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30 likes | 4.21k Views
생명존중 자살예방교육. 금강초등학교 2013. 5. 20. 자살에 관한 불편한 진실 우울증은 자살행동에 영향을 주는 대표적인 것이다 . ( O, X ) 2. 여자들이 남자들보다 더 자살을 많이 한다 . ( O, X ) 3. 가장 위험한 자살위험군은 청소년이다 . ( O, X ) 4. 자살은 심리적인 것으로 생물학적 요인과는 관계가 없다 . ( O, X )
E N D
생명존중 자살예방교육 금강초등학교 2013. 5. 20
자살에 관한 불편한 진실 우울증은 자살행동에 영향을 주는 대표적인 것이다. ( O, X ) 2. 여자들이 남자들보다 더 자살을 많이 한다. ( O, X ) 3. 가장 위험한 자살위험군은 청소년이다. ( O, X ) 4. 자살은 심리적인 것으로 생물학적 요인과는 관계가 없다. ( O, X ) 5. 언론에 보도되는 유명인사의 자살은 전염될 가능성이 있다. ( O, X ) 6. 주변의 가족이나 친구가 어느 날 “나. 죽고 싶어”라고 말한다면 옳지 않은 행동이라고 설득하려고 노력한다. ( O, X ) 자살이란 무엇인가? 1.
자료: 2010년 교과부나이스 통계자료(단위:명) 50 39 29 18 10 4 기타 (미상) 가정문제 우울증 성적관련 이성관계 학교폭력
자살 극단적 대처 스트레스
관심과돌봄으로청소년 자살은막을 수 있다. 반드시 자살에 대한 단서나 신호를 보냄. ‘죽고 싶다’ =‘고통스럽다’, ‘도와달라’는 신호 고립감,불행감, 외로움으로 자살 시도
위험요인을 가진 취약한 학생은 자살위험이 갑자기 높아 질 수 있다. 위험요인을 줄일 수 있다면 자살 위험을 줄일 수 있다. 여러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 혼자 해결 극단적 선택 자살
스트레스를 잘 견디고 해결능력기르기 보호요인 많을 수록 자살의 위험을 줄일 수 있다. 생명존중 분위기 확산, 사회 지지 기관과 연계 가족간의 긍정적가치관, 지지하는 분위기
내가 사라져 줄께 더 이상 너를 괴롭히지 않을 거야 문자 낙서 등 아무 것도 내 상황을 바꿀 수 없어 “엄마, 아빠 미안해”,“안녕” 내가 보여 줄거야. 만족하길 바래
갑작스런 행동변화, 활동수준 증가/감소 01 • 물건정리, 주변사람에게 나눠주는 행동 02 • 소중한 물건 버리거나 남을 줌 03 • 용건 없이 전화“잘 지내라”,“안녕” 04 • 평소와 달리 거식이나 과식 05 • 수면형태 변화(불면 등) 06 • 급격한 성적 저하 07
전문 기관과 반드시 연계 자살 방법 자살 생각 자살 시도 자살 탐색 “죽고 싶다” “다시 시작하고 싶다”낙서, 말, 문자, 글 등 자살 사이트 검색 자살 관련 책 자살에 관한 질문 자해 약물 복용 자살장소 탐색
침착성 유지 • 위기 상황 평가 • 경청, • 정서적 지지 • 논리적으로 • 질문하기 • (직접적인 질문) • 비판하거나 • 충고하지 않기 교사 수칙 • 문제해결 위한 • 대안 알게 하기 • 자살 계획 및 빈도 구체적으로 파악
도와주겠다 • 약속하기 • 비밀 보장은 • 무효 • ‘자살 안하기 • 약속이행서’ • 서명하기 • 낙인효과 • 주의하기 교사 수칙 • 지속적인 관심 • 대화하기 • 상담 내용 • 기록 하기
자살이 의심스러울 때 학생에 대한 위기개입 자살을 하려는지 직접적인 질문하기 가정 연락 및 유관기관 도움 청하기 구체적인 대화를 하며 시간 끌기 긍정적 측면과 자신의 소중함을 강조 장소 이동 등 안전한 환경 조성
담임, 학생부장등 관련자에 연락 보호자에게 연락 및 상담 유서 발견 등 학교장에게 보고 학교 위기관리위원회 소집 및 운영
목적 - 자살 위기 상황을 사전에 예방하고 위기 상황 발생시 즉각적인 대처 구성 –위기관리위원장(교장),5~10인 이내 구성 주요 활동내용 학생 안전 및 위기관리 기본계획수립 위기관리 위원 연수 학생생명존중교육 위기학생 조기진단-관리-상담 자살사고 발생시 대처
행정실장 학부모운영위원장 위기관리 위원회 위기관리 위원장 자문 위원 구조-구급요원 교사팀 경찰요원 교감 담임 교사 상담 교사 보건 교사 상담교사 Wee센터 및 정신보건센터 정신과전문의 변호사
학생 상황파악 및 보호자와 협력 영향 받은 학생 리스트 작성, 위치파악 학교 위기 관리 위원회 역할 누가,무엇을, 어떻게 할 것인지 결정 학생 신변확보 및 외부기관연계
상황파악 및 • 학교위기관리 • 위원회 소집 및 대응 • 보호자 연락 및 교육청 사안보고 • (육하원칙) • 응급조치, 구명조치(119, 1339), 현장 보존 • 관리대상자 • 선별 및 위기 • 상담서비스 제공 • 교육청 산하의 • 위기 관리팀 • 지원 요청
학교 귀책 사유 지속적으로 학부모에게 심각성을 알렸는지 문제(따돌림,폭력,체벌)를 알고도 소극적으로 대처했는지 지속적으로 문제해결을 위해 적절한 조치를 했는지 안전교육, 예방교육을 충분히 했는지 출석확인 등 보호감독의무를 했는지 예견 가능성과 대응 보호감독의 의무 위반
생명의 전화 1588-9191 경찰서 112 청소년상담지원센터 1388 정신건강상담전화 1577-019 도움을 주는 기관 긴급구조 119 Wee 센터
충동적이고 예측 불가능하지만 대부분 예방 가능 자살예방의 첫걸음 : 잘 알고 대처할 준비를 하는 것 생명을 구하는 첫걸음은 “무엇인가 하는 것” 남겨진 학생(자살유족)들에 대한 관심과 도움 필요
참고자료 광주 광역시 교육청 자살예방 자료 PPT(초등교사용) 광주광역시 교육청 (2012). 자살예방 메뉴얼
사람의 생명을 구할 수 있는 길은 관심과 사랑에 기초한 인간관계입니다. 생명은 너무나도 소중한 삶의 선물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