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40 likes | 1.15k Views
2 조 그리스 로마의 건축 , 도로 , 상하수도. 박정미 송용욱 송현지. 그리스 로마의 건축. 그리스 로마의 상하수도. 1. 3. 로마의 도로. 2. 목차. 그리스 , 로마의 건축. 그리스 건축의 특성. 그리스인들은 균형 , 비례 , 조화 의 세 요소를 예술의 기본 요소로 삼고 미술 양식에 엄격히 적용하였다 . 감정적이 아닌 지적인 특성 선 , 형태 , 균형이 강조. (1) 그리스의 건축. 그리스 건축의 특성. ① 건축재료
E N D
2조 그리스 로마의 건축, 도로, 상하수도 박정미 송용욱 송현지
그리스 로마의 건축 그리스 로마의 상하수도 1 3 로마의 도로 2 목차
그리스 건축의 특성 그리스인들은 균형, 비례, 조화의 세 요소를 예술의 기본 요소로 삼고 미술 양식에 엄격히 적용하였다. 감정적이 아닌 지적인 특성 선, 형태, 균형이 강조 (1) 그리스의 건축
그리스 건축의 특성 ① 건축재료 • 지중해 연안의 풍부한 석재를 건축의 주재료로 이용 ② 외부공간의 발달 개방적인 외부공간이 발달 ③ 건축형태 • 건축물의 실용성이나 공간미보다는 형태미를 추구하여 건물의 외형적 아름다움을 중시 ④ 주범양식 - 도리아식, 이오니아식, 코린트식으로 구분
(3) 신전건축 ①재료 및 구조 목재 → 석회석과 같은 무른 석재→ 대리석 ② 건축형태 - 그리스 신전은 공간보다는 형태를 중시한 조각적 형태의 건축 ③ 착시교정 기법 완벽하고 이상적인 건축형태의 표현을 위해 착시현상을 미리* 배흘림(Entasis) * 라이즈(Rise)* 안쏠림 * 기둥직경 * 기둥간격
(2) 로마의 건축 특징 공공의 성격 현실적이고 기능적인 성격 아치, 둥근 볼트 콘크리트와 같은 새로운 건자재가 사용 바실리카나개선문, 콜로세움, 대목욕탕처럼 기념비적이고 비종교적인 건축 포장도로, 다리, 터널, 하수구, 운하 등 실용적인 토목공학도 발달했다.
(1) 건축재료 - 화산재와 석회를 혼합하여 콘크리트를 최초로 사용 (2) 구조 - 조적식과가구식을 혼용 (3) 대규모공간의 형성 - 콘크리트의 발명 및 아치ㆍ보울트의 사용으로 시공기술과 구조기술이 발달하여 대규모 공간의 형성이 가능하게 되었다. (4) 주범양식 (Order Style) - 콤포지트식, 토스카나식을 발전시켰다. (5) 건축의 다양성 - 포럼, 신전, 바실리카(Basilica), 체육시설, 공공욕장, 주거건축, 개선문과 기념주, 교량ㆍ상하수도ㆍ수도교와 같은 토목구조물, 궁전, 극장 등 다양하고 실용적인 건축물이 축조되었다.
로마의 대표적 건축물 콜로세움 개선문 판테온
도로의 중요성 한국 : 국토종합개발 계획을 통해 근대화의 기틀 다져짐 → 국토종합개발계획에서 먼저 추진하였던것? 도로의 건설 로마인들은 도로의 중요성 깨닫고 로마전역을 거미줄처럼 도로로 연결 : 로마군이 어떤 지역을 정복한 뒤, 거기에 길을 놓는 통치방식 (1) 로마의 도로
아피아 가도 • 세계 최초의 포장도로 • 모든 로마식 가도의 본보기가 됨 - 기원전 312년 로마와 이탈리아 대도시인 카푸아 사이 연결 • “아피우스의 길”이라는 뜻 ▷ 재무관이었던 아피우스가 입안 • 로마의 도로 명칭은 건설 지휘자의 이름을 땀 • 아피아 가도 이후로 수많은 가도가 착공
(2) 로마의 도로 구조 도로 착공 절차 절차 : 도로 만들기전에 측량도구 이용하여 도로를 낼 가장 짧은 길이 선정 → 경사를 맞추어 토공 → *포장 → 도로 양 옆에 배수로를 둠
도로 구조(포장) 총 4층으로 구성 ① 최하층 -스타투멘(Statumen) : 맨 아래층 의 토대, 큰 바위돌이나 자연석 ② 제 2층- 루두스(Rudus) : 기초 위에 작은 돌과 점토를 섞은 혼합물 ③ 누클레우스(Nucleus) : 작은 사금파리 등 의 혼합물, 완만한 아치형이 되도록 채워넣음 ④ 파비멘툼: 단단한 돌을 견고하게 올림 포장시로만콘트리트( (화산회+석회)의 모 르타르에 자갈이나 돌을 섞은 콘크리트)사용
(2) 로마의 도로 특징 로마 도로 특징 도로 주로 직선형이며 바닥이 견고 도로 표면이 완만한 아치형 이루게 하여 배수 원활히 함 차도 양옆에 배수로 설치 포장도로 바깥쪽 나무 심는것 금지 – 지하로 뻗은 뿌리로 인한 도로 침식 우려 인도 설치 – 전속력으로 말이 달리거나 마차를 몰 수 없는 상황 발생 가능성 염두
도로의 중요성 로마제국은 대규모의 상하수도를 건설 공공 및 사용(私用) 욕탕, 납과 청동으로 만든 급수관, 대리석으로 만든 위생기구는 고대 로마문명의 높은 수준을 나타냄 4∼5세기의 로마에서는 수세변소나 배관기구가 발달·보급되었다. 중세의 약 1000년 동안에는 특이할 만한 발달은 없었고, 18세기 후반이 되자, 겨우 도시의 공공하수도가 건설되기 시작. (1) 상・하수도의 역사
1) 상수도의 역사 2) 하수도의 역사 - 수도시설은 상수도보다 클로아카(cloaca)라는 하수도가 먼저 만들어졌다. • 이는 로마에 남는 물을 모아 테베레 강으로 흘려보낼 필요가 있었기 때문이었다. 그런데 기원전 312년에 한 정치가에 의해 상수도 시설이 갖추어 지면서 로마는 현재의 상하수도시설과 거의 유사한 '수도시설'을 갖추게 된다.
2) 상수도 기원전 300여년 경에 만들어진 로마의 아피아수도 연장 18㎞ 수로(水路)가 통과되는 산에는 터널을 뚫고 계곡에는 수로교를 만들어 도수하여 물을 공급하였다. 로마제국 멸망과 함께 수도시설도 모두 파괴되었다.
3) 하수도 • 로마 포럼 내의 가장 오래된 유적의 하나로 원래 BC 6세기에 개천 바닥에 돌을 놓아 만든 노천 수로였다. - BC 3세기에 수로 위에 원통형 볼트를 덮었다. - 주요기능은 폭우 시 포럼 지역의 빗물을 테베레 강으로 흘려보내는 것. - 제정시대에 이르러 공공욕장 및 변소와 연결시켜 하수를 보내는 기능. - 돌을 쌓아 만들었던 것이 대부분 콘크리트로 바뀌었다.
4) 수로교 - 세고비아로 먹을 수 있는 물을 전달해주는 중요한 수로 • 폭우이나, 지진, 태풍에도 견딜수 있는 내구성을 가지고 있다. • 20,400개의 돌벽돌을 쌓아 올려짐 • 순수한 돌로 석회 성분이나 콘크리트 성분이 전혀 포함되어 있지 않다. • 돌벽돌은 완벽한 평형을 이루어 쌓여 있어 흔들림 없이 지금까지 스스로 유지 • 길이는 약 800m, 높이는 30m이며 167개의 아치로 되어있다.
트레비 분수 • 로마 인구는 최대 약 150 만 명에 이름 • 14개의 고가수로를 통해 물 공급 • 그 기념으로 분수를 만듦. • 트레비분수: 니콜라살비에 의해 1732년부터 30년의 공사기간을 거쳐 완성 • 트레비 분수에 공급되는 물은 "처녀의 샘"이라고 수원지로부터 아우구스투스 대제때의 집정관 아그립빠에의해 건설된 고가수로를 통해 공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