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0 likes | 385 Views
정 보 물 리. R a m & R o m 4 조 01 박경준 윤여광 정민우 04 김 승. This is Ram!.
E N D
정 보 물 리 R a m & R o m 4조 01 박경준 윤여광 정민우 04 김 승
This is Ram! • Ram :Random Access Memory의 약자로서 컴퓨터 주 기억장치의 한 부분. • 전원 공급이 중단되면 내용이 지워지는 소멸성 메모리. • 사용자 임의로 내용을 저장하거나 읽을 수 있음. • 실행 중인 프로그램과 데이터 저장.
RAM 의 역할 • CPU가 처리할 데이터를 임시로 보관. ex) 1+2 계산 CPU가 내부 캐쉬를 이용해 바로 처리 1234 x 5678 계산 Ram에 키보드로 써서 계산 • 컴퓨터 프로세서가 빠르게 접근할 수 있도록 운영체계, 응용프로그램, 현재 사용중인 데이터를 유지하고 있는 저장 장소.(단기메모리) • 그래픽 카드, 하드디스크, 사운드 카드 등과 통신할 때 중간다리.
Ram의 특징(1) • 저장된 값은 변경될 때까지 남아 있다. • 이미 자료를 가지고 있는 주소에 새로운 자료가 들어오면 먼저 보관되었던 값은 사라진다.(메모리를 비우지 않으면 데이터 손실 유발 가능) • 현재 수행중인 프로그램의 컴퓨터 명령어와 그 프로그램이 사용하는 데이터 저장. • 작업할 때 순차적으로 메모리를 할당하는 것이 아니라 (Random)임의의 공간을 작업공간으로 선택하여 작업.
Ram의 특징(2) • 다른 어떤 컴퓨터 저장장치보다 빠르게 읽고 쓰기를 할 수 있음. • 주 기억장치의 각 위치는 주소에 의해 표시. • 업무에 즉시 이용할 수 있는 데에 초점을 두고 있으며 한번에 아주 적은 양만을 유지. • 메모리가 모자라는 법이 없음. 램이 꽉 차면 자주 사용하지 않는 데이터를 스스로 지우고 새로운 데이터를 삽입. 따라서 항상 운영할 수 있는 상태를 유지하지만 메모리와 디스크 간의 데이터 교환 때문에 사용자가 기대하는 것 이상으로 처리속도 감소.
용량 한번에 처리할 수 있는 용량을 뜻 함. 메가바이트(MB) 단위를 사용. 속도 메모리가 데이터에 접근하는 속도를 뜻 함. 나노세크(ns) 단위를 사용. Ram의 성능-용량과 속도로 결정
Ram 종류(1) • SD RAM • Synchronous DRAM : 동기식 Ram • CPU가 작동할 때 Dram도 따라 움직여 속도를 크게 올릴 수 있음. • 도서관 서기 한 명이 100~133MHz로 64비트 씩 데이터를 옮기는 방식
Ram 종류(2) • DDR SD RAM • Double Date Rate • 주기 한번에 작동하는 데이터 양이 두 배 • 도서관 서기 두 명이 각각 266MHz로 64비트 씩 데이터를 옮기는 방식
Ram 종류(3) • RD RAM • Rambus Dram • 명령과 데이터 주고받는 방법을 바꾼 프로토콜 방식 메모리 작동원리는 Dram • 도서관 서기 한 명이 800MHz로 16비트 씩 데이터를 옮기는 방식
Ram 관련 용어 • Ex) 512M DDR 3200 SM 데스크탑 용 메모리 184핀 400MHz 1) 512M – 512Megabytes 메모리 용량 2) DDR – DDR SDRAM 메모리 규격 3) 3200 –메모리 클럭 3200이면 약 400MHz 4) 데스크탑 용 –일반 pc에 사용 가능한 메모리 5) 184핀 –메인보드와의 호환을 위한 규격
모듈Ram (Module Ram) • Pc의 메인 메모리를 추가할 때 흔히 사용 • 특정 메가비트(Mbit)의 메모리 칩이 모여서 메가바이트(Mbyte)를 구성. • 단면 램과 양면 램이 있음 • 오른쪽 그림 : 72핀 SIMM
This is Rom in main board! • Rom : Read Only Memory의 약자로서 읽기전용 메모리라는 뜻. • 주 기억장치의 한 부분 • 전원 공급이 중단되어도 지워지지 않는 비소멸성 메모리 • 입출력 시스템(BIOS)이나 글꽃(FONT) 등을 저장하는데 쓰임
Rom 의 역할 • 부팅 후 하드와 Ram이 작업을 담당하기 전까지 컴퓨터를 움직임 • MS-DOS나 윈도우 같은 운영체계를 가동하기 전에 컴퓨터의 각 구성요소 점검을 위한 기본정보 내재 • 모니터, 키보드, 디스크 드라이브 등의 정보 전달 방법 및 이용을 제어하는 기본 입출력 시스템(bios 정보) 내재
Rom의 종류(1) • Mask Rom - 칩을 만들 때 공장에서 내부에 각종 자료를 미리 기록해서 생산. 수정 불가 • PRom(Program mable rom) - 내부에 데이터를 써넣을 수 있도록 만든 칩 • OtrRom(one time Prom) - 오직 한번만 지우고 써넣을 수 있는 것
Rom 의 종류(2) • EPRom(Erasable Prom) - 여러 번 지우고 쓸 수 있는 것. 업데이트 가능. ①EEPRom : 전기적인 신호를 주어 데이터를 지우거나 새 로 쓸 수 있다. ②UVEPRom : 강한 자외선을 쏘여 데이터를 지우거나 새 로 쓸 수 있다. 자외선 롬이레이저기, 자외 선 롬라이터기 가 필요.
흔히 말하는 Rom • 보조기억장치 Rom - 많은 데이터를 반 영구적으로 보존하기 위해 사용 • 하드디스크, 플로피디스크, 자기테이프, 자기드럼 등이 있으며 요즘에는 CD도 주로 사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