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0 likes | 458 Views
약사역할 재정립을 위한 세계 각국의 동향. 서울대학교 약학대학 권경희교수. 약사의 역할. 높음. 보험자의 간섭정도. Drug DistributionManager. Drug Therapist/ Primary Care Gatekeeper. Drug Use Counselor. Primarily Distributive Role in Dispensing. Drug Use Counselor. Drug Therapist. 낮음. 낮음. 높음. 약사업무의 가치. 환자돌봄 과정에 따른 약사의 역할.
E N D
약사역할 재정립을 위한 세계 각국의 동향 서울대학교 약학대학 권경희교수
약사의 역할 높음 보험자의 간섭정도 Drug DistributionManager Drug Therapist/ Primary Care Gatekeeper Drug Use Counselor Primarily Distributive Role in Dispensing Drug Use Counselor Drug Therapist 낮음 낮음 높음 약사업무의 가치
환자돌봄 과정에 따른 약사의 역할 • Drug distribution manager • Drug use counselor • Drug therapist • Primary care provider
Drug distribution manager • 조제약 유통전반에 관여 • 필요 시 처방전기재 의약품 검토 • 약사보조원과 자동화기기를 사용하여 조제 • 환자와의 접촉 적음 • 투약 결과 검토
Drug use counselor • 대부분의 시간을 처방조제의 사용과 관련하여 환자 상담에 사용 • 의사 및 환자와 함께 약물치료효과를 모니터 • OTC의약품 사용에 관한 조언 • 의약품 유통과 관리에 관여 • 보험자와 환자에게 의약품사용평가결과 제공
Drug therapist • 의사와 함께 약물치료방법 계획, 실시한 뒤 그 용법 용량에 관한 조정 • 약물치료법과 약물사용에 관하여 환자에게 자문하고 모니터 • 약물치료결과에 대한 책임 공유 • 의약품조제업무는 거의 수행하지 않음
Primary care provider • 환자를 제일 먼저 대함 • 돌봄의 정도 파악 • 기본적인 진단 및 처방전 작성 • 적절한 의료전문가에게 환자를 보냄
약사직능변화와 관련된 사회변화 • 의사 처방전을 조제하기 위한 인력 필요: 약사등장 • 제약기술의 발달: 조제업무의 단순화 • 처방조제의약품의 의료보험 적용 확대 • 약사는 단순 기능인 • Technician or Automation에 의한 대체 시도 • 보건의료비의 급상승 • 보건의료비를 줄이기 위한 방법모색 • 약사에게 많은 관심 보임 • 약사인력 활용방안 모색 • 약사 면허, 교육제도 등의 개선안 마련 중
약사, 약국의 역할과 기능에 영향을 주는 인자들 의사 등 타 의료인 약학교육, 약사인력 소비자의 인식, 태도, 인구학적특성, 건강상태 등 관련 제도, 규정 약사. 약국의 역할, 기능 약사관련단체 자동화 기술 보험자 신약,OTCs,제약기술 의료기관 등
나라마다 약사인력에 새로운 관심을 쏟는 이유(1) • 의사인력의 대체인력으로서의 중요성 증대 • 반드시 의사가 아니어도 되는 일은 상대적으로 저렴한 대체인력에게 할당. • 의사를 대체하거나 함께 일할 수 있는 약물치료 상담자 또는 약물요법가 필요. • 약사가 적격
나라마다 약사인력에 새로운 관심을 쏟는 이유(2) • 의사의 처방행위에 대한 점검자로서의 중요성증대 • 의사의 처방전을 면밀히 분석하여 문제점을 발견하고 개선점을 제시할 수 있는 인력이 필요. • 보험자에게 유익한 정보제공 • 불필요한 약제 사용 방지 • 대체조제를 통한 의료비 절감 • 약사가 적격
나라마다 약사인력에 새로운 관심을 쏟는 이유(3) • 환자의 복약순응도 증대를 통한 약물치료효과 극대화모색 • 복약지도 불이행요인 제거 • 적절한 복약지도, 복약순응도 상승 • 경제적인 약물요법 • 약사가 적격
나라마다 약사인력에 새로운 관심을 쏟는 이유(4) • 자가투약행위의 중요성 증대 • 처방약의 비처방약으로의 분류가 많아짐 • 비처방약으로 치유 가능한 질환이 많음 • 비처방약과 처방약의 상호작용 발현가능성 제어 • 합리적인 자가투약행위를 위한 적절한 조언제공자 필요 • 약사가 적격
나라마다 약사인력에 새로운 관심을 쏟는 이유(5) • 약제의존층 증가 • 노인인구 증가 • 새로운 의약품 등장: Biopharmaceuticals 등 • 급성질환에서 만성질환으로의 이행: 의약품의존인구증가 • 약제의존층의 수요 약사 해결 가능
사회요구에 따른 약사들의 노력 • 미국 : 자신들의 가치를 자기 스스로 만들어 감. • Pharmaceutical Care개념 도입 • Pharm.D. 과정으로 교육과정 전환 • 유럽 : EU 구성 과정에서 약사인력 재조명 사회가 필요로 하는 약사를 정의함. • Pharmaceutical Service개념 도입 • 임상교육강화
약사 역할 재정립을 위한 미국 약사들의 노력 • 1975 : Millis Commission report “Pharmacist for the future” • 1980-1988 : Developing strategic plans for the association and pharmaceutical education • 1984 : Task Force on Pharmacy Education of APhA “5-year B.S vs 6-year Pharm.D.” • 1989 : ACPE Pharm.D로 전환 천명 • 1989-1994 : Commission to implement change in pharmaceutical education
미국 약사 자질강화 방안 • 모든 약학교육과정을 Pharm D. 과정으로 • 기성 약사에게는 Non-traditional Pharm.D.제공 • Pharmaceutical Care개념 도입 • 지역약국 (Community Pharmacy)의 중요성 강조 Residency 과정 개발 • 약사 연수교육 강화 • 약사 신고시 연수교육이수 의무화 • 약사면허취득 전 실무수련의무화
Pharmaceutical Care (Drug prescribing process) • Determining the dose & dosage schedule • Selecting appropriate dosage forms and delivery systems • Selecting the drug product source of supply • Preparing the product for use • Providing the pharmaceutical to the patient • Providing drug information to the patient • Monitoring the patient to maximize compliance • Detect adverse drug reactions • Minimizing drug interactions • Monitoring patients for therapeutic outcomes
EU Guideline • 약사의 역할 • 환자가 의약품을 안전하고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도와 줌으로서, 환자 복지에 기여할 뿐만 아니라 자국민의 건강상태를 개선하는데 기여해야 한다. • 의약품제조 및 의약품이 적절하게 처방되고 조제가 이루어지게 할 뿐만 아니라 환자에 의해 올바르게 사용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
유럽 약사교육 개선방향 • 약사교육은 환자에게 안전하고 효과적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이루어져야 한다. • 약사들은 그들의 전문화된 약물지식을 업무에 적용하고 사회의 안녕에 이바지 할 수 있어야 한다. • 이를 위해 약사교육과정 및 관련 법규의 개선이 병행되어야 한다. • 약국의 사회적 가치 재조명. Health protection of consumers Council of Europe Higher Education and Research Committee
약사의 미래는? 약사에게 투자할 수록 국가 보건의료제정 절감효과를 기대할 수 있고 국민의 삶의 질 향상 및 약물치료효과를 극대화 시킬 수 있다는 점을 입증시킬 수 있어야 함. 사회적요구에 부응할 수 있는 역할 수행을 위해 약사자질강화의 노력에 최선을 다해야 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