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0 likes | 527 Views
영일만 신항 개발에 따른 대구 • 경북권 신 물류운송체계의 구축. 2005. 8. 24. 하영석 교수 ( 계명대학교 ) 고용기 교수 ( 영남대학교 ). 01. 02. 03. 04. 05. 06. 07. 목 차. 연구의 개요. 해운 , 항만의 환경 변화. 영일만 신항의 화 물 운송 수요 전망. 영일만 신항 배후단지의 시설 및 개발방향. 영일만 신항의 운송체계 분석. 신 물류운송체계의 구축방안. 정책제안. - 1 -. 01. 연구의 개요.
E N D
영일만 신항 개발에 따른 대구•경북권 신 물류운송체계의 구축 2005. 8. 24. 하영석 교수 (계명대학교) 고용기 교수 (영남대학교)
01 02 03 04 05 06 07 목 차 연구의 개요 해운, 항만의 환경 변화 영일만 신항의 화물 운송 수요 전망 영일만 신항 배후단지의 시설 및 개발방향 영일만 신항의 운송체계 분석 신 물류운송체계의 구축방안 정책제안 - 1 -
01 연구의 개요 • 환동해 경제권의 부상과 세계 해운, 항만 환경 변화 • 환동해 중심지로서의 포항 영일만 신항 개발 • 영일만 신항의 화물운송 예측과 항만 배후단지 개발전략 분석 • 영일만 신항의 조성 및 운영전략 • 대구, 구미, 포항 지역의 산업특성과 이동화물 물류운송 체계분석 • 전자제품의 기종점분석과 섬유, 기계, 철강제품 화물이동분석 • 대구, 경북과 수출입화물의 신 물류운송체계 구축방향 제시 • 대구, 경북권 경제자유구역의 추진전략 제안 구미-대구-포항의 산업벨트를 국가경제 발전의 중심축으로 유도할 수 있는 영일만 신항의 물류네트워크 구축 - 2 -
02 해운, 항만의 환경 변화 동북아 지역 환경 세계 환경 국내 환경 • Mega-Hub Port와 중핵 항만 체제로 개편/발전 • 구주, 북미, 아시아지역 중심의 3극 체제로 전개 • 환적화물 유치 및 배후 단지 중심의 기업 활동 • 아시아 지역의 거점 항만 간 경쟁 심화 • 중국 중심의 물류활동이 전개 • 3국의 특성에 적합한 물류활동의 연계 • 대륙간 중계 항만으로의 동북아 물류중심화 전략 • 부산항, 광양항, 인천항 배후지역을 중심으로 한 경제자유구역 지정 • 중화경제권을 겨냥한 중핵항만으로의 발전과 선점을 위한 경쟁 - 3 -
03 영일만 신항의 화물운송 수요 전망 1. 동북아 3국의 컨테이너 물동량 (천 TEU) 자료 : 해양수산부 ‘해양수산통계연보’ 각호, Containerisation International Yearbook 각호 ☞ 동북아 3국의 경제규모는 전 세계의 20%, 물동량은 30% - 4 -
03 영일만 신항의 화물운송 수요 전망 2. 한국의 항만 물동량 (천 TEU) 자료 : 해양수산부 토론회자료, 2005 주*: 인천송도신항만 등의 개발 계획은 포함되지 않음. ☞ 주로 부산항, 광양항, 인천항, 평택항, 울산항 등에서 발생 - 5 -
03 영일만 신항의 화물운송 수요 전망 3. 영일만 신항의 컨테이너 물동량 추정 • - 영일만 신항 물동량 예측 → 수출물량과 수입물량으로 구분 • - 수출물량 기점 → 경북권, 강원권, 충북권 한정 • - 수입물량 기점 → 일본, 극동지역, 동남아지역 한정 • - 과거 비중을 고려, 보수적인 경우와 낙관적인 경우로 가정하여 추정 • 경북권 40%, 강원 1%, 충북 1% 의 물동량을 유치했을 경우 (보수적인 경우 기준) • -> 보수적 : 극동지역(3%), 일본(3%), 동남아 지역(1%)의 물동량을 일부 유치하는 경우 • -> 낙관적 : 극동(6%),일본(6%), 동남아(4%) (천 TEU) 주) 관세청자료(KL-Net)와 무역협회 자료를 활용하여 산정함 - 6 -
04 영일만 신항 배후단지의 시설 및 개발방향 1. 배후단지 규모의 적정성 분석 • 컨테이너 화물: 경북 40%, 강원 1%, 충북 1% (보수적 예측 토대) • 일본 6%, 극동 6%, 동남아 4% (낙관적 예측 토대) • - 수출화물 FCL 78.1%, LCL 10.6%, 수입화물 FCL 48.1%, LCL 5.7% • 본 연구에서는 배후단지의 경유비율을 수출화물 10%, 수입화물 12%로 가정 • (품목별 원단위, 회전수, 선반층 고려) 단위 : 평 - 7 -
04 영일만 신항 배후단지의 시설 및 개발방향 2. 시사점 • - 배후단지 계획 규모에 비해 추정된 소요면적 규모 적음. • 이는 배후단지 소요규모를 우리나라의 여타항만에 적용된 표준치를 • 토대로 추정하였기 때문에 지역의 화물특성이 반영되지 못함. • 따라서 여타 배후단지와 차별화된 배후단지 조성이 가능함. • ⇒ 물량을 창출시킬 입주기업의 유인과 선정에 상당한 노력 • 필요 - 8 -
05 영일만 신항의 운송체계 분석 1. 대구 경북지역의 물류운송체계 1) 운송체계 2) 물류시설 - 구미화물터미널 (10,073평) - 대구서부 화물터미널 (21,334평) - 대구 종합유통단지 (253,410평) - 경북 북부유통단지 (134,915평) - 영남권 내륙화물기지 (124,000평) - 대구 국제공항 : 2003년 34 ton/day - 9 -
05 영일만 신항의 운송체계 분석 1. 대구 경북지역의 물류운송체계 3) 운송도로망 - 10 -
05 영일만 신항의 운송체계 분석 1. 대구 경북지역의 물류운송체계 4) 구미-대구-포항의 산업 특성과 주요 수출입 화물 • 구미, 대구, 포항의 산업벨트를 잇는 주요 수출화물 • → 전자제품, 섬유류, 기계류, 철강제품 - 11 -
05 영일만 신항의 운송체계 분석 2. 주요 수출화물의 기종점분석 1) 전자제품 • - 수출의 94.7%가 항만 이용, 금액은 35.4%를 차지 • 경쟁항만의 주요 수출지역 • • 울산항 : 중국(27.7%), 말레이시아(23.2%), 미국(11.9%), 베트남(2.9%) • •마산항 : 핀란드(28.7%), 미국(12.3%), 일본(10.7%), 중국(8.3%) - 12 -
05 영일만 신항의 운송체계 분석 2. 주요 수출화물의 기종점분석 2) 섬유, 기계류, 철강제품 - 주요수출 지역 - 섬유류 철강제품 기계류 (단위 : R/T) • 대구, 구미, 포항의 수출관심대상지 • → 일본, 극동아시아, 동남아시아, 북미 등 • → 특히 영일만 신항 개항 시 일본, 중국(동남아시아), 러시아 등에 관심. - 13 -
05 영일만 신항의 운송체계 분석 2. 주요 수출화물의 기종점분석 2) 섬유, 기계류, 철강제품 - 주요 경쟁 대상 수출항 - - 구미, 대구, 포항의 주요 수출화물 통로 → 울산, 마산항(부산항 제외) ⇒ 영일만 신항은 구미, 대구, 포항의 광역 산업클러스터를 잇는 물류네트워크에서 지역 거점항으로의 역할이 강화되어야 함. - 14 -
06 신 물류운송체계의 구축방안 동북아, 유럽 1. 기본방향 - 환 황해권과 환 동해권이 팽이 형태로 연계될 수 있도록 추진 - 대구경북의 원자재 공급항 및 수출화물 처리항으로써의 역할 강화 - 정기운송망의 개설 및 경제자유구역의 추진 대구, 구미 (생산, 조립+가공) 군산, 목포항 환황해권 저가부품 공급 영일만 신항 (황동해권 기술부품 및 원자재 공급 중핵항 부산권 국제물류허브항 + 경남권 산업클러스트 - 15 -
06 신 물류운송체계의 구축방안 2. 운송체계의 구축방안 1) 거점 운송체계의 구축 - 대구경북의 원자재 공급항 및 수출화물 처리항으로써의 역할 강화 - 정기운송망의 개설 및 경제자유구역의 추진 대구 구미 포항 영남권 복합화물 터미널 항 만 영일 신항 배후지 영남권 국제공항 - 16 -
06 신 물류운송체계의 구축방안 2. 운송체계의 구축방안 2) 운송망의 체계화, 다양화 (1) 체계화 - 내륙과 해양 연계형 네트워크의 구축 - 기존 항만 이용자들의 문제점을 보완 ``` • 화원 IC부근에서 영남권 내륙화물기지간 우회도로 건설 • 왜관에서 내륙화물기지간 우회도로 확장 • 경주-포항 간 우회도로 확장, 구미-영천간 고속도로 신설 등 • 기계에서 신항만간 도로의 조기 완공 - 17 -
06 신 물류운송체계의 구축방안 2. 운송체계의 구축방안 2) 운송망의 체계화, 다양화 (2) 다양화 • - 항로의 다양화 (일본 서안, 극동러시아, 중국 장강 내륙과 연계) • - 마산, 울산항의 대체항으로 역할 제고: 운송망의 개발 • - 기존 거점항인 부산항과 효율적인 피더수송의 강화 • - 신항 배후지를 일본서안 화주의 동북아 물류거점으로 유도 • - 철도망의 장기적인 확충 (서대구-영천-포항을 연결) • : 영일만 신항 인입철도 조기확보(2020년 TKR 동부회랑연계) • - 장기적으로 한반도 동부회랑과 TSR,TCR과 영일만 신항 연결 • 대구국제공항 (or 영남권 국제공항)과 구미산업단지간 전략적 • 제휴 : 전자제품 수송 특화 - 18 -
06 신 물류운송체계의 구축방안 2. 운송체계의 구축방안 2) 운송망의 체계화, 다양화 (3) 영일만권 경제자유구역 지정의 추진 • 무역물류형 경제자유구역의 추진을 위한 협의 및 연구 • - 대구, 경북 물류중심화 전략센터 또는 추진 기획단 설치 - 18 -
07 정책 제안 주문형 배후단지 조성을 위한 지원 및 유인전략을 수립 신항의 경쟁력 확보 전략 수립 대구경북기업의 화주 유치 전략 • 극동러시아, • 일본서안에 특화된 • 운송루트 개설 • 극동러시아 선사들과 • 협의 • 일본 서안 화주의 • 이용가능성 조사 연구 • “대구, 경북 물류중심화 • 전략센터” 설립 • 장기적 차원에서 영남권 • 경제공동체 구축을 통한 • 연계 • 섬유, 기계, 전자제품의 • 조립, 포장, 분류 등에 • 특화 • 무상 장기 임대 방식과 • 자금 지원 • 자유경제구역의 추진 - 19 -
07 정책 제안 1. 대구/경북의 내륙거점에서 생산/구매한 제품을 영일신항만 배후단지에 집하하여 부가가치 물류활동을 거친 후, 주요 항만들이 관심을 보이지 않는 중소항만간의 발달된 피더항로를 활용하여 동북아 각지로 직접 배송하는 물류비즈니스 사업이 주효할 것임. - 일본 서안, 극동러시아의 중소형 항만을 연결시킬 수 있는 특화된 운송루트를 개척할 선사 유치 - 극동러시아 지역의 선사들에게 상당한 인센티브를 제공하여 상호 윈-윈할 수 있는 비즈니스모델 개발 - 일본 서안의 화주들을 배후단지에 유인할 수 있는 홍보와 실천적 방안 강구 (미츠이 물산이 감천항 배후지에 일본지역을 위한 물류단지를 개발) - 20 -
07 정책 제안 2. 경쟁력 있는 주문형 항만배후단지 조성을 위한 지원 및 유인전략 수립 - 자유경제구역 지정을 위한 전방위 노력 - 국제적인 교역환경의 변화에 따른 투자환경 개선전략 수립 - 외국인 투자기업에 대한 인센티브 부여 방안 도출 - 혁신적 물류시스템 구축을 위해 RFID시스템을 도입한 시범사업 수행 - 자유무역지역의 장기 임대(또는 무상임대)를 통한 경쟁력 있는 임대료 수준 책정: 전후방효과를 고려한 체계적인 임대정책 - 대규모 임대를 유도하기 위해 임대규모에 따른 임대료 할인 방안 - 고용창출효과의 극대화를 위한 고용지수에 따른 가격할인정책 실시 - 21 -
영일만 신항 개발에 따른 대구•경북권 신 물류운송체계의 구축 감사합니다. - 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