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0 likes | 459 Views
변환 부호화 이론. 한 영역에서 다른 영역으로 변환한 후 압축한다 . FFT (Fast Fourier Transform) DCT (Discrete Cosine Transform) : 2D, 8 x 8 FDCT (Forward DCT) 여기서 , IDCT (Inverse DCT). 공간주파수 증가. 제 1 저주파항. 제 2 저주파항. =. a1 x. + a2 x. + a3 x. + a4 x. + a5 x. + a6 x. 고주파항. + ……. + a16 x. + a7 x.
E N D
변환 부호화 이론 • 한 영역에서 다른 영역으로 변환한 후 압축한다. • FFT (Fast Fourier Transform) • DCT (Discrete Cosine Transform) : 2D, 8 x 8 • FDCT (Forward DCT) 여기서, • IDCT (Inverse DCT)
공간주파수 증가 제1저주파항 제2저주파항 = a1 x + a2 x + a3 x + a4 x + a5 x + a6 x 고주파항 + ……. + a16 x + a7 x 변환 부호화 이론 [그림 4-25] 일반적인 직교변환(주파수성분의 분해)에 대한 개념도
변환 부호화 - DCT [그림 4-26] Forward DCT 변환 원리
변환 부호화 - DCT [그림 4-27] DCT 계수값에 대한 주파수 분포 [그림 4-28] DCT 변환 예
변환부호화 - DCT [그림 4-29] 64 개의 DCT 기본 함수(basis function)
변환부호화 - DCT (a) 128 x 128 Lenna 영상 (b) Lenna DCT 변환계수 영상 (c) 128 x 128 Citrus 영상 (d) Citrus DCT 변환계수 영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