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36

중국 연해개방도시 분석 - 진황도 ( 秦皇島 ) 에 대하여 -

[ 중국 경제지리 발표자료 ]. 중국 연해개방도시 분석 - 진황도 ( 秦皇島 ) 에 대하여 -. 2009.06.03. 중국경영학과 이승훈 (4 기 ) 윤상일 (2 기 ) 이재형 (1 기 ). 목 차. 1. 진황도의 개요. 2. 하북성과 진황도의 경제. 3. 중국 개방지역 비교 분석. 4. 진황도 투자기업 및 발전전망. Overview. [ 발표에 앞서서 ..]. 본 발표는 주제는 14 개 연해개방도시 중 하나인 “ 진황도 연해개방도시 ” 에 대한 연구 및 분석이나

maxime
Download Presentation

중국 연해개방도시 분석 - 진황도 ( 秦皇島 ) 에 대하여 -

An Image/Link below is provided (as is) to download presentation Download Policy: Content on the Website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and may not be sold / licensed / shared on other websites without getting consent from its author. Content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only. Download presentation by click this link. While downloading, if for some reason you are not able to download a presentation, the publisher may have deleted the file from their server. During download, if you can't get a presentation, the file might be deleted by the publisher.

E N D

Presentation Transcript


  1. [ 중국 경제지리 발표자료 ] 중국 연해개방도시 분석- 진황도(秦皇島)에 대하여 - 2009.06.03. 중국경영학과 이승훈(4기) 윤상일(2기) 이재형(1기)

  2. 목 차 1. 진황도의 개요 2. 하북성과 진황도의 경제 3. 중국 개방지역 비교 분석 4. 진황도 투자기업 및 발전전망

  3. Overview [발표에 앞서서..] • 본 발표는 주제는 14개 연해개방도시 중 하나인 “진황도 연해개방도시”에 대한 연구 및 분석이나 • 조사 과정에서 “진황도 연해개방도시”에 대한 자료가 다소 부족하여 • 개혁개방에 따른 중국 개방도시에 대해 먼저 알아보고, • 진황도의 “경제기술개발구”에 초점을 두어 발표를 하겠습니다. • 발표 내용이 다소 일반적인 개요에 치중되어 있어 지루할 수 있으니 이해해 주시고, 자료 중 경제수치와 같은 자료는 년도의 차이가 있으니 참고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4. Contents 1. 진황도 개요 • 지명의 유래 • 지리적 위치 • 지역의 규모 • 지하 자원 및 산림자원 • 관광 자원 • 수산자원 및 물 자원 • 교통 • 기후 및 강수량

  5. 진황도의 개요 [지명의 유래] • 진황도라는 이름은 진시황제가 늙어 죽지 않는 불로장생약(不老長生)을 얻기 위해 서복(徐福)에게 명하여 500명의 동남동녀(童男童女)를 파견했던 항구도시라는 데서 이름이 유래. [지리적 위치] • 진황도는 하북성에 있는 항구도시로 하북성 동북쪽에 위치하고 있는 탕산 지구에 속한 현급시. • 남쪽으로는 발해, 북쪽으로는 연산, 동쪽으로는 요녕성, 서쪽으로는 북경과 천진을 끼고 있는 도시

  6. 진황도의 개요 [지역의 규모] • 해항. 북대하. 산해관 3개 도시, 무녕현. 창려현. 로용현 3개의 현, 1개의 청용민족 자치구로 나눠져 있음. • 총 면적 7,523㎢, 총 인구 280만 명이며, 그 중 도시면적은 363㎢, 인구는 650,000명. • 한족, 만족, 회족, 조선족, 몽고족을 비롯한 40여 개 민족이 융합되어 살고 있다 그 중, 한족이 총 인구의 85%를 차지하며 무녕현(抚宁县)에는 하북성에서 유일한 조선족 마을이 있음. • 연산대학, 동북대학 등의 8개 고등교육기관, 16개 중등전문학교, 15개의 직업학교를 가지고 있음.

  7. 진황도의 개요 [지하자원 및 산림자원] • 진황도는 광물 자원, 농수산 자원, 삼림 자원이 풍부한 지역 • 탐측 된 광물질이 총 56 가지 이며 그 중 석탄, 황금, 철, 동, 석회암, 대리석의 매장량이 많음 • 도시의 삼림 피복율1)은 34.45%에 달하며 관할 범위 내의 창이현(昌黎县), 청룡현(青龙县)이 국가 임업국으로부터 ‘중국 포도의 고향’, ’중국 사과의 고향’이라는 칭호를 받음 1) 피복율 : 식생과 지표물이 지표면을 덮는 비율 [관광자원] • 진황도는 중국 정부에서 지정한 갑등(甲等, 최고 등급) 관광 도시 • 가장 유명한 관광지로는 북대하(北戴河), 산해관(山海关), 노용두(老龙头), 장수산(长寿山), 맹강여묘(孟姜女庙) 등이 있음 • 국가기관의 여름 사무지인 관계로 “중국의 여름수도”로 불리 움, 매년 1,000만 명 이상의 관광객이 다녀감. • 1998년에는 전국에서 최초로 “중국 우수여행도시”로 선정

  8. 진황도의 개요 [수산자원 및 물자원] • 해변 도시로서 해안선이 126.4 킬로 미터에 달하며 이에 따라 새우, 꽃게, 해삼, 멍게 등 해산물이 풍부. • 물 저장량이 7.49억 톤으로 화북 지역에서 물 자원이 가장 풍족한 도시로 주목 받음. [교통] • 중국 5대 항구로 큰 규모의 항구인 진황도 부두, 세계에서 가장 큰 자원수출항구, 년 물동량은 2억 톤 이상, 세계 130여 개 국가와 거래 • 고속철도 : 경하(북경 → 하얼빈), 경진(북경 → 진황도), 대진(대동 → 진황도) 등의 3개 철도 노선 연결 • 고소도로 : 북경에서 진황도까지는 약 2시간 가량의 시간이 소요 , 북쪽에는 북경 → 심양(경심 고속도로)경유, 천진 → 진황도(진진 고속도로) • 항공 : 산해관 민간항공, 상해. 대련. 서안. 석가장. 곤명. 온주. 광주. 심양. 하얼빈. 정주. 연대. 남경. 태원 등 17개 도시와 연결.

  9. 진황도의 개요 [기후 및 평균 기온및 강수량] • 온난 습윤한 계절풍 4계절이 뚜렷, 겨울에는 따뜻하고 여름에는 시원한 기후 • 연평균 기온 : 10.1도, / 연평균 강수량 : 698mm / 습도율 : 62% • 연 평균 일조 시간은 2,200~2,850 시간

  10. Contents 2. 하북성과 진황도의 경제 • 하북성의 경제 개요 • 진황도의 도시 경쟁령

  11. 하북성의 경제 개요 [하북성의 경제지표] < 자료출처 : 하북성 통계연감 2004 및 하북성 경제발전 보고 > • 하북성은 1978년 개혁.개방이후 연평균 10.7% 성장률을 유지해 옴 • 2004년 GDP는 전년대비 12.5% 성정한 8,796억 위안으로 전국 GDP의 6.5%를 차지함. • 2004년 1인당GDP는 13,017 위안(1,754달러)으로 전국 11위 규모

  12. 하북성의 경제 개요 <자료출처 : 중국해관통계> <하북성의 10대 수출 상품> (백만 달러, %)> [주요 수출품목] • 모피의류, • 피혁의류와 가죽제품 • 철강, 철강제품, • 유기화학제품(비타민, 항생물질 등) • 2004년 총계 97억 달러 <하북성의 10대 수입 상품> (백만 달러, %)> [주요 수입품목] • 철광석 • 기계류(금속 압연기, 펄프 제조기계, 기타 기계류), • 석유, 석탄, 석유화학제품 (에틸렌, 폴리스틸렌 등) • 2004년 총계 55억 달러

  13. 하북성의 경제 개요 [외국인 직접투자] • 1984 ~ 2004 년 누계 외국인투자 계약건수는 11,868 건 , 계약액은 185 억 달러 ,   실행액은 132억 달러 • 2004년 외국인투자 계약건수는 594건, 계약액 21.5억 달러, 실행액은 16.2억 달러   [시장규모] • 인구밀집지역이어서 큰 소비시장이 형성 (인구규모 중국 6번째) • 3북(서북,화북,동북)지역을 연결하는 교량 역할, 탈출구 역할 [대표 개방 도시] • 석가장, 진황도, 북대하 등 [ 중국의 인구 상위 성∙시현황(‘00) ]

  14. 진황도의 도시경쟁력 [중국 주요 도시현황 분석(2001년)] 주) 도시기준은 직할시, 부성급도시, 경제특구 및 연해개방도시임

  15. Contents 3. 중국 개방 지역 비교분석 • 개방지역의 구분 • 연해 개방도시의 경제적 분류 • 하북성의 개발구소개 • 진황도 경제기술개발구 소개 • 진황도 경제기술개발구 발전 현황 • 진황도 경제기술개발구 분석 • 연해개방도시 14개 개발구 비교

  16. 개방지역의 구분 [경제특구] • 1980년 8월 전국인민대회 15차 회의에서 탄생 • 개방의 최전선, 개혁의 시험장으로 기술, 관리, 대외정책의 창구 역할을 함 • 광동성 : 심천, 주해, 산두 / 복건성 : 하문 / 해남성 : 해남도 5개특구 [연해 개방도시] • 경제특구 시행 이후 대외개방을 촉진하기 위하여 등소평의 제안에 따라 1984년 5월에 국무원이 지정 • 대련, 진황도, 천진, 연태, 청도, 연운항, 남통, 상해, 영파, 온주, 복주, 담당, 광주, 북해의 14개 도시로 선정

  17. 개방지역의 구분 [연해 경제 개방지구] • 국제무역과 국제경쟁에 적극 참가, 수출경쟁력 증강의 발전전략 • 1985년 2월 장강(長江) 삼각주, 주강(珠江) 삼각주, 민남(閩南) 삼각주를 ‘연해개방지대’로 지정 • 1988년 3월 요동반도(遼東半島), 산동반도(山東半島), 하북성(河北省) 발해만(渤海灣)의 진황도(秦皇島)ㆍ당산(唐山)ㆍ창주지구(滄州地區), 광서자치구(廣西自治區)의 일부를 ‘연해개방구’에 포함. • 11곳의 성, 자치구, 직할 시내 290여 지역의 시와 현, 그리고 연해지역에 위치한 시와 현은 대부분 포함되어 있음 [경제기술개발구] • 연해개방도시와 내륙도시에 외국자본과 기술의 도입을 목적으로 외국투자기업을 대상으로 설립한 공업단지(1984년 14개 개발구 설치 시작) • 대련, 진황도, 천진, 연태, 청도, 연운항, 남통, 영파, 광주, 담강, 상해홍교, 상해 조하경, 하얼빈, 장춘, 항주, 무한, 서안, 우루무치, 성도, 합비, 남사 등

  18. 개방지역의 구분 [하이테크 산업 개발구] • 과학기술의 발전과 국제 경쟁력의 강화를 목적으로 1988년부터 하이테크 산업 개발구를 설치하였음.(북경시 ‘하이테크산업 개발구’가 1호) • 북경, 무한, 남경, 심양, 천진, 서안, 상해, 중경, 청도 등 [연해지역의 보세구] • 보세구(保稅區)는 관세, 무역관리, 금융, 외환, 출입국 등에 있어서 경제특구 보다 개방적ㆍ탄력적 정책이 실행되고 있음. • 보세구는 세관이 감독관리를 하는 특수한 지역 • 1991년에 천진, 심천의 복전과 사두각, 1992년에 대련, 청도, 장가항, 영파, 복주, 하문, 산두, 광주, 해구, 1996년에 심천의 염전항, 주해를 포함하여 현재 모두 15곳의 보세구가 있음 [상해 포동개발지구] • 상해는 개혁개방의 시기는 심천(深圳), 주해(珠海) 등의 경제특구보다 10년 늦었지만, 1990년대에 들어와 상해의 포동은 국가급의 개발구, 개혁개방의 전선이 되고 있음.

  19. 전통적인 공업기지를 중심으로 비교적 경제활동이 빈번하고 기본적 기간시설을 갖추고 있는 인구밀집도시에 해당. 천진, 상해, 광주 3개 도시는 연해개방 도시들 중 가장 큰 도시로 위의 조건을 모두 충족하는 도시. 종합개발형 외국 무역상사가 밀집되어 있으며, 이외에 무역중계지로서 특징을 갖고 있는 도시 들로 천진, 청도, 영파 3개의 도시가 이곳에 해당 무역위주형 원자재 조달과 에너지 자원의 연결이 비교적 용이한 항구도시로 주로 수출가공구에 역점을 두어 개발되고 있는 복주, 온주, 남통, 연태, 담강, 북해 6개 도시가 이곳에 해당 육로와 항로의 유리한 조건을 갖춘 지역으로 연운항, 진황도가 이곳에 해당 항구운수형 수출기지형 연해개방도시의 경제적 분류 [경제적 조건에 따른 분류] • 14개 연해개방도시는 각자의 경제조건에 따라 종합개발형, 무역위주형, 항구운수형, 수출기지형의 4가지 특성으로 분류하여 개발하였음.

  20. 연해개방도시 14개 개발구 비교 [14개 지역 연안 개방도시 경제기술개발구 비교] <자료출처 :한국지방자치단체국재화재단 , 2004년 기준>

  21. 연해개방도시 14개 개발구 비교 [14개 지역 연안 개방도시 경제기술개발구 비교] 자료출처 :한국지방자치단체국재화재단 , 2004년 기준 ※ 특이사항 *.상해 민행경제기술개발구, 상해 홍교경제기술개발구, 상해 조하경제기술개발구 3곳 지정

  22. 연해개방도시 14개 개발구 비교 [진황도 경제기술개발구의 경제적 위치] • 진황도 경제기술개발구 는 14개의 개방도시 의 경제기술개발구 중에서 • 부지면적으로 3번째로 큰 지역이나, GDP나 공업생산량은 8번째, • 수출총액 11번째의 규모. • 진황도 개발구는 14개 도시 중에 경제 규모가 그다지 크지 않은 개발구 • 경제규모가 타 지역에 비해 떨어지므로 외국기업유치에도 어려움이 있음

  23. 소재지: 하북성 당산시 • 조성 주체: 성급 개발구 • 주요 입주 업종: 전자, 에너지, 의약, 기계, 신소재 등 • 외국기업 입주현황: 전체 입주 470여사중 일본, 미국, 캐나다, 홍콩 43개 진출 • 한국기업 입주현황: 발실특복장유한공사 개발구 당산경제기술 • 소재지: 하북성 랑방시 • 조성 주체: 성급 개발구 • 주요 입주 업종: 전자, 경방, 기계, 신형건재, 식품 등 • 외국기업 입주현황: 총 투자액 3억불(실제이용기준): 미쓰비시, 니폰페인트 등 • 한국기업 입주현황: 한라, 동양제과, 토탈키친 등 개발구 랑방 경제기술 하북성의 개발구 소개 • 소재지: 하북성 진황도시 • 조성 주체: 국가급 개발구(연해 개발구) • 주요 입주 업종: 철강, 기계, 전자, 경방, 정밀 화공, 건재, 의류 등 • 외국기업 입주현황: 20여개 국가 400여개 기업진출(이토추, 후지쯔 등) • 한국기업 입주현황: LG, 동화열전, 한흥기업 등 30개 진황도경제기술 개발구  하북성에는 성급 개발 구 2곳, 국가급 개발구 1곳이 설치

  24. 진황도 경제기술개발구 소개 [명칭] • 진황도 경제기술 개발구(영문표기,QETDZ 으로 약식표기) • Qinhuangdao Economic & Technological Development Zone [책임자] • 경제기술개발구 총책임자는 “주임” • “주임”은 “진황도 시장”과 동급 지위 [의미] • 하북성에서 유일한 최초의 국가급 경제기술 개발구 • 급격하게 상승하고 있는 발해만 경제개발지역의 중심 동영상소개

  25. 진황도 경제기술개발구 발전현황 2008년 2004년 2003년 국민총생산액 : 51.98억 위안 국민총생산액 : 150.7억 위안 국민총생산액 : 73.2억 위안

  26. 진황도 경제기술개발구 분석 [SWOT 분석] • 총체적으로 규모가 작다 • 타 지역에 비해 경제성장이 늦음 • 첨단 산업의 우세를 형성하지 못함 • 다국적기업의 핵심산업의 흡입력 부족 • 지역 우세 및 마케팅 시장확보 • 편리한 교통 및 통신망 • 풍족한 물 과 전기 공급 • 풍부한 교육기관 및 인적자원 강점 약점 진황도 개발구 • 투자운영 원가(원자재생산) 저렴 • 뛰어난 지역조건과 자연환경 • 개발구 세제 해택 • 완벽한 기초시설 확보 • 외국인 전문 주거시설 마련 • 북경과 천진과 같은 대형 도시 인접으로 산업적 압력 존재 • 서부 내륙지역 개발 이동 • 하이테크개발구, 보세구 등 새로운 대외 개방지역 생김 위기 기회

  27. Contents 4. 진황도 투자 기업 및 발전전망 • 투자 기업 현황 • 한국 주요기업 현황 • 한국과의 연관성 • 발전 전략 및 전망 • 투자진출 유망산업 • 결론

  28. 투자 기업현황 [개발구내 세계 유명 기업] • 2008년 말까지 인준항목 5,255건 • 외자투자 항목 664개 • 총 투자금액 49.9억 달러 • 계약된 외자금액 31억 달러 • 실제도입 외자금액 18.4억 달러 • 국내투자항목 4,591개 • 국내 도입자금 302.2억 위안 • 미국,영국,독일,일본,호주,한국, • 싱가폴,홍콩,대만 등 35 국가 투자 • 미국 GE 회사, 한국 LG 등 세계 500강 기업들이 투자

  29. 한국 주요기업 현황 2007.03.12 일자 기준

  30. 한국 주요기업 현황 ※ 참고) 현재 한인상회 등록 회원사는 36개 회원사임.(대한상공회의소 자료) 2007.03.12 일자 기준

  31. 한국과의 연관성 [거제시와의 자매결연] • 1994년 6월 17일 자매결연체결 • 이후 뚜렷한 교류가 없어 유명무실해 짐. [강동구와의 자매결연] • 2000년 11월 강동구와 자매결연 맺음 • “강동구 경제특구”를 설치, 토지 1만평 무상임대 및 투자기업에 대한 세제해택 (협력서 체결) • 한국 자치구 최초로 중국 유명백화점(금원백화점)에 “한국상품관”을 개점 • “한국상품관”에서는 한국 중소기업 상품만을 전시.판매 • 중저가 및 유명의류 상품을 전문적으로 판매하는 로드거리 태양청 지역 중심시장에 “강동구 강동로” 라는 한국명칭의 거리 만듦. • 강동구 길동사거리 근처에는 진황도라는 이면도로가 있음. [인천광역시 해운항만청] • 2004년 4월 여객선 항로 개척 주 2회 운항 • 2008년 1분기 11,683명, 2009년 1분기 11,270명 이용 [투자유치 움직임] • 올해 진황도 시장 및 정부관계자들이 한국을 방문하여 투자유치 진행

  32. 발전 전략과 전망 [하이테크 산업에 집중투자] • 중국이 단기적으로 세운 목표인 “하이테크산업 집중투자 및 육성”에 맞춰 하이테크 수준을 선진국수준까지 끌어올리려는 목표를 설정 [데이터 산업기지 구축 ] • 지역 내의 데이터 수집, 가공 및 발굴, 뉴미디어(new media), 애니메이션 제작 및 게임제작 등의 산업을 통합 육성할 예정 • 선진 데이터기술과 관리체제를 도입함으로써, 진황도 데이터산업기지를 세계적 데이터산업 중심지로 조성할 계획 [환경 정화사업추진] • 진황도 항구에 장기간 쌓아둔 석탄에서 생성된 먼지가 대기 중에 부유하면서 생기는 오염 등을 막기 위해 진황도의 대기질을 한층 개선할 계획 [완급 조절] • 현재의 경제위기를 벗어나기까지 투자 및 확장을 잠시 보류하고, 현재상태의 유지를 최상의 전략으로 생각하고 있음.(외자기업의 사업철수 사례 발생)

  33. 투자 진출 유망산업

  34. 결론 [긍정적 평가] • 연해개방도시에 선정된 이후, 꾸준한 도시 산업발전과 성장을 이룸 • 지리적 우세조건을 갖고 있으며, 지역 자원과 주변자원의 공급이 원활 • 수도인 북경과 근접하고, 인구 밀집도가 높은 주변지역 시장 보유 • 다양한 관광산업이 발전으로 40여 개의 관광지 보유, 해마다 국내·외 1,000만 명의 관광객 유치 [부정적 평가] • 꾸준한 성장발전은 하였으나, 인근 지역에 비해 성장률이 떨어짐. • 최상의 입지조건과 주변환경 그리고 정부의 투자에 비해 발전이 다소 늦음 • 입체화된 교통과 지리적 유리함을 살리지 못함. • 주변 대도시에 활발한 활동에 밀려 도시 브랜드화에 실패, 외국자본 유치에 어려움 • 전통산업 위주에 산업구조 형성, 신기술 관련 산업 도입 및 인프라 형성이 늦음

  35. 참고 문헌 • 진황도 경제기술개발구 투자촉진네트워크 http://www.investqetdz.org.cn/kr/ (검색일 : 2009.05.28) • 하오산동관광 http://www.haoshandong.net/html/200802/7752.html (검색일 : 2009.05.28) • 와이드차이나 (검색일 : 2009.05.28) • 중국 진황도 경제기술개발구(중문) http://www.investqetdz.org.cn/cn/ (검색일 : 2009.05.29) • 한국지방자치단체 국제화재단http://beijing.klafir.or.kr/center/c04.jsp (검색일 : 2009.05.30) • 중국 수출시장 권역별 진출 전략.HWP • 한중 FTA 대비 협상전략 연구.PDF • 중국 50대 도시별 경쟁력 비교.HWP • 그 밖에 인터넷 블로그, 카페 등

  36. Thank You !

More Rel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