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0 likes | 691 Views
시진핑 시대의 북중관계. 이상숙 ( 국립외교원 외교안보연구소 ) 1moretry@naver.com(02-3497-7716). 수교 이전 외부적 제약. 수교 이후 한중관계. 중국 , 한국 최대 교역 상대국 (2004). < 표 1> 한중교역에서 상위 품목 (1988-1992). ( 투자금액 : 100 만 미 달러 ). 중국 , 한국 최대 수출시장 (2003). 중국 , 한국의 3 대 무역국 (93). < 표 2> 한국의 대 중국 투자 추이 (1985-1992). 한국의 대중국 투자.
E N D
시진핑 시대의 북중관계 이상숙(국립외교원 외교안보연구소) 1moretry@naver.com(02-3497-7716)
수교 이후 한중관계 중국, 한국 최대 교역 상대국 (2004) <표1> 한중교역에서 상위 품목(1988-1992) (투자금액: 100만 미 달러) 중국, 한국 최대 수출시장 (2003) 중국, 한국의 3대 무역국 (93)
<표2> 한국의 대 중국 투자 추이(1985-1992) • 한국의 대중국 투자 한국, 중국의 3대 투자국 부상 (2003) 한국, 중국의 10대 투자국 (93)
<표> 북한의 대중 교역현황 (단위: 천 달러, %)
2011년 7월 26일부터 28일까지 지린성과 조선 라선특별시 중-조라선경제무역구 공동개발관리사업위원회 제1차회의가창춘에서 열렸다. 지린성과라선시는 공동으로 "중조라선경제무역구(2011-2020년)계획틀에 관한 협의"를 체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