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0 likes | 400 Views
김 시 환. Ⅰ. 에너지 안보와 원자력의 역할. Ⅱ. 세계 원자력 발전산업 환경변화. Ⅲ. 국내 원자력 발전산업 현황. Ⅳ. 원전사업 추진 방향. Ⅰ . 에너지 안보와 원자력의 역할. 유가상승 추이 우리나라의 에너지 소비 현실 원자력은 준 국산 에너지 원자력은 환경 친화적인 에너지. 유가상승 추이. 국제유가 는 수급 불균형으로 지속적으로 상승 전망 자원 민족주의 , 에너지 자원확보 경쟁 , 등으로 우리나라의 에너지안보 위협. 우리나라의 에너지 소비 현실.
E N D
Ⅰ 에너지 안보와 원자력의 역할 Ⅱ 세계 원자력 발전산업 환경변화 Ⅲ 국내 원자력 발전산업 현황 Ⅳ 원전사업 추진 방향
Ⅰ. 에너지 안보와 원자력의 역할 • 유가상승 추이 • 우리나라의 에너지 소비 현실 • 원자력은 준 국산 에너지 • 원자력은 환경 친화적인 에너지
유가상승 추이 • 국제유가는 수급 불균형으로 지속적으로 상승 전망 • 자원 민족주의, 에너지 자원확보 경쟁, 등으로 우리나라의 에너지안보 위협
우리나라의 에너지 소비 현실 • 세계 10위 에너지 소비 대국 • 석유 소비 : 7위 • 약 97%의 에너지 해외 의존 • 2005년도: 총수입 2,612억불 에너지수입 665억불 (25.5%) • 중동지역에서 과도한 원유 수입(70% 이상)으로 수급 불안정 • 기술주도형 에너지공급 체제로 전환 필수
원자력은 준 국산에너지 • 원자력은 지속가능 발전 에너지원 • 원자력은 우리나라의 에너지 자급률을 16% 증가 • 안정적이며 경제적인 에너지 공급으로 국가 경제 발전에 기여 에너지 자급율 우리나라 에너지수입 의존도
원자력은 환경 친화적인 에너지 • 기후변화 협약 • 온실가스는 지구의 대기온도를 높여 인류의 생존에 심각한 영향을 끼치고 있음 • 1992년 브라질 리오에서 개최된 유엔 환경개발 회의에서 발의 • 1997년 교토 회의에서 강제적 의무를 설정하는 의정서 채택 • 한국 : 기후변화협약 대응체제 강화 • 정부는 기후협약과 의정서에 모두 비준 • 연간 온실가스 배출량 세계 9위로서 의무 부담 압박 증대 • 온실가스 배출을 억제하도록 원자력이용 확대 필요 CO2발생량 비교(CO2 g/kWh) 원자력은 이산화탄소를 거의 발생하지 않으며, 유독한 SO2, NOx도 발생하지 않음
Ⅱ. 세계 원자력발전 산업 환경변화 • 원자력 르네상스의 징후 • 세계 원전산업 동향
원자력 르네상스의 징후 • 에너지 자원 환경, 기후변화협약에 따라 르네상스 징후가 뚜렷 • 신고유가 시대 도래 및 기후변화협약 발효 • 원전산업을 국가 에너지안보 확보 차원으로의 인식 전환 가속 • 주요국의 정책변화로 세계 원전시장의 확대가 예상 • 에너지 안보 강화, 석유자원 대체 • 온실가스 배출 감축 이행, 환경보전 * 원전발전 용량 증대: 2005년 368GW 2030년 519GW 확대 전망 (IEA 2006년 보고서) • 세계 원전시장 선점 및 경쟁우위를 확보하기 위해 원전업계의 재편 • 도시바의 미국 웨스팅하우스 인수 06.10) • 미쓰비시 - 프랑스 아레바간 사업제휴 (’06.10) • 히타치 - 미국 GE간 사업통합 (‘06.11)
세계 원전산업 동향 • 원전 우호국가의 원자력 기술개발 및 이용확대 추진 -미국 : 에너지법 전면 개정, 15기 이상 원전건설 인허가 준비 - 일본 : ’30년까지 원전비중 30~40%로 확대, ’15년까지 9기 건설 - 중국 : ’20년까지 원전 30기 추가 건설 - 인도 : ’20년까지 원전 17기 추가 건설 - 유럽 : 프랑스, 핀란드 각 EPR 1기, 루마니아 원전 3기 건설 재개 • 원전 중립적 국가의 원자력에 대한 인식 변화 - 스위스 : ’03년 국민투표에서 반핵법안 부결, 신규원전 건설이 가능 - 스웨덴 : ’97년 원전 단계적 축소를 법으로 규정, ’02년 폐지기한 규정 철회 • 인도네시아, 베트남, 브라질, 등에서 2015년경 신규 원전 건설 추진 • 반원전 국가(독일, 이탈리아, 등)의 원자력 재개 움직임
Ⅲ.국내 원자력발전 산업 현황 • 국내 원자력발전 산업 현황 • 원전기술 현황 • 원전산업의 역할
국내 원자력발전 산업 현황 현재 20기의 원전 운영 중: 경수로 16기, 중수로 4기 • 원전 설비용량: 1,772만㎾ (원자력 29%) • 원전 발전량: 1,487억㎾h (전체 발전량의 40% 공급) • 우리나라는 세계 6위의 원자력발전 국가임 • 신규 원전 6기 건설 중 최대 전력공급원으로서 기저수요 담당 가장 저렴한 전력 공급 원자력발전 산업의 기여 원자력발전 산업 규모 • 안정적인 전력공급에 크게 기여 - 전력수요: 연평균 9.1% 증가 - 연평균 경제성장률: 5.8% • 국가 경제발전에 기여 - 전기요금: 7.3% 상승 (’82~현재) - 국내 물가: 219% 상승 (’82~현재) • 원자력 발전산업 총 매출액 : - 8조 1,461억원 (GDP의 1.35%) • 원자력발전 분야 종사자 : 2만 여명
원전기술 현황 원전건설 기술자립 및 독자노형 개발 • 외국으로부터 기술도입단계를 거쳐 단기간에 기술자립 및 국산화 목표 달성 • - 한국표준형(OPR1000) 기술개발 및 반복건설 : 표준 8기 건설, 개량 4기 건설중 • - 신형경수로(APR1400) 기술개발 및 건설 : ’20년까지 6기 건설 예정 1980년대 1970년대 1990년대 2000년대 원자력 발전 기술 도입 기술 습득 및 국산화 추진 기술자립 달성 신형 원자로 개발(APR1400) 신고리3,4호기 신울진1,2호기 고리3,4호기 영광1,2호기 울진1,2호기 영광3,4,5,6호기 울진3,4,5,6호기 월성2,3,4호기 고리 1,2호기 월성 1호기
300 180 273 원자력발전 점유율 (%) 소비자물가지수 250 150 평균전기판매단가 지수 200 120 150 90 106.6 100 100 60 50 30 0 0 1970 1973 1976 1979 1982 1985 1988 1991 1994 1997 2000 2003 원전산업의 역할 값싸고 안정적인 전력공급에 크게 기여 • ’82년 이후 ’05년까지 14년 동안 소비자물가는 173% 상승하였으나, • 평균 전기판매단가는 6.6% 인상에 불과(13회 인상, 10회 인하) • - 원전 도입 이전인 ‘70년도의 경우 소비자물가 상승에 비례해서 평균판매단가 상승, • 원전 도입 이후 1982년부터 평균판매단가 상승 둔화
전기요금 안정에 기여 • 전기요금 안정화에 기여 (’82년~ ’04년) • 전기요금은7.3% 상승,국내 물가는219% 상승
원자력산업의 역할 외화유출 절감으로 무역수지 개선효과 지대 • ’05년도 에너지 수입액은 667억 달러로 국가 전체 수입액의 26% 점유 • ’05년도 원자력발전량을 화석연료로 대체시 석탄 대비 25억 달러, LNG복합 대비 80억 달러 외화지출 절감 ‘05년 원전 발전량 1,468억 kWh 동일량 발전시 예상 연료비 규모
IV. 원자력 르네상스와 원전사업 추진 방향 • 원자력산업의 패러다임 변화 • 원자력정책 개발과 법 제정 • 원자력산업 및 행정체제 개편 • 국민 수용도 향상 • 원전의 경쟁력 향상 • 원전 점유율 향상 • 원자력산업의 수출 산업화
원전의 경쟁력 향상 • 기존원전 운영 개선 • 원전효율 증대, 안전성 향상 • 수명 연장 • 출력 증강 • 기술 혁신을 위한 제4세대 원자로개발(GIF) • 신규 부지 조기 확보
원자력 점유율 증대 제 2차 전원설비 기본계획 ( ’04~’17) ’04~’17 기간 중 원자력 10기 건설 예정 고유가 시대에 석유 의존도를 근본적으로 탈피하고 에너지 자급을 제고 원자력 점유율이중기적으로 60%이상이 되어야 함
원자력의 수출 산업화 원전수출 산업화 추진 현황 기자재, 부품 수출, 인력 송출 추진 중 원자력발전소 플랜트 수출 답보 상태 원천기술 확보 노력 해외 수출 산업 추진 전략 • 원전 Plant Turn Key 수출 • 수출 품목별로 분리 대응 • - 서비스 패키지: 시운전, 운영, 건설관리지원 • - 단위품목: 주기기, 보조기기 • - Plant Package: A/E, NSSS, TG • 해외 공급사와 공동 수출 추진 • 북한과의 원자력산업 협력
요 약 • 우리나라의 에너지안보 위협 증대 예상 • 강대국의 에너지자원 확보 경쟁 가속화 • 에너지 자원 무기화 • 에너지 자급률 제고를 위한 원자력의 이용 확대 • 국가 에너지 안보 향상 • 안정적, 경제적, 환경 친화적인 에너지공급 • 원자력 르네상스와 원전사업 추진 방향 • 원자력산업의 패러다임 변화 • 국민 수용도 향상 • 원전의 경쟁력 향상 • 원전 점유율 향상 • 원자력산업의 해외 진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