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10 likes | 657 Views
임상검사치의 해석. 의미. 적절한 약물과 용량을 결정 약효와 부작용을 평가. Electrolytes. 혈청 Na + : 정상치 = 135-150 mEq/L 정상적인 세포외액의 osmolarity 를 결정 (Osmolality=2[Na]+BUN/3+Glucose/18) 산 - 염기 균형 유지 신경과 근육세포 활성화 수분 분포에 영향. 혈청 K +. 정상치 = 3.5-5 mEq/L Cellular enzyme activity
E N D
의미 • 적절한 약물과 용량을 결정 • 약효와 부작용을 평가
Electrolytes • 혈청 Na+: 정상치 = 135-150 mEq/L • 정상적인 세포외액의 osmolarity를 결정 (Osmolality=2[Na]+BUN/3+Glucose/18) • 산-염기 균형 유지 • 신경과 근육세포 활성화 • 수분 분포에 영향
혈청 K+ • 정상치 = 3.5-5 mEq/L • Cellular enzyme activity • Carbohydrate metabolism and protein synthesis • Muscle cell contractility • Nerve cell conductivity
혈청 Ca++ • 정상치 = 9-11 mg/dL; 4.5-5.5 mEq/L • Preservation and function of cell membranes • Propagation of neuromuscular activity • Regulation of endocrine and excrine secretory function • Blood coagulation cascade • Platelet adhesion process • Bone metabolism • Muscle cell excitation /contraction • Mediation of the slow channel response in cardiac and smooth muscles
혈청 Cl- • 정상치 = 90-110 mEq/L • 정상적 세포외액의 osmolality 결정 • 몸의 pH • 산-염기 균형 유지에 결정적 역할
혈청 Mg++ • 정상치 = 1.8-2.4 mg/dL • An important cofactor for enzyme systems including ATP • Modulate the neuromuscular activity of the calcium ion • Abnormalities disturb cellular metabolism and plasma membrane function
혈청 PO4-- • 정상치 = 2.5-4.5 mg/dL • 음식대사와 에너지 보존을 증진 • 완충제로 작용 • 산-염기 균형을 유지
Urinalysis • 외관 • 색상: 정상뇨의 경우 투명 (얇은 노란색-금색) • pH • 정상치: 4.5-9 • Glucose • 정상치: 일반적으로 뇨에서 검출되지 않는다.
Urinalysis • 단백질 • 정상치: 50-80 mg/24 hrs • Ketones • 정상치: 일반적으로 뇨에서 검출되지 않는다.
Urinalysis • Specific gravity • 정상치: 1.003-1.035 (일반적으로 1.010-1.025) • Microscopic Exam • 정상치: 0-1 RBC; 0-4 WBC; 간헐적 절편
혈청 효소 검사 • Creatine Kinase (CK) = Creatine Phosphokinase (CPK) • 급성 심근경색이나 골격근 손상 진단에 사용 • 30-180 IU/L • CK-MB : > 5% in MI
Lactate Dehydrogenase (LDH) • 100-190 IU/L • MI, 간 및 폐질환의 진단에 사용
Alkaline Phosphatase (ALP) • 간과 뼈에서 1차적으로 생성 • 30-120 IU/L
Aspartate Aminotransferase (AST) • 심장 및 간조직에 일차적으로 존재; 골격근, 신장조직 및 췌장조직에도 존재 • 5-40 IU/L
Alanine Aminotransferase (ALT) • 간에 주로 존재하고 이 외에도 심장, 골격근 및 신장에 존재 • 5-35 IU/L
Hematologic Test • White Blood Cells = WBCs (leukocytes) • 정의: 혈액 1 mm3중의 WBC 개수 • 정상치: 4000-11,000 WBC/mm3
WBC Differential • Granulocytes • Neutrophils • Basophils • Eosinophils • Agranulocytes • Lymphocytes • Monocytes
Neutrophils • polymorphonuclear leukocytes (segs or mature cells)와 bands (immature cells)로 나뉨 • 정상치 (%): polymorphonuclear leukocytes = 50-70%; bands = 3-5%
Basophils • 정상치 (%): 0-1%
Eosinophils • 면역반응과 연관 • 정상치 = 0-5%
Lymphocytes • 면역반응에 중요한 역할, 항체생성 • 정상치 = 20-40%
Monocytes • 식세포 • 정상치 = 0-7%
Red Blood Cells (RBC; erythrocytes) • 정의: 단위 mm3중의 적혈구 수 • 정상치: 남성 (4.3-5.9 million/mm3), 여성 (3.5-5.0 million/mm3)
Hemoglobin (Hgb) • 혈액 1dL중의 Hgb의 g수로서 RBC의 산소수송력의 지침 • 정상치: 남성 (14-18 g/dL), 여성 (12-16 g/dL)
Hematocrit (HCt) • 원심분리 후 전체 혈액 중 RBC 부피가 차지하는 % • 정상치: 남성 (39-49%), 여성 (33-43%)
ESR • 정상치 = 남성 (0-20 mm/hr), 여성 (0-30 mm/hr)
Reticulocyte Count • immature RBC측정 • 정상치 = 전체 RBC 중 0.1-2.4%
Platelets (thrombocytes) • 정의: 혈액의 가장 작은 인자로 응고에 관여 • 정상치 = 150,000-300,000/mm3
Renal Function Tests • Blood Urea Nitrogen (BUN) • Serum Creatinine (SrCr) • Creatinine Clearance (CrCl)
BUN • 정의: Urea는 간에서 생성되며 단백질 대사의 최종 산물; 간에서 생성된 후 혈류를 따라 신장으로 배설 • 정상치: 10-20 mg/dl
SrCr • 정의: 근육 creatine의 대사산물로서 신기능 평가에 사용 • 정상치: 0.8-1.2 mg/dl
CrCl • Cr이 신장을 통해 혈액으로부터 제거되는 속도를 나타내며 GFR와 거의 동일 • 정상치: 100 ml/min (남성), 85 ml/min (여성) • CrCl (male)=(140-나이)*IBW/Cr/72 • CrCl (female) = CrCl (male)*0.85 • IBW • Male (kg) = 50 + 2.3*(신장 in cm –152)/2.5 • Female (kg) = 45.5 + 2.3*(신장 in cm –152)/2.5
Liver Function Tests • 간효소: LDH, ALP, AST, ALT • 혈청 단백질 • Albumin: oncotic pressure, 간기능 손상과 함께 감소, 4-6 g/dl • Globulins: 면역과 관련, 2.3-3.5 g/dl • Total serum protein: 6-8 g/dl
Liver Function Tests • 혈청 빌리루빈 • 정의: 담즙의 주요 색소로서 Hgb의 대사산물 • 정상치: total (0.1-1.0 mg/dl), direct (0-0.2 mg/dl)
ECG: electrocardiogram (electrocardiograph) • HPI: history of present illness • IDDM: insulin dependent diabetes mellitus • CC: chief complaint • CHD: coronary heart disease • BPH: benign prostatic hyperplasia • NKDA: no known drug allergy (allergies) • PMH: past medical history • qod: every other day • ROS: review of system
OCP: oral contraceptive pill • prn: as necessary (as needed) • CAD: coronary artery disease • COPD: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 CHF: congestive heart failure • UTI: urinary tract infection • FH: family history • PERRLA: pupils equal, round, reactive to light and accommodation • po: by mouth • GI: gastrointestinal • PVD: peripheral vascular disease
IHD: Ischemic Heart Disease • MI: Myocardial Infarction • EEG: Electroencephalogram • HTN: Hypertension • CVE: Cerebrovascular Event • CVD: Cardiovascular disease • N/V/D: Nausea, vomiting, diarrhea • SH: Social history • ppd: pack per day • LFT: liver function te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