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12

박용철 ‘ 떠나가는 배 ’

현대시 심화문제. 박용철 ‘ 떠나가는 배 ’. 1 연 : 떠나야만 하는 절박감. 2 연 : 이성과 감성 사이의 갈등. 3 연 : 목적지도 없이 떠나는 괴로운 심정. 4 연 : 떠나려는 결연한 의지. 서정적 . 의지적 . 낭만적 . 독백적 . 수미상관 . 반복법 . 설의법 . 주제 : 고향과 정든 사람들을 떠나는 슬픔. 박용철 ‘ 떠나가는 배 ’. Q. ' 나 ' 는 지금 어디 ? 무엇 ?  떠나가는 배 위 . 항구를 바라보고 있음 .

maura
Download Presentation

박용철 ‘ 떠나가는 배 ’

An Image/Link below is provided (as is) to download presentation Download Policy: Content on the Website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and may not be sold / licensed / shared on other websites without getting consent from its author. Content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only. Download presentation by click this link. While downloading, if for some reason you are not able to download a presentation, the publisher may have deleted the file from their server. During download, if you can't get a presentation, the file might be deleted by the publisher.

E N D

Presentation Transcript


  1. 현대시 심화문제 박용철‘떠나가는 배’ 1연 : 떠나야만 하는 절박감 2연 : 이성과 감성 사이의 갈등 3연 : 목적지도 없이 떠나는 괴로운 심정 4연 : 떠나려는 결연한 의지 서정적. 의지적. 낭만적. 독백적.수미상관. 반복법. 설의법. 주제 : 고향과 정든 사람들을 떠나는 슬픔.

  2. 박용철‘떠나가는 배’ Q. '나'는 지금 어디? 무엇? 떠나가는 배 위.항구를 바라보고 있음. Q. 항구는 화자에게 어떤 곳? (시 속에서 찾을 것) 아늑한 곳, 사랑하는 사람들이 사는 곳. 고향 Q. 이런 고향을 떠나는 '나'의 심정은?  2연 "손쉽게야 버릴 거냐“ 아쉬움. 3연의 "못 잊는 마음“ 미련과 애착. Q. '나'가 고향을 떠나서 갈 곳은 정해져 있을까?  아니요. 3연 4행 "앞 대일 언덕인들 마련이나 있을 거냐.“ Q. "나 두 야"라고 표현한 이유를 시적 상황과 관련지어 생각해 본다면? "나 두 야” 고향을 떠나는 망설임 (미련)“가련다”‘간다’ 고향을 떠나겠다는 의지

  3. 쓸쓸한 뫼 앞에 (김영랑) • 쓸쓸한 뫼 앞에 후젖이 앉으면 • 마음은 갈앉은 양금줄같이 • 무덤의 잔디에 얼굴을 부비면 • 넋이는향맑은 구슬 손같이 • 산골을 가노라 산골을 가노라 • 무덤이 그리워 산골을 가노라

  4. 김영랑 ‘눈물에 실려 가면’ 서울 산길 눈물 흘리며 한걸음 한걸음 뱃길 슬픔을 노래로 승화 무덤 달빛 • 4음보. 애상적. 여운(명사형종결.서술어생략)공간의 이동에 따라 속도감을 조절. • 주제 : 눈물에 실려 서울로 가는 마음사랑하는 사람을 상실한 아픔.

  5. 조지훈 ‘완화삼(玩花衫)’ - 목월에게 자연 차갑고 슬픈 현실 인식(이상에 도달 ×  슬픔) • 박목월에게 보내는 시 • 성격 : 낭만적. 애상적. 풍류적. • 표현 : 민요조(7.5조. 3음보)감각적. 향토적 이미지 영탄조. 여운. • 주제 : 유랑하는 나그네의 애상다정다한한 나그네의 우수 • 비판 : -현실에 소극적으로 대응. • 서사 :나그네가 될 수밖에 없는 현실 정처없는유랑길을 떠나는 화자 자연과 합일된 심경을 느낌 자신의 처지에 애상감을 느낌. 나그네의 삶(구름처럼. 물결처럼) 자연과 인간이 합일된 경지 (해질녘 풍경에 몰입) 꽃의 소멸에 대한 애상감 (꽃 화자를 위로해 주는 사물) 달빛 받으며 떠도는 나그네(여운 계속되는 방랑) 인간

  6. 백석 ‘팔원’ – 서행시초3

  7. 백석 ‘팔원’ – 서행시초3 • 기행시. 연작시 • 서정적. 애상적. 사실적 • 단련시(單聯詩). 승합 자동차의 안팎 묘사와 필자의 상상 • 제재 : 승합 자동차를 타는 나이 어린 계집아이 • 특징 : 엄격한 행이나 연의 구분이 없이 자동차 속에서의 상황과 차창 밖의 상황을 사실적으로 묘사함 • 주제 : 일제 치하 한 계집아이의 고통스러운 삶과 연민의 정 • -출전 : <조선일보>(1939)

  8. 황동규 ‘퇴원 날 저녁’ 죽어가는 난(동병상련)  뜨거위지는 난 깨진~ 켜진~ 미등(동병상련)  배터리 닳지 말길 1907년 귀 수술  안면신경마비 삶에 대한 의지 • 표현상의 특징 : 현재형 어미 사용 - 현장감, 생동감 • 시간의 흐름에 따른 시상 전개 • 자연물을 활용하여 정서를 효과적으로 드러냄 • 주제 : 쇠잔한 생명에 대한 연민과 자신의 삶에 대한 의지

  9. 황지우 ‘거룩한 식사’ 나이든 남자가 밥 먹는 모습 화자 See 연민의 감정 ▲1연 : 어린 시절의 가난 떠올림 눈물 흘림 (개인) ▲2연 : 밥 먹는 일의 거룩함 (사회) * 주제 : 가난한 사람들에 대한 연민과 먹는 행위의 거룩함. * 어조 : 연민의 어조 * 표현 :  ① 역설적 표현을 통해 주제 의식을 강조함.  ② 특별한 시적 장치 없이 담담하게 서술 진솔한 감정을 드러냄

More Rel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