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80 likes | 1.05k Views
기계 ( 건설 / 공작 / 플랜트 ). 건설 현장. 건설기계 생산 , 판매 실적 추이. 자료 : 하우투인베스트 리서치팀. 자료 : 하우투인베스트 리서치팀 , 한국건설기계 협회. 건설기계 산업 이해 : 내수 < 수출. 건설 기계 산업의 정의 산업재 산업 모든 산업에 있어 가장 기본이 되는 산업 다양한 산업 현장에 적용 , 건설사업 활성화 등으로 많은 발전 토목 공사나 건축 공사에 쓰이는 기계의 총칭 다양한 종류 , 이동하기 알맞고 고장이 적고 내수성 우수 요구. 내수와 수출 산업
E N D
건설 현장 건설기계 생산, 판매 실적 추이 자료: 하우투인베스트 리서치팀 자료: 하우투인베스트 리서치팀, 한국건설기계 협회 건설기계 산업 이해 : 내수 < 수출 • 건설 기계 산업의 정의 • 산업재 산업 • 모든 산업에 있어 가장 기본이 되는 산업 • 다양한 산업 현장에 적용, 건설사업 활성화 등으로 많은 발전 • 토목 공사나 건축 공사에 쓰이는 기계의 총칭 • 다양한 종류, 이동하기 알맞고 고장이 적고 내수성 우수 요구 • 내수와 수출 산업 • 내수 시장의 포화 상태로 수출 비중 증가 추세 • 국내외 경기에 직접적인 영향 • 글로벌 경제 성장에 따른 인프라 투자, 건설경기 영향
굴삭기 지게차 자료: 하우투인베스트 리서치팀, 두산인프라코어 자료: 하우투인베스트 리처치팀, 두산인프라코어 건설기계 종류 • 굴삭기 • 현재 가장 많이 사용하는 건설기계로 모든 건설작업에 효과적 사용 • 교체 수요와 정부 SOC예산 책정 수혜, 대형화 추세 • 지게차 • 공장 또는 항만, 공항 등에서 하역 작업/화물 운반 • 설비투자와 유통업에 따른 수요 변화
휠 로우더 기중기 자료: 하우투인베스트 리서치팀 자료: 하우투인베스트 리처치팀 건설기계 종류 • 휠 로우더 • 건설 공사 현장에서 토사나 골재를 덤프 차량에 적재/ 운반 • 건설 공사 후반까지 투입률이 높은 특징, 꾸준한 수요 • 기중기 • 동력을 사용하여 하물을 달아 올리고 운반하는 기계 또는 장치 • 기계장치 중 가장 먼저 고안, 산업 전반에 걸친 높은 활용도
건설 기계 주요 부품 업체 자료: 하우투인베스트 리서치팀 건설기계 산업 이해 유압기기-실린더 엔진 주행/선행모터 유압펌프/밸브 ㆍ동양기전 ㆍ두산인프라코어 ㆍ현대중공업 ㆍ두산모트롤(비상장) 브레이커, 드릴 ㆍ에버다임 ㆍ수산중공업 유압용 피팅/벨브 ㆍ삼원테크 Link, Seal Roller 류 ㆍ대창단조,흥국 ㆍ제이씨에스(비상장) ㆍ진성티이씨 ㆍ대창단조 ㆍ흥국
중국GDP와 기계업종 주가 관계 국가별 GDP 성장률 자료: 하우투인베스트 리서치팀, 이트레이드 증권 자료: 하우투인베스트 리서치팀, Bloomberg 건설기계 산업 특징 : 글로벌 경기, 중국설비투자 영향 • 글로벌 경기 흐름 • 중국을 중심 이머징 마켓 시장 • 중국을 중심으로 한 브라질 인도 러시아 등 • 신흥국의 성장에 따른 수출 증가 • 세계 경제 성장 이끄는 중국과 기계 업종 주가 높은 민감도 • 미국 ,유럽 중심으로 한 선진국 시장 • 선진국 경기 따라 신흥국의 성장 둔화, 긴축정책 야기 • 서유럽 중심으로 매월 일정 규모 수출 유지
기계식 프레스 화천 기공 기업 설명회 자료: 하우투인베스트 리서치팀, 두산인프라코어 자료: 하우투인베스트 리서치팀, 화천기공 공작기계 산업 • 자본재 산업 핵심 • 산업 구조의 고도화와 제조업 경쟁력 강화 위한 핵심 사업 • 경기 선행 지수로서 역할 • 국가 전략 산업 • 공급 수준에 따라 산업의 기술력과 경쟁력의 척도로 활용 • 국가 기간/방위 산업의 필수 자본재 • 공작기계 산업의 정의 • 기계를 만드는 기계 • 주조, 단조 등으로 만든 기계 부품을 가공하는 기계로 • 기계 공업의 기초가 되는 기계 산업 • 자동차, 항공기, 선박 등의 부품/금형 제작 등에 사용
금속 절삭기계 금속 성형기계 자료: 하우투인베스트 리서치팀 자료: 하우투인베스트 리처치팀, 심팩 공작기계 종류 • 금속 절삭기계 • 선반, 밀링기, 머시닝, 드릴링기 등 • 금속 성형기계 • 기계식 프레스, 유압식 프레스, 서보 프레스, 절단 절곡기 등 선반기계 밀링기 기계식 프레스 유압식 프레스 머시닝 서보 프레스 절단 절곡기 드릴링기
공작 기계 대/소 분류, 관련 상장 업체 자료: 하우투인베스트 리서치팀, 한국공작기계 산업협회 공작기계 산업의 이해 선반 두산인프라코어 현대위아 화천기계 S&T중공업 등 범용기계 밀링기 드릴링기 절삭기계 보링기 연삭기 한국정밀기계 두산, 현대위아 등 전용기계 전용기 (Special Purpose M/C) 공작기계 CNC 선반 CNC 밀링기 화천기공 넥스턴 이엠코리아 S&T중공업 두산, 현대위아 등 CNC기계 CNC 드릴링기 CNC 보링기 CNC 연삭기 머시닝 센터 성형기계 프레스기 SIMPAC 등 와이지-원 등 소모품 절삭 공구 제일연마 등 연마지석
전방산업 수요 회복 따른 공작기계 수주 변화 국내 경기동행지수 순환변동치와 설비투자 증가율 자료: 하우투인베스트 리서치팀, 한국공작기계 협회 자료: 하우투인베스트 리서치팀, 통계청 공작기계 산업 특징 : 기업 설비투자 밀접, 국내경기 영향 • 전방 산업과 연관성 • 기업의 설비투자 변동과 밀접한 관련성 • IT 및 자동차업종, 조선, 금속/철강, 건설 등 전 사업을 • 수요처로 확보 • 전방 산업의 호황에 따른 수혜, 주가와 밀접한 연관 • 국내 경기와 밀접한 영향 • 회복기 • 후행적으로 반응 • 후퇴기 • 선행적으로 반응
공작기계 중국 수출 증가율 환율과 일본의 기계 수입/수출 비율 자료: 하우투인베스트 리서치팀, 한국공작기계협회 자료: 하우투인베스트 리서치팀, 한국공작기계협회 공작기계 산업 특징 : 엔고 수혜 • 진입 장벽 • 자본회전이 느림에 따라 신규 진입의 어려움 • 투자자본에 대한 자본 회전율이 낮고 소재부터 완제품 생산까지 • 장기간이 소요 • 두산인프라코어, 현대위아, 화천 등 자본력이 우수한 3개 기업이 시장을 주도 • 수출 산업 • 글로벌 경기와 연관성 • 중국등 신흥국가의 설비투자 확대와 • 미국, 유럽 등 선진국 수요 회복 따른 수혜 • 일본 경기에 따른 반사이익 • 엔화 절상에 따른 글로벌 경쟁력 저하로 • 국내 기업 수출 경쟁력 강화
발전플랜트 정유플랜트 자료: 하우투인베스트 리서치팀, 현대중공업 자료: 하우투인베스트 리처치팀, 삼성엔지니어링 플랜트 기계 산업 종류 • 발전 및 담수 플랜트 • 발전: 원자력이나 화력발전소를 건설 • 담수화: 바닷물을 생활용수나 발전용수로 변환하는 설비 • 정유, 가스 플랜트 • 원유를 정제하거나 가스를 추출 액화시키는 설비
FPSO 석유화학 플랜트 자료: 하우투인베스트 리서치팀, 삼성중공업 자료: 하우투인베스트 리처치팀, 삼성엔지니어링 플랜트 기계산업 종류 • 해양 플랜트 • 심해 유전을 시추하는 설비 • 원유 및 가스의 정제나 액화 등을 해상에서 처리하는 설비 • 석유 화학 플랜트 • 나프타를 분해해 합성수지나 합성섬유 등의 원료를 추출하는 설비
두산그룹 계열실적과 지배구조 자료: 하우투인베스트 리서치팀 업계 지도 한국항공우주산업 (KAZ) 두산중공업 2010년 매출액 6조1700억 영업이익 4,468억 순이익 1,112억 2009년 매출액 6조2700억 영업이익 4,038억 순이익 -3,283억 두산인프라코어 2010년 매출액 4조3176억 영업이익 5,427억 순이익 382억 2009년 매출액 2조6632억 영업이익 2,253억 순이익 -3,111억 두산DST 밥캣 2007년 건설 중장비 목시 2008년 덤프트럭 업체 41% 두산DST 39% 51% 두산메카텍 2010년 상반기 매출액 2,215억 영업이익 53억 순이익 -224억 2009년 매출액 5,657억 영업이익 402억 순이익 -664억 두산엔진 2010년 매출액 1조7300억 영업이익 2303억 순이익 1654억 2009년 매출액 1조7725억 영업이익 1165억 순이익 -2496억 스코다 파워 2009년 체코 발전설비 72.8% 2010.11월 흡수 합병 두산건설
두산그룹 매출비중 및 지배구조 자료: 하우투인베스트 리서치팀 업계 지도 두산중공업 매출 비중 대주주 주,단조 10.1% 37.0% 건설 16.7% 두산 발전 61.5% 산업설비 4.2% 담수 7.5% 대표적인 산업재 기업인 두산그룹은 글로벌 경기회복의 직접적인 수혜 41.3% 두산중공업 두산인프라코어 매출 비중 차량 8.9% 72.8% 44.9% 42.8% 100% 두산건설 두산 인프라코어 두산엔진 DHIEH (DPS) 엔진 14.9% 건설기계 57% 73.0% 공작기계 18.2% 100% 100% DII DPS (BABCOK) SKODA POWER 2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