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0 likes | 513 Views
Lecture Note 10. 서비스산업의 과제. 김종기 교수 한국경제의 이해. 서비스산업의 특성. 서비스산업은 경제 성장과 일자리 창출에 있어서 핵심적 역할 - 1995 년 ~2004 년 중 미국 , 일본 등 선진국의 서비스산업 경제성장 기여율은 80% 를 상회 - 서비스부문에서의 외화가득률은 제조업에 비해 월등히 높음 * 외화가득률 (2004 년 한국 ) : 전산업 (63.6%) 서비스부문 (92.4%) - 서비스산업은 제조업 보다 취업효과가 높음
E N D
Lecture Note 10 서비스산업의 과제 김종기 교수 한국경제의 이해
서비스산업의 특성 • 서비스산업은 경제 성장과 일자리 창출에 있어서 핵심적 역할 - 1995년~2004년 중 미국, 일본 등 선진국의 서비스산업 경제성장 기여율은80%를 상회 - 서비스부문에서의 외화가득률은 제조업에 비해 월등히 높음 * 외화가득률 (2004년 한국) : 전산업(63.6%) 서비스부문(92.4%) - 서비스산업은 제조업 보다 취업효과가 높음 *서비스수출 10억 달러(03년 불변가격)를 늘리면 일자리는 24,400개 증가 <서비스산업의 경제성장 기여도> < 서비스산업 취업유발효과> (%) (명/10억원) 자료 : 한국은행 2003년 산업연관표 자료 : OECD / 주: 일본, 미국은 95~03년
서비스산업 현황 • 그러나 우리 나라 서비스산업은 최근 수년간 저성장 또는 정체 상태 지속 - 지난해 서비스산업 성장률은 4%로 국내총생산 5%, 제조업 8%에 비해 저조 * KDI(2007)연구 : 외환 위기 이후 경제 성장률 둔화는 서비스산업 저성장이 큰 원인 <서비스산업 성장률> (%) 자료: 한국은행 2006년 국민계정
서비스산업 현황 • 선진국에 비해 서비스산업의 비중이 낮음 - 우리나라의 경우 서비스산업 비중이 60%를 넘지 못하고 있지만, 미국,일본 등 선진국은 서비스산업의 비중이 70%에 육박하거나 넘어서고 있음 <주요국의 서비스산업 비중1)비교> (%) 주: 1) 명목부가가치 기준 2)일본, 독일, 미국은 2004년 자료 자료 : 한국은행
(%) 60 130 일본 50 120 미국 40 110 영국 30 100 한국 20 90 10 80 부가가치 증가율 (우) 0 70 고용 증가율(우) -10 60 1997 1998 1999 2000 2001 2002 2003 2005 2004 서비스산업 현황 • 서비스산업의 생산성이 지속적으로 낮아지고 있음 • - 우리나라 사업서비스산업의 노동생산성(42)은 미국(100)의 절반에도못 미치는 낮은 수준 (한국은행) * 제조업(54.7), 사업서비스(41.5), 금융(63.6), 통신(73.7) • ⇒ 서비스산업의 저 성장으로 인해 서비스수지 적자 구조 고착화 <주요국 사업서비스업의 노동생산성 지수 추이> 주: 1997년=100 / 자료 : 한국은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