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50 likes | 545 Views
警察硏究方法論 張 哲 榮. 제 3 편 연구설계 및 연구유형. 제 10 장 연구설계의 의의 및 유형 제 11 장 사례연구 제 12 장 실태연구 제 13 장 내용분석 제 14 장 실험연구. 문제 ( 주제 ) 의 선정. 개념화 및 이론화. 문헌 고찰 ( 이론 검토 ). 개념적 틀 도출. 가설의 설정. 연구조사 설계. 측정도구의 개발. 표본의 추출. 자료 수집. 측정. 자료의 정리. 자료 분석. 분석기법의 적용. 가설의 검증. 분석결과의 해석. 결과 제시.
E N D
제 3 편 연구설계 및 연구유형 제 10 장 연구설계의 의의 및 유형 제 11 장 사례연구 제 12 장 실태연구 제 13 장 내용분석 제 14 장 실험연구
문제(주제)의 선정 개념화 및 이론화 문헌 고찰(이론 검토) 개념적 틀 도출 가설의 설정 연구조사 설계 측정도구의 개발 표본의 추출 자료 수집 측정 자료의 정리 자료 분석 분석기법의 적용 가설의 검증 분석결과의 해석 결과 제시 결론의 도출 보고서 작성
제 10 장 연구설계의 의의 및 유형 1. 연구설계의 의미 • 연구문제에 대한 해답을 얻도록 착상된 계획 • 연구를 수행하고 통제하기 위한 하나의 청사진 또는 윤곽 • 넓은 의미: 연구문제의 검토 등 연구의 초기단계에서부터 분석결과의 해석에 이르기까지 연구전체를 수행하고 통제하기 위한 계획 • 좁은 의미: 정립된 연구모형 및 가설을 경험적으로 검증하기 위한 조사활동에 대한 계획
2. 연구설계의 특징 • 연구문제에 대하여 일정하게 한정된 해답만을 제공 • 연구문제에 대하여 유일하고도 완전한 연구설계는 존재하지 않음. 즉, 연구상황, 연구자의 이론적 관점, 방법론 등에 따라 다양한 연구설계가 가능함. • 연구조사와 관련된 여러 가지 다양한 실제적 요인을 고려한 하나의 타협안 • 설정된 그대로 수정없이 시행해야 하는 계획이라기보다는 올바른 방향으로 연구하기 위한 하나의 청사진
* 주요 연구유형–각 유형별 연구설계 방법 • 사례연구 • 실태연구 • 내용분석 • 실험연구
제 11 장 사례연구 1. 사례연구의 의의 • 어떤 현상이 지니고 있는 특성을 집중적으로 파악함으로써 연구문제를 해결하려는 연구유형 • 하나의 개별적 또는 집단적 현상(사례)을 집중적.심층적.다차원적.종합적으로 연구함. • 적용 분야 및 예 - 의학에서 질병의 동태 파악 - 심리학에서 사람의 심적 작용(변화) 고찰 - 경영학에서 기업경영상 애로 또는 성패 원인 발견 - 행정학에서 개별 정책의 결정 또는 집행 연구 등 • 대체로 모집단 자체를 직접적인 연구대상으로 함 • 주로 탐색이나 기술을 목적, 질적 연구(분석)방법의 하나
4. 사례연구의 절차 연구문제의 형성 연구모형 정립 또는 가설(명제)의 제시 분석대상 및 분석단위 선택 자료 수집 자료와 명제의 연결
[사례연구의 예 (p.113)]* 김렬.고재경(1996). 환경정책결정과정에서의 정치적 합리성: 주민참여 형태와 정부대응 방식을 중심으로. 「한국행정학보」, 30(4): 91-104. • 연구문제 • 정책결정은 다양한 이해관계를 갖는 개인이나 집단의 의견수렴과정을 거침. • 우리나라의 환경정책결정과정이 절차적인 관점에서 어느 정도 정치적 합리성을 확보하고 있는가를 파악하고자 함. • 이론 검토 및 연구모형 • 정책과정 및 정치적 합리성과 관련된 다양한 이론 검토 • 본 논문에서는 Diesing의 ‘의사결정 구조이론’과 Habermas의 ‘의사소통 능력이론’에 기초하여 분석틀 정립. • 연구모형(교재 p.114)에 따르면, 정치적 합리성 수준은 제도적 측면에서 의사소통 구조의 합리성 정도와 실제적 측면에서 언어 흐름의 왜곡 정도에 따라 결정됨.
연구대상 및 자료수집 • 연구대상: 경기도 군포시 쓰레기 소각장 입지결정과정 • 대상선정이유: 환경시설 입지와 관련된 정부-주민간 갈등 중 가장 장기적이고 극적인 대립양상 사례 • 자료수집: 각종 문헌(법규, 관보 및 공문, 신문 또는 잡지, 성명서 등), 주민과 공무원 면담 • 자료정리: 1990년이후 6년동안을 문제 발단, 주민 조직화, 대립 심화, 국면 전환으로 구분하여 전개 • 연구결과 제시 • 주민참여: 제도적 절차의 미비로 인하여 정부와 주민간 의사소통의 흐름이 왜곡됨(비제도적인 참여형태를 보임). • 정부대응: 형식적이었으며, 시위진압 등 비제도적인 형태에 주로 의존하게 됨. • 즉, 일방에 의한 의사소통구조, 흐름의 왜곡으로 상호불신이 초래되어 이상적인 담화상황 불가능 • 전체적으로 정치적 합리성은 상당히 낮은 수준으로 평가됨.
[사례연구의 예 (p.117)]* 김병완(1993). 한국 행정부 내의 관료정치: 환경정책에 관한 개발부처와 보전부처의 관계분석. 「한국행정학보」, 27(1): 171-194. • 연구문제 • 행정부 내부에서 이루어지는 정치적 상호작용의 역동적 과정을 관료정치의 시각에서 분석함. • 관료정치 접근의 논리와 전략에 의한 문제해결의 가능성과 의의를 구함. • 이론검토 및 연구모형 • 관료정치 모형(접근)에 대한 이론적 검토 • 관료정치 현상을 분석하는 5개 변수 선정 - 정책참여자의 위상, 영향력의 원천, 관료정치의 기제, 관료정치의 전략과 방법 • 관료정치과정을 거치게 하는 주요 4개 쟁점(영역) 구분 - 기능분담과정에서의 쟁점, 자원확보과정에서의 쟁점, 제도운영과정에서의 쟁점, 제도형성과정에서의 쟁점 • 관료정치과정의 4쟁점 * 관료정치의 5변수 분석
연구방법 • 연구대상: 4개 주요 환경정책의 결정과정 - 수질관리기능의 일원화결정과정, - 92년도 환경예산결정과정 - 폐기물 예치금제결정과정 - 대구염색공단 폐수배출규제결정과정 • 연구범위: 환경처(환경보전 지향)가 다른 부처(개발 지향)를 대상으로 한 관료정치현상 • 자료수집: 문헌조사(신문, 잡지, 논문, 통계자료, 정부문서, 국회회의록 등), 개인 및 공무원 면담조사
제 12 장 실태연구 1. 실태연구의 의의 • 설문지, 면접, 전화 등을 이용하여, 응답자로 하여금 연구주제와 관련된 질문에 답하게 하여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는 연구방법 • 모집단으로부터 표본을 추출하여, 그들의 특성(속성)을 측정함으로써, 이들의 상태, 분포, 상호관련성 등에 대해 분석함. • 표본의 분석과 추론의 과정에 있어서 주로 통계적 방법을 사용하는 양적 분석(연구)의 형태를 띠고 있음. • 인과관계의 규명보다는 대체로 현상이나 사실의 탐색이나 기술, 그리고 때로는 예측을 목적으로 이루어짐.
2. 실태연구의 장.단점 * 주로 표본조사에 의하기 때문에, 전수조사에 대한 표본조사의 장.단점 장점 • 경제적: 비용 vs. 얻어지는 정보의 범위와 정확성 단점 • 획득된 자료는 대체로 피상적: intensive < extensive • 표본오차의 가능성, 조사규모가 큰 경우 비경제적 가능성 3. 실태연구의 종류 • 자료의 수집방법: 개별면접실태연구, 질문지우송실태연구, 전화면접실태연구 등 • 연구의 목적: 기술적 실태연구, 설명적 실태연구 • 연구의 시간적 범위: 횡단면적 실태연구, 종단면적 실태연구 • 연구설계 유형: 횡단면적실태조사, 경향적 실태조사, 패널식 실태조사, 소시오메트릭 실태조사 등
4. 실태연구의 구성요소 1) 표본 추출 적절한 표본추출방법을 사용하여 모집단으로부터 표본을 추출 2) 질문 설계 표본의 특성을 실제 측정하기 위하여 필요한 조사표를 작성 3) 조사 실시 - 질문지를 사용하여 표본을 대상으로 자료를 직접 수집 - 면접, 우편, 전화, 인터넷 등의 방법 활용 4) 통계 기법 적절한 통계기법을 활용하여 수집된 자료를 분석
5. 실태연구의 절차 • 대체로 과학적 연구의 일반적 절차에 따라 연구가 진행 • 특히 연구설계의 작성에 있어서는 표본추출방법과 자료수집방법이 결정되어야 함. • 자료를 수집하기 위한 사전 준비활동 필요. • 수집된 자료는 분석을 위해 편집, 분류, 부호화 함. • 적절한 통계기법을 사용하여 자료를 분석하며, 이를 토대로 결과를 해석함.
[실태연구의 예 (p.125)]* 김렬(1998). 민선자치제 실시 후 지방행정의 변화: 공무원의 설문조사를 통한 의식·행태 및 내부관리 분석.『한국행정논집』, 10(2): 355-372. • 연구문제 • 민선자치시대에 지방행정의 변화를 실증적으로 파악 • 지방자치의 성공적인 정착을 위하여 필수적으로 보완·개선해야 할 지방행정의 과제 제시 • 이론검토 및 연구모형 • 지방행정에 대한 다양한 이론 고찰 → 지방행정의 구성요소나 하위영역 또는 차원에 대하여 학자들의 다양한 의견 검토 • 내부관리(전반적인 측면, 조직, 인사, 재무 등)과 공무원(의식 또는 가치관, 행태 또는 태도, 만족도 등)에 대한 측면에서 연구모형 정립
연구방법 • 설문기간: 민선자치제 실시 전후(1995년 7월, 1997년 7월) • 설문항목: 연구모형 참조 (현황, 문제점, 개선과제) - 공무원 의식 및 행태 - 내부관리(전반, 조직, 인사, 재무 등) • 분석기법: 교차분석, 분산분석, 카이제곱 검증법 등 • 연구결과 (* 주요사항만 제시) • 공무원의 의식 또는 가치관: 오히려 부정적으로 변화 • 공무원의 행태 또는 태도: 무사안일주의, 탁상행정, 창의성 부족, 보수주의 심화 • 지방행정의 내부관리 • 조직관리: 할거주의, 조직체계 일관성 부족 • 인사행정: 합리적 근무평정제도 수립 요청 적성에 따른 인사제도 구축 필요 • 재무행정: 예산집행절차의 복잡성과 경직성 회계검사 및 감사의 형식성 예산의 주먹구구식 편성이나 배분 등 개선 필요
[실태연구의 예 (p.128)]*김호섭(1997). 업무가치를 통하여 본 공무원의 사익구조와 상관변수.『한국행정학보』, 31(4): 1-18. • 연구문제 • 공무원이 공익만을 추구하는 것이 아니라 사익도 추구? • 공무원의 사익이 행정목적 달성을 저해하고 조직내 비리를 조장할 수 있다면, 이러한 사익의 형성 및 변화과정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변수를 탐색하는 것이 필요. • 따라서 공무원들의 사익구조를 업무가치에 비추어 파악하고 사익구조에 영향을 주는 변수들을 경험적으로 파악함. • 이론검토와 연구모형 • 사익의 개념 및 유형 등에 대한 선행연구 결과 제시 • 연구모형 구성: 사익의 개념, WVI, MIQ를 기초로 함.
연구방법 • 연구대상: 경기도청 공무원 • 표본추출: 부서규모를 기준으로 한 비례층화표본추출법 • 설문항목: 연구모형에 기초 - 업무가치에 대한 태도 - 개인적, 조직적, 환경적 특성 - 상관변수에 대한 정보 • 분석기법: 빈도분석, 요인분석, 분산분석 등 • 연구결과 • 직업의 안정성, 물질적 보상, 승진기회, 동료간의 인간관계, 업무성취, 자기발전 순으로 업무가치가 평가됨. • 주요 요인 발견: ‘구조적’ 요인, ‘권한 및 수직적 인간관계’ 요인, ‘물질적, 수단적’ 요인, ‘정적, 수평적 인간관계” 요인 • 대부분의 특성 변수들이 업무가치와 무관하게 나타남.
제 13 장 내용분석 1. 내용분석의 의의 • 신문 내용을 분석하기 위한 저널리즘(journalism)연구에서 시작 • 선전.광고.여론에 대한 관심 증대에 따라 대중매체(mass media)에 대한 연구에 주로 활용 • 의사전달의 내용을 객관적.체계적.계량적으로 분석하는 방법 • 서적, 논문, 신문, 문서, 회의록, 일지, 편지, 연설문, 방송, 영화, 미술작품, 사진 등 기록된 것을 중심으로, 연구대상에 대하여 필요한 자료를 객관적이고 체계적인 방법에 의해 수집․분석함.
2. 내용분석의 특징 • 의사전달의 내용을 그 분석대상으로 한다. • 현재적(顯在的, 분명하게 나타난) 내용 뿐만 아니라 잠재적(潛在的, 내부에 숨어있는) 내용도 분석대상으로 포함한다. • 객관성, 체계성, 일반성 등 과학적 연구방법의 요건을 갖추어야 한다. • 양적인 것뿐만 아니라 질적인 것도 포함한다.
3. 내용분석의 장.단점 장점 • 가치, 요망, 태도, 성향, 창의성, 권위주의, 민주성, 인간성 등 다양한 심리적 변수도 효과적으로 측정할 수 있음. • 관찰이나 현지조사 등 다른 자료수집방법의 적용이 불가능하거나, 실험연구의 결과나 개방형 질문의 응답에 대한 내용을 분석하는데 유용하게 사용됨. 단점 • 시간, 비용, 노력이 많이 듬. • 자료 자체 및 분석에 대한 신뢰성이 문제시 될 수 있음. • 자료의 입수가 제한되어 있는 경우가 많음.
4. 내용분석의 목적 및 용도 * 의사전달의 5대 요소: 누가, 무엇을, 누구에게, 어떻게, 어떤 효과
연구문제, 모형 및 가설의 형성 표본선정: 모집단 규정, 표본추출단위 결정, 표본수 결정, 추출방법 선택 분석항목 설정 분석단위 결정 집계체계 수립 및 분석작업 실시 결과해석 및 보고서 작성 5. 내용분석의 절차 - 표본추출단위(예): 기사, 문단, 주제, 중요단어, 상징 • 분석대상이 되는 내용을 분석하는 • 기준 또는 카데고리 • 소설의 내용을 분석하는 경우(예): • 주제, 유형, 주인공 성격 등 • 기록단위(예): 단어, 상징, 주제, 인물, • 문장, 문단, 항목, 지면, 회수, 길이 • 맥락단위 * 참여자 영향관계 • 계량화 방법(예): • 빈도, 크기, 시간, 정도 등 • 부호화 및 정리, 분류, 배열, 종합
[내용분석의 예 (p.140)]*박종구(1992). 정치적 변동과 예산심의행태의 변화: 13대 국회 상임위원회의 정책질의 성향분석. 『한국행정학보』26(2): 371-387. • 연구문제 • 예산심의과정에 국회 상임위 의원들의 정책질의 성향 분석 • 정치적 변동이 이러한 성향의 변화에 미친 영향의 정도 파악 • 국회 예산심의의 효율화, 국회의원들의 소속 상임위원회에 대한 전문성 제고 방향 설정 • 이론검토 및 연구모형 • 예산(심의)의 목적 및 유형에 대한 선행연구(이론) 검토 • Allen Schick이론의 3가지 관점(통제,관리, 계획)을 기초로 연구모형(p.141)을 구성함.
연구방법 • 분석내용 - 행정부 예산안에 대한 국회상임위 의원들의 각 정책질의 • 분석대상: 상임위원회 속기록(회의록) - 1988년 정기국회(141회)와 1990년 정기국회(151회) - 7개(국방,외무통일,내무,문교체육,농림수산,상공,보사) • 분석방법 - 분석항목(연구모형 참조): 통제, 관리, 계획 - 분석단위: 질의의 중심이 되는 단어나 문장 - 집계체계: 빈도(횟수) • 연구결과 • 질의성향: 141회 국회(여소야대)에서는 통제지향성이 강함. 151회 국회(여대야소)에서는 관리지향성이 강함. -> 정치적 변동에 따라 예산심의 행태 변화 • 예산심의 행태 변화의 원인: 의원 역할에 대한 인식변화 여야간 원내 세력 변화 등
[내용분석의 예 (p.143)]*권경득(1996). 한국행정학의 연구경향에 관한 실증적 분석: 한국행정학보 기고논문(1967-1995)을 중심으로. 『한국행정학보』, 30(4): 139-153. • 연구문제 • 한국행정학의 연구경향을 분석하여, 향후 한국행정학의 방향성을 정립하고자 함. • 행정학분야의 연구영역 및 연구방법 등에 대한 경향 파악 • 이론검토 및 연구모형 • 행정학의 연구경향, 연구영역 구분, 연구방법 분류 등에 대한 기존연구(학자들의 견해) 제시 • 분석모형 정립 - 연구영역(9대분류): 행정이론, 행정학방법론, 조직론, 인사행정, 재무행정, 정책 및 기획론, 행정관리, 지방자치 및 도시행정, 분야별 행정 및 정책 * 10개 이내의 범위에서 중분류 - 연구방법(3가지): 서술적, 통계적, 모의실험 및 수학적 방법
연구방법 • 분석대상: ‘한국행정학보’에 30년간 게재된 541편 논문 • 분석내용: 각 논문의 연구영역과 연구방법 • 분석방법 - 분석항목(연구모형 참조): 9개 영역, 3개 방법 - 분석단위: 논문의 주제(연구영역) 및 기법(연구방법) - 집계체계: 빈도(횟수) • 연구결과 • 연구영역 - 과거 행정철학, 행정윤리, 비교.발전행정, 정책 중심에서 1990년 이후 조직, 재무, 지방·도시행정으로 다양화 • 연구방법: 1980년대 후반부터 계량적 기법 증가 추세 • 기타: 연구초점, 연구대상, 분석단위, 활용자료 등 변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