규모 네트워크로 간단하게 구성할 수 있음 • 강화된 시스템 관리 기능 • 시스템에 문제가 생겼을 때 시스템 복원 기능을 사용하여 정상적으로 작동하던 시점으로 시스템을 복원할 수 있음 • 파일 시스템 선택 기능 • 한글 Windows XP 설치 시 파일 시스템을 FAT32, NTFS 중 하나를 선택하여 지정할 수 있음 • Windows 방화벽 • 다른 컴퓨터에서 사용자 컴퓨터로 들어오는 정보를 제한하여 사용자 컴퓨터에 무단으로 액세스하려는 사람이나 바이러스 및 웜을 포함하는 프로그램에 대한 방어막을 제공함
GUI(Graphic User Interface) • 마우스를 이용해 아이콘이나 메뉴를 선택하여 명령을 실행하는 방식으로 그래픽 사용자 환경 • 선점형 멀티태스킹 • 특정 프로그램이 실행 중 동작을 멈추면 운영체제 차원에서 해당 프로그램을 강제로 종료시켜 다른 프로그램의 수행에 영향이 미치지 않도록 하는 운영방식 • 플러그 앤 플레이 기능(PnP, Plug & Play) • 새로운 하드웨어 설치 시 컴퓨터가 이를 자동으로 감지하여 필요한 환경을 설정하는 기능으로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가 모두 PnP를 지원해야 함
OLE(Object Linking Embedding) • 문서를 작성할 때 여러 응용 프로그램에서 작성된 문자나 그림들을 자유롭게 삽입해서 사용할 수 있으며, 삽입된 이미지에 대한 수정도 쉽게 실행할 수 있는 기능 • 긴 파일명 사용(VFAT) • 공백을 포함하여 최대 255자까지 파일명 작성 가능 (한글 127자)
Windows XP의 시작과 종료 • 부팅(Boot Strap) • 컴퓨터에 전원이 공급된 순간부터 각 장치를 검사하고 초기화하는 과정을 거쳐 컴퓨터가 작업할 수 있는 환경이 될 때까지의 과정을 말하는 것으로, 부트스트랩(Boot Strap)의 줄임말 • 멀티(이중, 다중) 부팅 • 하나의 시스템에 여러 개의 운영체제를 설치하여 원하는 운영체제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환경 단, 운영체제는 각기 다른 파티션에 설치되어야 하며, 설치 순서는 낮은 버전의 운영체제를 먼저 설치하고, 최신 버전의 운영체제를 나중에 설치된 운영체제를 모두 인식할 수 있음
WindowsXP 부팅메뉴 • 안전모드 • 기본 파일과 드라이버만 사용하고 네트워크 연결은 사용하지 않은 상태로 컴퓨터 시작 • 안전모드(네트워킹 사용) • 기본 파일과 드라이버 및 네트워크 연결만으로 컴퓨터 시작 • 안전모드(명령 프롬프트 사용) • 기본 파일과 드라이버만으로 컴퓨터를 시작. 로그온하면 Windows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대신 명령 프롬프트가 표시 • 부팅 로깅 사용 • 시스템에서 파일에 로드한 또는 로드하지 않은 모든 드라이버와 서비스를 로그 파일에 기록하면서 컴퓨터 시작 • VGA 모드 사용 • 기본 VGA 드라이버를 사용하여 컴퓨터 시작. 이 모드는 비디오 카드 드라이버를 새로 설치한 후 Windows가 제대로 시작되지 않을 때 사용
마지막으로 성공한 구성 • 마지막으로 시스템을 종료했을 때 Windows에서 저장한 레지스트리 정보와 드라이버를 사용하여 컴퓨터 시작. 이때 마지막으로 성공한 시작 이후의 변경 사항은 모두 손실 • 디렉터리 서비스 복원 모드 • 서버 운영 체제에서 사용되며 도메인 컨트롤러에 SYSVOL 디렉터리와 Active Directory 디렉터리 서비스를 복원할 때만 사용 • 디버그 모드 • 직렬 케이블을 통해 다른 컴퓨터에 디버그 정보를 보내면서 컴퓨터 시작 • 표준 모드로 Windows 시작 • 정상적인 윈도우 XP 실행 환경으로 시작 • 다시 부팅 • 컴퓨터 재부팅 • OS 선택 메뉴로 돌아가기 • 멀티 부팅 메뉴로 돌아가기
로그오프/ 사용자 전환 • 한 대의 컴퓨터를 여러 사용자가 사용할 때 사용자를 전환하여 사용하기 위한 기능 • 방법: [시작]-[로그오프]
한글 Windows XP의 종료 • [시작]-[컴퓨터 끄기]를 선택하여 종료 실행 • 대기 모드: 절전 상태로 변경하여 대기 상태로 들어간 후, 마우스나 키보드를 사용하면 원래 화면으로 돌아옴 • 끄기: 정상적으로 종료 • 다시 시작: 정상적으로 종료한 후 재부팅
WindowsXP 사용하기 • 창(Windows)이란? • Windows XP에서 실행되는 모든 프로그램, 파일, 폴더 등을 나타내 주는 표시 구조로, 하나의 작업이 수행되는 공간
제목표시줄 • 프로그램이나 파일의 이름이 표시되는 곳 • 제목 표시줄을 마우스로 클릭한 후 드래그하여 창 이동
제어 상자 또는 창 조절 메뉴 • [이전 크기로],[이동],[크기 조정],[최소화],[최대화],[닫기]로 구성 • 더블클릭하면 창이 닫힘
창 조절 단추 • 최소화 단추, 최대화 단추, 닫기 단추로 구성
메뉴 표시줄 • 현재 열려 있는 창에서 사용할 수 있는 기능을 모아 놓은 곳 • 각각을 클릭하면 하위 메뉴가 표시됨
도구 모음 • 자주 사용하는 도구를 아이콘으로 표시한 곳으로, 클릭하면 해당 기능이 실행 됨 • 주소 표시줄 • 선택한 파일이나 폴더의 위치를 표시함 • 주소 표시줄에 직접 드라이브나 폴더 경로, 인터넷 주소를 입력하면 해당 항목으로 이동
화면 이동 막대 • 화면 이동을 할 때 사용, ‘스크롤 바’라고도 부름 • 상태 표시줄 • 현재 열려 있는 창의 파일과 폴더 수, 용량 등의 상태 정보 표시
활성창 전환 • 현재 작업하고 있는 프로그램 창을 다른 창으로 바꾸는 것 • 사용방법 • 마우스 커서 이용 • 작업표시줄 이용 • 바로 가기 키 이용 • [Alt]+[Tab] : 작업 전환 대화상자를 표시하여 원하는 창 선택 • [Alt]+[Esc] : 작업 전환 대화상자를 표시하지 않고 다음 창으로 선택
바탕화면 • 바탕화면이란 • 바탕화면은 사용자에게 가장 가까이 있으면서 내 컴퓨터나 네트워크 환경 등 여러가지 사항을 한꺼번에 제어 및 활용 할 수 있는 공간 • GUI(Graphic User Interface) 개념의 핵심 • 이 바탕화면 사용습관에 의해 사용자의 컴퓨터 실력을 미루어 짐작할 수 있음. • 이전 Workstation 이상에서만 사용되던 기능을 컴퓨터 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일반 Micro Computer에서도 사용가능하게 됨
바탕화면 사용하기 • 바탕화면 바로가기 메뉴(단축메뉴) •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바탕화면에 클릭하므로써 사용 • 키보드에 있는 바로가기 키 사용 • 제어판 내의 디스플레이 등록정보 사용 • 아이콘 정렬순서, 새로 고침, 새로 만들기, 속성 등이 있음 • 위 메뉴들을 이용해서 사용자가 원하는 바탕화면을 구성하여 사용할 수 있음.
바탕화면의 배경화면 변경 • 바탕화면에 설정되어 있는 이미지를 말하며, 사용자의 취향에 맞게 변경할 수 있음 • 배경화면으로 사용할 수 있는 이미지는 그림 파일이나 인터넷 표준 문서 형식이어야 하며, BMP, GIF, JPG, HTML 등의 파일을 사용할 수 있음 • 배경화면을 바탕 화면에 표시하는 형식으로는 바둑판식, 가운데, 늘이기가 있음 • 배경화면 변경 방법 • 바탕화면의 바로 가기 메뉴에서 [속성]을 선택하거나, 제어판의 ‘디스플레이’를 더블클릭 • '디스플레이 등록정보‘ 대화상자의 ’바탕화면‘ 탭에서 마음에 드는 배경을 선택한 후 <확인>을 클릭
바탕화면의 기본 아이콘 • 내 컴퓨터 • 컴퓨터에 설치된 디스크 드라이브, 프린터, 제어판, 폴더, 파일 등을 표시 • 파일과 폴더 그리고 컴퓨터에 설치된 하드웨어 관리 • 휴지통 • 삭제된 파일이나 폴더가 임시로 보관되는 곳 • 휴지통에 있는 파일이나 폴더는 복원할 수 있음 • 휴지통 비우기를 해야 완전삭제
내 문서 • 응용 프로그램에서 작성한 문서 파일이 기본적으로 저장되는 곳 • 실제 폴더 위치: C:\Documents and Settings\사용자계정\My Documents • 내 네트워크 환경 • 네트워크가 구축되어 있을 때에만 표시되는 아이콘 • 네트워크에 연결된 컴퓨터의 자원을 확인하고, 공유할 수 있다.
Internet Explorer • 인터넷을 사용하기 위한 웹 브라우저 • 한글 Windows XP를 설치하면 인터넷 익스플로러 6.0이 함께 설치됨 • Outlook Express • 인터넷에서 주고받은 전자우편 관리 • 전자우편 작성, 송/수신, 저장, 주소록 관리 등의 기능이 있음
바탕화면 속성의 사용 • 속성 대화상자의 구성 • 테마 • 바탕화면 배경무늬(사진), 마우스 포인터, 사운드, 화면보호기 등을 사용자에 맞게 설정하거나, 미리 설치되어 있는 테마를 적용시켜 사용자가 원하는 환경을 만들 수 있음. • 바탕화면 • 테마 이외에 바탕화면 배경무늬(사진) 등을 사용자 임의로 설정할 수 있으며, 바탕화면 항목 대화상자를 통해 아이콘을 설정할 수 있음
화면보호기 • 일정시간 사용이 없을때 전력사용량을 줄이고 사용자의 작업을 숨기기 위해 사용하며, 모니터 및 컴퓨터 전원부분 설정이 가능함 • 화면배색 • 창(Windows)의 스타일 및 색상 선택이 가능 • 설정 • 바탕화면의 해상도 및 출력에 사용될 모니터를 선택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으며, 고급 대화상자를 통해 좀더 세밀한 선택이 가능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