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0 likes | 270 Views
50 대를 위한 영화 예매 시스템. 팀 명 : 팀 원 :. 시스템 개요. 요즘 화두인 ‘ 스마트 ’ 기반 영화 예매시스템 사용자 개개인에 맞춤화된 서비스 기능 주요 타겟층은 50 대. 시스템 개발의 필요성. 왜 이 시스템을 개발하려고 하는가 ? 실질적인 경제력을 지니고 있는 50 대에게 적당한 예매 환경을 제공하지 않음 50 대는 여가 시간이 풍부함 기존에 유사 시스템이 있다면 그 시스템의 문제는 무엇인가 ? 젊은 20~30 대위주로 시스템이 구성되었음
E N D
50대를 위한 영화 예매 시스템 팀 명: 팀 원:
시스템 개요 • 요즘 화두인 ‘스마트’ 기반 영화 예매시스템 • 사용자 개개인에 맞춤화된 서비스 기능 • 주요 타겟층은 50대
시스템 개발의 필요성 • 왜 이 시스템을 개발하려고 하는가 ? • 실질적인 경제력을 지니고 있는 50대에게 적당한 예매 환경을 제공하지 않음 • 50대는 여가 시간이 풍부함 • 기존에 유사 시스템이 있다면 그 시스템의 문제는 무엇인가 ? • 젊은 20~30대위주로 시스템이 구성되었음 • 이 시스템을 사용하지 않을 때의 문제는 무엇인가 ? • 영화 예매를 하기 위해서 좀 더 복잡한 절차를 가져야 함. • 이 시스템이 개발되면 누구에게 어떤 도움을 줄 수 있는가 ? • 50대의 스마트 폰 사용자 • PC사용을 하지 못하는 상황에서 영화 예매가 하고 싶은 사람. • 영화를 즐겨 보는 사람
시스템 개발의 필요성 – 시스템으로 인한 이익 • 고객 • 현장 티켓팅과 유사한 방법으로 영화예매 가능 • 영화정보를 쉽게 얻을 수 있음. • 기다리는 시간의 감소 • 예매절차의 간소함 • 영화관 관리자 - 타 시스템과의 차별화로 경쟁력 강화
시스템의 특징 영화 정보 등 폰트 크기 작음 타이핑의 어려움 기존예매의 복잡함 (11단계)
시스템 구성도 - 물리적 • Deployment Diagram • 시스템의 외부/물리적 구성 모습을 표현 • 소프트웨어 플랫폼 • 노드 별: H/W, OS, Framework, PL 기슬 • 노드간의 Communication Protocol 기술: 예) TCP/IP, HTTP, RMI 등
시스템 구성도 - 논리적 • Context Diagram –Top Level • 시스템의 내부/기능적 구성 모습을 표현 • 시스템의 기능적 특징/장점/차별성을 강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