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0 likes | 258 Views
노래연습장 주류판매 및 음주허용 관련 여론조사. 조. 사. 결. 과. 요. 약. Ⅰ. 노래연습장 이용 실태 Ⅱ. 주류판매 및 음주허용 관련 의견 Ⅲ. 노래연습장 개선 방안 검토. 조사결과 요약편. Ⅰ. 노래연습장 이용 실태. 1. 노래연습장 이용 경험. 일반 국민의 노래연습장 이용 경험은 90.5% 로 매우 높은 수준이며 , 이용 경험자의 경우 , 지난 1 년간 평균 7 회 정도 이용한 것으로 조사됨 . 노래연습장이 대중적인 놀이문화로 정착되고 있음을 보여줌 .
E N D
노래연습장 주류판매 및 음주허용 관련 여론조사 조 사 결 과 요 약 Ⅰ. 노래연습장 이용 실태 Ⅱ. 주류판매 및 음주허용 관련 의견 Ⅲ. 노래연습장 개선 방안 검토
조사결과 요약편 Ⅰ 노래연습장 이용 실태 1. 노래연습장 이용 경험 • 일반 국민의 노래연습장 이용 경험은 90.5%로 매우 높은 수준이며, 이용 경험자의 경우, 지난 1년간 평균 7회 정도 이용한 것으로 조사됨. 노래연습장이 대중적인 놀이문화로 정착되고 있음을 보여줌. • 노래연습장 이용시 주로 함께하는 대상은 친구가 56.2%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가족/친척(27.5%), 직장동료(15.9%) 순으로 나타남. 노래연습장 이용경험은 대부분의 계층에서 높게 나타난 가운데, 특히, 20~30대의 젊은 층과 학력이 높고 소득이 높을 수록 경험률이 높게 나타남. < 노래연습장 이용 경험(%) > Base:전체(N=1,040) 이용경험 지난 1년간 이용경험 : 90.0% 이용빈도 : 평균 7회 없음 9.5 이용경험 있음 90.5 20대 97.8 30대 96.3 화이트칼라 98.4 학생 100.0 대졸자 96.6 소득수준상층 97.7
조사결과 요약편 2. 노래연습장에서의 음주 경험 • 노래연습장 이용 경험자(N=942) 중 63.3%는 노래연습장 내에서 술을 마셔본 경험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어, 노래연습장에서의 주류 판매/음주 행위가 상당히 보편화된 것을 알 수 있음. • 노래연습장에서의 음주 경험을 계층별로 살펴볼 경우, 남성, 30대, 화이트칼라, 블루칼라, 자영업 계층에서 특히 높게 나타남. • 전반적으로 경제활동이 활발한 젊은 남성의 경우, 노래연습장에서의 음주 경험이 높은 것으로 조사됨. < 노래연습장에서의 음주 경험(%) > Base:노래연습장 이용경험자(N=942) 경험없음 36.7 경험있음 63.3 남성 72.8 30대 72.2 부산/울산/경남 74.8 화이트칼라 73.1 블루칼라 76.5 자영업 80.6
조사결과 요약편 Ⅱ 주류판매 및 음주허용 관련 의견 1. 노래연습장 주류판매 불법 인지 수준 • 응답자 10명 중 8명 정도(81.0%)는 노래연습장에서의 주류판매가 불법이 라는 사실을 알고 있는 반면, 19.0%는 모르는 것으로 조사됨. • 한편, 노래연습장 이용경험자(N=942) 중 주류판매가 불법임을 알고 있는 경우 10명 중 6명 정도(63.8%)는 음주를 경험한 것으로 나타나, 노래연 습장에서의 불법 음주 금지에 대한 법규 준수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음을 보여줌. • 노래연습장 주류판매 불법 사실을 ‘모르고 있다’는 응답률은, 50대이상(25.1%), 대전/충청지역(27.7%), 군지역거주자(27.6%), 농/림/수산업(35.5%), 중졸이하(30.3%), 소득수준하층(28.2%)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편임. • 노래연습장 이용 경험이 낮은 계층의 경우, 주류판매 불법 사실 인지수준 역시 낮게 나타남. < 노래연습장 주류판매 불법 인지 수준(%) > Base:전체(N=1,040) 비인지 19.0 인지 81.0 50대이상 25.1 대전/충청 27.7 군지역 27.6 농/림/수산업 35.5 중졸이하 30.3 소득수준하층 28.2
조사결과 요약편 2. 노래연습장 주류판매 및 음주허용 찬반 의견 • 노래연습장에서의 주류판매 및 음주허용에 대해서는, ‘반대’ 의견(54.8%) 이 ‘찬성’ 의견(44.5%) 보다 약간 높게 조사됨. • 찬성하는 이유로는 ‘저렴한 가격으로 술과 노래를 동시에 즐길 수 있으므 로’가 절반 정도(51.9%)를 차지했고, 반대하는 이유로는 ‘노래 연습장은 청소년들도 이용하는 공간이므로’가 52.1%로 가장 많음. ‘찬성’ 의견은 노래연습장 이용률이 높은 경제활동이 활발한 젊은 남성 계층에서 상대적으로 높았고, ‘반대’ 의견은 여성(64.3%), 50대이상(70.8%), 농/림/수산업 종사자(67.0%), 주부(67.2%), 소득수준 하층(62.7%) 등 노래연습장 이용률이 낮은 계층에서 높은 것을 알 수 있음. < 노래연습장 주류판매 찬반 의견(%) > Base:전체(N=1,040) 남성 54.4 20대 55.7 30대 55.3 화이트칼라 55.6 블루칼라 59.7 자영업 53.5 대학원이상 53.5 여성 64.3 50대이상 70.8 군지역 62.5 농/림/수산업 67.0 주부 67.2 중졸이하 73.6 소득수준하층 62.7
조사결과 요약편 Ⅲ 노래연습장 개선방안 검토 1. 노래연습장 지도감독기관 관련 의견 • 현재 노래연습장을 지도/감독하는 정부기관에 대해, ‘문화관광부’라고 제 대로 응답한 경우는 19.5%에 불과한 반면, ‘보건복지부’(28.5%), ‘경찰 청’(26.8%) 등 지도/감독기관을 잘못 알고 있는 응답이 높게 나타남. • 주류판매시 노래연습장에 대한 적절한 지도/감독기관으로는 ‘음주 및 도우미 영업 등 퇴폐/불법 야기가 쉬우므로 경찰청에서 맡아야 한다’는 응답이 절반 수준(50.8%)으로 높게 나타남. 직접적인 제재 및 규제가 가능한 감독기관을 선호함. < 노래연습장 지도감독기관 관련 의견(%) > Base:전체(N=1,040) 현재 인지 중인 지도감독 기관 모름/ 무응답 13.9 보건복지부 구청 28.5 0.5 행정자치부 정인지율 19.5% 10.8 문화관광부 경찰청 19.5 26.8 주류판매시 적절한 지도감독 기관 모름/ 무응답 4.7 문화관광부 경찰청 19.2 50.8 보건복지부 25.3
조사결과 요약편 2. 노래연습장이 여가/문화생활에 미치는 영향 • 노래연습장이 일반 국민의 여가 및 문화생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응답 자의 대다수인 80.9%가 긍정적으로 평가(매우 9.4% + 대체로 71.5%)하 고 있는 반면, 부정 평가는 17.7%(매우 2.5% + 대체로 15.2%)에 불과함. 대중화와 더불어, 일반 국민의 놀이 문화로서 긍정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고 보여짐. 노래연습장에 대한 긍정적인 평가는 특히, 20대(88.3%), 화이트칼라(87.1%), 학생(91.5%), 대졸(86.0%), 소득수준 상층(85.6%)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노래연습장을 실제로 이용해 본 응답자(82.4%)가 이용해 보지 못한 응답자(66.5%)보다 상대적으로 더 긍정적으로 평가함. < 노래연습장 영향 평가(%) > Base:전체(N=1,040) 부정평가 17.7 모름/ 매우 매우 무응답 부정 긍정 1.4 2.5 9.4 대체로 부정 긍정평가 80.9 15.2 대체로 긍정 71.5 20대 88.3 화이트칼라 87.1 학생 91.5 대졸 86.0 소득수준상층 85.6
조사결과 요약편 3. 노래연습장 문제점 및 개선요망사항 • 현재 운영 중인 노래연습장의 가장 큰 문제점으로, ‘도우미 운영 등 퇴폐영 업’에 대한 지적이 74.7%로 가장 높았으며, 향후 개선요망 사항 역시, ‘도우미 등 퇴폐영업 금지’가 34.1%로 높게 언급됨. 불법/퇴폐영업에 대한 철저한 단속을 바라는 의견이 많음. • 한편, 불법 주류 판매에 대한 지적은 상대적으로 낮은 수준임. ‘퇴폐영업’을 제외하고 노래연습장의 여러가지 문제점들은 비슷한 크기로 응답되었으며, 향후 개선요망 사항에서는 ‘퇴폐영업 금지’ 외에, 시설물/환경과 관련된 개선 요구가 일부 언급됨. < 주요 문제점 및 개선요망사항(%) > Base:전체(N=1,0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