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0 likes | 444 Views
1 과학적 배차관리. 현 황. 이용객 10%, 수익금 500 억 증대. 개 선. 수요기반 합리적 배차시간 결정 전산화로 효율적 운행횟수 산정 과학적 배차관리 및 감독. 경험에 의한 배차시간 결정 시행착오 통한 운행횟수 조정 업체의 피동적 배차관리. 흐 름 도. 안정기. 최 종 시간표 적 용. 교통카드 / BMS 자료. 수 리 모 형. 모 형 결 과. 노선 / 회차별 승하차수 정류장 / 시간대별 승하차수 노선 / 시간대별 통행시간
E N D
1 과학적 배차관리 현 황 이용객 10%, 수익금 500억 증대 개 선 수요기반 합리적 배차시간 결정 전산화로 효율적 운행횟수 산정 과학적 배차관리 및 감독 경험에 의한 배차시간 결정 시행착오 통한 운행횟수 조정 업체의 피동적 배차관리 흐 름 도 안정기 최 종 시간표 적 용 교통카드 / BMS 자료 수 리 모 형 모 형 결 과 노선/회차별 승하차수 정류장/시간대별 승하차수 노선/시간대별 통행시간 노선/차량 정류소 도착시간 시민편익, 수익성, 근로조건 제약 조건하에서 승객수를 극대화하는 수학적 모형구축 적정 소요대수 배차시간표 인가내용 적정성 현장적용 (파라미터수정) 과도기 매일 Feedback 목표달성 전략 일일배차 최적화 : 시간대별 수요에 대응하는 배차계획 및 탄력적 노선개발 → 300억 증대 요일별전략 시행 : 휴일특성에 맞는 감축비율 적용 → 50억 증대 월별전략 시행 : 방학감축 비율 및 기간 확대 → 150억 증대
시험적용 성과분석 < 200번 적용전후 승객변화 추이 > 이용객 증대 12,152 11,963 12,558 12,650 13,119 • 적용대상 : 입찰간선 4개노선 • 적용기간 : ’04.12.23~’05.1.14(평일) • 적용내용 : 운행대수 유지하고 수요대응 배차관리 • 이용객 변화 적용2주전 적용1주전 적용1주 적용2주 적용3주 일이용객 < 660번 적용전후 승객변화 추이 > 구 분 200번 400번 601번 660번 7,204 7,328 8,577 8,658 8,978 적용전 11,799 6,445 10,319 7,144 적용후 12,558 5,511 9,073 8,577 증감율 6.4% -14.5% -12.1% 20.1% 적용2주전 적용1주전 적용1주 적용2주 적용3주 주1) 적용전(2004.10), 적용후(2004.12.27~30) 주2) 8월(여름방학) vs 10월 승객비교 • 200번 : 10,852 →11,799 (8.7%) • 400번 : 4,256 → 6,445 (51.4%), 단국대 • 601번 : 7,725 →10,319 (33.6%), 이화여대/연세대 일이용객 ※ 회수증회에 따른 수요유발 기대`
비 용 절 감 < 요일별 소요대수 분석결과 > • 입찰간선노선 소요대수 분석 - 적용대상 : 입찰간선 21개 노선 - 분석기준 : 2004.11 카드이용건수 - 분석결과 ㆍ감축대수 : 평96대, 토95대, 휴일157대 ㆍ감축비용 : 연간 140억여원 • 운행대수 감축에 따른 추진사항 - 업체간 증감차, 공동배차 추진 중 - 운행사원 Shift제 추진 중 • 감축차량 활용계획 - 신규ㆍ맞춤노선 등에 투입 활용 첨두 비첨두 (회/30분)
2 과학적 노선관리 새 체계 기존체계 외곽구간 - 배차지연 - 수요이탈 외곽구간 - 배차간격단축 - 잠재수요유인 개 선 주요구간 - 중복노선제거 - 교통량감소 주요구간 - 과다중복 - 과다경쟁 ※장거리노선 분리 및 환승체계 구축 흐 름 도 교통카드 / BMS 자료 분 석 과 정 산출결과 적용 기존노선 유지 노선별 정류장 리스트 정류장별 O/D자료 노선별 수입금자료 구간별 통행속도 평가지표 - 이용객 - 수입금 - 정시성 - 중복도 등 양호` 종합지표 기존노선 조정 및 폐지 공동배차 등 추가투입 노선 신설·연장 불량 적용사례 구분 변 경 구 간 일일카드승객 증감율 과학적 노선계획의 필요성 대두 100번 (2004.8.28시행) 변경전 미아사거리~성신여대~종로 5,342 45.1%증가 ※ 변경전(2004.8) , 변경후(2004.9) 변경후 미아사거리~신설동역~종로 9,725
기본 데이터 운송비 산출 변동원가 대-Km산정 • 인허가 내용 - 노선, 배차 - 운행대수 • 운행실적 - 카드 데이터 - BMS 데이터 경유, CNG 단가 차고지 공시지가 차량 감가상각비 운전직 인건비 운행회수 운행거리 운행대수 차량별 운송비 노선별 운송비 회사별 운송비 3 투명한 운송비 관리 인허가 사항 관리 - 각 담당자별 직접 입력 후 자동정리 - 최종 인허가 사항 실시간 자료공유 원가항목관리 및 정산 체계 - 원가 변동항목 자동입력 - 프로그램에 의한 자동정산 인허가 사항 관리 - 각 담당자별 인허가 수행 - 문서에 의한 자료공유로 시차발생 원가항목관리 및 정산 체계 - 원가 변동항목 수동입력 - 엑셀시트에 의한 정산수행 기존체계 새 체계 개 선 운송비 정산 운수회사 확인 가동비, 보유비 정산기준 기대효과 투명하고 효율적인 운송비 산정 중복작업 감소 업무 자동화 실시간 Feedback 업무 소요시간 감소 및 정확성 증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