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52

경제관련기사모음

경제관련기사모음. 7 월 14 일 부산중앙지점. 지금 경제 위기상황인가 ??? - 중앙일보. - 갑갑증만 더한 큰폭 경상흑자 - 게재일 : 2004 년 06 월 30 일 [3 면 ] 기고자 : 홍승일 · 김영훈 기자 경상수지 흑자 가 5 년 8 개월 만에 최대라는데 왜 경기는 살아날 기미를 보이지 않을까 ? 해답의 열쇠는 수출과 내수의 극심한 불균형이다 . 수출 호황 역시 일부 대기업과 품목에 편중됐다 .

ludwig
Download Presentation

경제관련기사모음

An Image/Link below is provided (as is) to download presentation Download Policy: Content on the Website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and may not be sold / licensed / shared on other websites without getting consent from its author. Content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only. Download presentation by click this link. While downloading, if for some reason you are not able to download a presentation, the publisher may have deleted the file from their server. During download, if you can't get a presentation, the file might be deleted by the publisher.

E N D

Presentation Transcript


  1. 경제관련기사모음 7월14일 부산중앙지점

  2. 지금 경제 위기상황인가??? - 중앙일보 - 갑갑증만 더한 큰폭 경상흑자 - 게재일 : 2004년 06월 30일 [3면] 기고자 : 홍승일·김영훈 기자 경상수지 흑자가 5년8개월 만에 최대라는데 왜 경기는 살아날 기미를 보이지 않을까?해답의 열쇠는 수출과 내수의 극심한 불균형이다. 수출 호황 역시 일부 대기업과 품목에 편중됐다. 그 결과 수출에서 번 돈이 경제 구석구석에 돌지 못하고 있다. 수출 호황이 국내의 투자와 소비로 이어지는 선순환의 고리가 끊긴 것이다. 한국은행이 29일 내놓은 '5월 중 국제수지동향'을 보면 언뜻 장밋빛 기대를 품을 만하다. 지난달 경상흑자(37억6000만달러)는 전달보다 세배 이상으로 늘어나 1998년 9월 이후 최대치를 기록했다. 한은은 올해 흑자 전망을 150억달러로 잡았는데 반년 만에 거의 달성할 판이다. 기본적으로 수출이 잘됐기 때문이다. 지난달 수출(208억4000만달러)은 전년 동기보다 42%나 늘었다. 수출에서 수입을 뺀 상품수지 흑자는 38억달러에 달했다. 반면에 통계청이 이날 발표한 '5월 산업활동 동향'을 보면 내수는 갈수록 어려워지고 있다. 생산은 수출 호황 덕에 넉달째 두자릿수의 높은 신장세를 유지(13.5%)했다. 하지만 소비가 다시 감소세로 돌아서고 투자 회복도 더뎌 수출·내수의 양극화가 더 심해진 모양새다. 소비지표인 도소매 판매를 보면 승용차·냉장고·에어컨·휘발유 등의 판매가 죽을 쑤면서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2.2% 줄었다. 넉달 만에 감소세로 돌아선 것이다. 설비투자는 두달 연속 내리막에선 벗어났지만 증가세(1.3%)가 미미하다.

  3. 수출 주력 품목인 반도체와 휴대전화, 자동차 세 업종의 생산만 유독 크게 늘어나고 있다. 수출과 내수를 통틀어 총체적 경기 상황을 나타내는 경기 동행지수는 지난달 99.7로 전달보다 0.6포인트 떨어졌다. 두달째 내리막이다. 경제연구소들은 올해 하반기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5% 안팎으로 낮췄으나 최근 비관론이 더 힘을 얻는 분위기다. 홍승일·김영훈 기자 hongsi@joongang.co.kr

  4. 체감경기 78 제조업지수 또 미끄럼 - 중앙일보 체감경기 78 제조업지수 또 미끄럼 게재일 : 2004년 07월 02일 기고자 : 경제부 제조업 체감 경기가 두달 연속 후퇴했다. 한국은행이 1495개 제조업체를 대상으로 조사한 바에 따르면 제조업 업황 실사지수(BSI)는 78로 전달보다 2포인트 떨어지면서 5, 6월 연속 하락했다. BSI가 100을 밑돌면 경기가 나빠졌다고 보는 업체가 그렇지 않다는 곳보다 많다는 뜻이다. 제조업계의 어려움은 역시 내수 부진이 33%로 으뜸이었다. 원자재 가격 상승(21.1%), 불확실한 경제상황(16.1%) 등이 뒤를 이었다. 사정이 낫다는 수출 업체(85)들이 내수 업체(75)보다 BSI 수치가 높았다. 하지만 수출업계 역시 전달보다 2포인트 내려 비관적이기는 마찬가지였다.

  5. Samsung's Next Act Heidi Brown Justin Doebele, 07.26.04 steeled by crisis and fearful of complacency, a Korean titan searches for an encore. Won-Min Choi, a painstakingly hip designer in the allout assault that Samsung Electronics is waging on the cell phone market, holds up a handset with teensy twin speakers and Surround Sound. At the press of a button the wail of an oncoming train whistles out of the right speaker, passes over to the left and disappears down the tracks. He grins: "Cool." Choi, 30, who wears Doc Martens and jams in a garage band after work, is a sound designer in a design lab in Seoul, one of six that Samsung funds in its relentless quest to overtake Nokia.Ten years ago Samsung was barely a presence in cell phones; it sold only in Korea, and even there it ran a distant second to U.S. invader Motorola. Today the cell phone is to Samsung what the Walkman was to Sony--a slick growth engine, an icon of innovation and a brand with a shot at becoming the coolest in the world. Suddenly Samsung is number two worldwide, and it aims to supplant Nokia by 2010. It's a brash boast:Nokia holds a 36% dollar-share of the global $85 billion market, more than twice Samsung's share (13%). But Samsung soars by shunning commodity gadgets and gossamer margins in favor of pricey cell phones with fancy features and fatter profits. Samsung releases a new phone in the U.S. every two weeks, tailored for such features as Sprint's new video mail service. It popularized the PDA phone and was first to equip a cell with an MP3 player. A TV phone will be out this year, as will talking phones that can read mail messages to the listener. Coming soon: Samsung chips that let cell phones handle 20 hours of talk time on a single charge, hold 2,000 songs and 8 hours of video, and play 3-D videogames.

  6. A decade ago Samsung was an overstuffed, lethargic and uninspired maker of me-too memory chips. Now it's a leader in electronic gadgets, one whose $2.7 billion net income in the first quarter, on revenue of $12 billion, made it the most profitable tech company, ahead of Microsoft, IBM and Intel. Samsung's sales could reach $80 billion in 2009, says Jong-Yong Yun, 60, chief executive. "We're like a snowball that rolled down a big hill," says Kitae Lee, chief of Samsung's cell business, which provides a third of Samsung's sales.The big numbers owe to Samsung's strength in two of the three pieces that anchor most digital devices: memory chips and screens (Intel controls the third,microprocessors). It arms the world's biggest tech names with these parts--yet it also embeds them in Samsung's own phones, screens and Internet-ready refrigerators (see chart). Samsung is the world leader in memory, making one-third of the world's DRAM and SRAM chips and a fifth of the flash memory. In that last segment, vital in wireless devices because flash holds data after the power is switched off, Samsung has even surpassed Intel. It also is the largest producer of thin-film LCD screens and flat-panel computer screens.How long can Samsung keep this up? This giant has an image problem. It still lacks the sheen that consumers see on Sony or Dell or Nokia, especially in the U.S. market. Samsung's own research shows that Americans think the brand seems "more foreign" than Sony and view it as more rigid and less creative--a copycat rather than an innovator. In spending $800 million a year on ads, promotions and marketing (up fourfold in five years), and presenting its moniker to online users a billion times a month, Samsung has risen from obscurity to claim the 25th spot in Interbrand's best-brand rankings. But it still lags behind Nokia (6th), Hewlett-Packard (12th) and Sony (20th)."Our brand doesn't provoke an emotional response," says Dong Jin Oh, head of Samsung North America. "We still have a long way to go to be a tier-one company in the U.S."

  7. And while the brass talks of listing Samsung public on the New York Stock Exchange in a couple of years, the stock continues to suffer from a Korea discount. It has risen 16-fold in six years on the Korean stock exchange, and among emerging-market stocks it is the most widely held by Western investors. But today it trades at just 13 times last year's earnings compared with a lofty 42 times earnings for Sony, whose ADRs trade on the NYSE. For all the stunning numbers Samsung puts up, it doesn't yet adhere to standard U.S. accounting rules, adding to investor wariness. Clearly, Samsung wants--and needs--more respect."To be number one, we have to be right about everything," says Chief ExecutiveYun. "To upgrade the brand, we have to come up with great products--high-quality, early-adopter or market-leading products." His Samsung was steeled by crisis, responding to the Asian financial collapse in 1997 by chopping payroll, wiping out a honeycomb of management layers and speeding up everything it does. That makeover served Samsung well when the next crisis hit--the burst of the Internet bubble. As the rest of tech reeled, profit at Samsung grew 5% from 2000 to 2003.To keep growing, Samsung is pushing to revamp advertising, fund new research and intensify the focus on snazzy design. The Seoul-based marketing chief, Eric Kim, has put Samsung's $500 million annual ad account up for review, threatening incumbent ad shop Foote Cone &Belding (owned by Interpublic). "Samsung isn't satisfied with where it is in the U.S.," says FCB Chief Brendan Ryan. "No one there rests." Samsung built name recognition for five years, Kim says, and now it must lift brand loyalty. "We want people to say, ‘I want a Samsung.'"The grand plan is to double the research budget from the current $3 billion in the next few years. Samsung employs 20,000 researchers at 15 labs (including sites in China, Japan, Russia and Israel) and hopes to add a few thousand more in the next few years. "We are too focused on next year's product," saysHyung Kyu Lim, who recently was named worldwide research chief. "We need to be thinking about what's coming in three to ten years." He is reining in rival efforts at five divisions, focusing everyone on "the three screens of life"--mobile, home and office. "As the products converge, you need better coordination," he says.

  8. Samsung Electronics was formed in 1969 as a joint venture with Sanyo of Japan, but its roots stretch back six decades. In 1938, when Korea was still a poor colony of Japan, Byung-Chull Lee opened a small dried-fish and fruit export company. His trading outfit developed into what is today Samsung Group, Korea's largest chaebol, or loose conglomerate. It is controlled by Korea's richest family, headed by billionaire Kun-Hee Lee, son of the founder. He owns 3.3% of Samsung Electronics (but has been reported to own as much as 15%) and is its chairman; Samsung Electronics owns stakes in ten other group companies.The group encompasses an eclectic range of 63 businesses, some of them utterly unrelated--Samsung Fire & Marine (insurance), Samsung Electro-Mechanics (electrical components), Samsung Corning (glass for TV picture tubes and monitors), even Samsung Everland (an amusement park that owns 19% of Samsung Life, which in turn owns 7% of Samsung Electronics).The first big win for Samsung Electronics came in 1983 in memory chips or DRAM (dynamic random access memory). The chip market already was glutted and seemed destined to be forever dominated by the Japanese, and U.S. regulators had imposed tariffs on Japanese chipmakers. Samsung rushed in, doggedly if belatedly, producing its first chip ever sold in the U.S.:a 64-kilobit chip (able to hold 64,000 bits of data). It debuted three years after everyone else's. But just three years later Samsung had created the world's first one-megabit chip, a jump that should have taken six years, given the industry's usual pace.Samsung did it by pitting two teams of engineers--one in Silicon Valley and one in Seoul--in a race to be first to hit the megabit mark; Korea won. By 1994 Samsung was making the first chip that held 256 megabits and was now the world's largest producer of DRAM (thanks in part to Korean government subsidies).

  9. Memory chips, however, were an isolated success. Samsung at the time was faring so poorly in the U.S. market in most businesses that it was considering pulling out entirely. It was mired in low-margin items like microwave ovens and cheap TVs, and confined to discount outlets like Kmart. Then came the Asian financial crisis and plunging chip prices in 1997, and suddenly Samsung needed the U.S. more than ever before. U.S. sales would generate hard currency that Samsung could use to whack at its yawning debt as it set about reshaping the company.But "we didn't have many products we could use to build our brand"--except, maybe, cell phones, says Kitae Lee, the global cell phone chief. "The crisis put major pressure on us to succeed," adds Peter Skarzynski, head of the U.S. handset business. To thrive in cell phones, Samsung would have to remake itself to be quicker, flashier, slimmer. And to command higher prices and bring in more hard dollars, it would have to jump far ahead of current technology, pouring profits from the memory and LCD businesses into more innovation and bigger marketing.Much of that couldn't happen, however, without dramatically altering operations back in Seoul. Yun, who had taken over in 1996 only to face the devastating Asian financial crisis a year later, realized Samsung had to alter itself--or drown. "The crisis gave us the freedom to restructure," he says. With the government's blessing, Yun cut 30% of his 84,000-strong work force, a radical move in a place with militant unions. He worked on whittling Samsung's $12 billion of debt (now down to $8 billion), and debt-to-equity dropped 300% to 30%; he closed 52 product lines. The company idled plans for new factories and outsourced nonessential jobs such as maintenance for company cars. Golf memberships and other perks got axed. Non-Koreans joined the board of directors. This was a new company, and Yun began doing things in new ways.

  10. In hierarchical Korea he is a maverick who fancies efficiency and speed. He studied electrical engineering at Korea's best university, Seoul National University, graduated in 1966 and immediately joined Samsung Group. By the late 1970s he ran Samsung Electronics' Tokyo office (he speaks Japanese and understands English) and from the 1980s onward ran eight different businesses. Yun impressed Chairman Lee with an ability to get things done. One success: creating the first VCR for Samsung after Japanese makers wouldn't share their technology. Later he sped up VCR output by shortening the assembly line--a change his engineers said would take three months to do. Yun got it done in five days.As boss, Yun gave more latitude to his managers and threw out the seniority-based pay and promotion system. Instead, employees won bonuses tied to the profits of each division, including a stock-option plan that has distributed 4% of the company's shares to 900 executives. Yun's options are worth $40 million.He also made each business its own profit center: The semiconductor and LCD divisions sell to other Samsung businesses and outsiders for the same price, with no favoritism. "This is very different from other chaebol, even Japanese and U.S. companies, who favor internal vendors," says Woosik Chu, head of investor relations. This assures Apple, HP and other clients that they are getting a fair deal--and knowledge of their buying patterns offers valuable intelligence to Samsung."We saw the cell phone was changing from a utility item to a fashion statement," says Kim, the marketing czar. "People used to say, ‘Why would anyone want to take a photo with a phone?'" Now Samsung has a 12% share of the camera-phone market--just one point behindNokia (but well behind NEC). Samsung's coolness factor got a big boost when one of its futuristic cells was featured in the second and third installments of the sci-fi series The Matrix. It also benefited in the U.S. from an early deal with Sprint, whose wireless network uses the CDMA standard that Samsung follows. Overall, Samsung's cell phone revenue rose more than fourfold in five years, to $18 billion; its handsets are priced 44% higher than rivals'.

  11. Better design plays a role. Samsung has six design labs, five outside Korea. Five years ago engineers told designers what the products would look like. No more. "Now the designers tell the engineers what features they want," says Kook Hyun Chung, who runs the Samsung design center in Seoul and has expanded his staff 50% in two years to 450 people.At the design lab in London Clive Goodwin and his staff of 18 create whimsical designs for the European market--a plasma TV with clear plastic speakers; a phone with a keypad that slides downward. "The way a product interfaces with the user is very important. It's like theater," Goodwin says.The obsession with looks pays off in myriad ways. Samsung this year won five design awards at the IDEA competition, more than any other company. A recent survey shows U.S. customers, asked to compare a Samsung cell to a car brand, most often cite Lexus. Typical of Samsung's new design push is the sleek SGH-E700, a clamshell with two LCDpanels and a camera with a digital zoom. Designers told the engineers to eliminate the usual bulky antenna in favor of an internal one, and in less than a year the E700 has become one of the world's bestselling phones, at 10 million units.Samsung releases these beauties at a breathless pace. It used to take 14 months to roll out a product; now it needs only 5. Product cycles have shortened, prices have dropped and employees feel motivated to keep up. "Consensus is important here, but the speed of implementation and empowerment of employees is equally important," says Thomas Quinn, an 11-year veteran who heads Samsung's North American memory sales and marketing division.

  12. Cool. Samsung hopes the cell phone gleam can spill over to its consumer electronics line, the one laggard in the Samsung stable. It provides only 5% of profit, down from 10% five years ago. Yun, who spent a good part of his early career on gadgets and televisions, is making some headway: Samsung's consumer electronics sales in the first quarter were up a modest 16% to $2 billion. Samsung ranks fourth in the world in MP3 players, trailing Apple, iRiver and RCA; its DVD players are number three, trailing Sony and Toshiba.But Samsung doesn't sell stereos or laptop computers in the U.S., putting it at a disadvantage to Sony in placing its brand in front of consumers. So Samsung's U.S. marketing chief, a frenetic 6-foot-3 American named Peter Weedfald, is resorting to inventive measures, partnering with Hollywood and the music business."We want brand infatuation," he says. "I think of Starbucks. Also Nike." In June he signed up New Line Cinema to use Samsung gadgets in its films. A Samsung ad online promotes NewLine's new release, The Notebook: Download the trailer and enter to win a Samsung camcorder and a trip to the Hollywood premiere.Samsung, known now by the cold tagline "Digitall: Everyone's Invited," could switch to a more Intel-style one-liner in its new campaign. "The Power Within" could become Samsung's slogan, Weedfald says, though he admits it is risky. "Will consumers care that our own components are inside our products?Plus, our competitors are our customers," he says.Samsung says its control over manufacturing of tiny screens and potent flash memory is a key element of its rise in the faddish cell phone market; it could help it in consumer electronics, too. "PCs used to drive the semiconductor business; now wireless products [do]," says Skarzynski, the U.S. cell phone chief. "Flash memory, screen technology--Samsung is a leader."

  13. In flash, a $2.2 billion-a-year business that grew out of DRAM production, Samsung has surpassed Intel. Samsung's 20% market share is number one overall, but flash comes in two forms, identified by allusions to on-off logic: Nor (the older entry, dominated by Intel) and Nand (the newer, used in memory sticks). Samsung has established supremacy in Nand, where it controls 65% of the world market. Both approaches are popular in wireless devices, but many analysts believe Nand will win. "Nor is faster now, but Nand has more storage space. Give it five years," says Peter Nori, who covers global hardware for Franklin Templeton Investments, which owns $1 billion in Samsung shares. "We plan to accelerate our innovation in Nand," says Samsung's Chang-Gyu Hwang, chief of the memory division.Samsung alleviates market swings in chip prices through customization--its chips already get 17% higher prices than the market average, thanks to special orders from the likes of Nokia, Dell and Microsoft. Intel and Samsung are battling for supremacy in multichip packages, bundled memory and processors that increasingly run cell phones. Hwang thinks Samsung, now second, can take the lead this year.While Samsung obsesses over speed, rival Sony looks vulnerable. It is in the middle of a huge restructuring. In the fiscal year ended Mar. 31, Sony's earnings declined 23% to $850 million, one-sixth the Samsung number. But Jong-Yong Yun says he worries not about Sony but about Samsung itself. He wants to ensure the company stays focused on the strategy that pulled the company out of the depths of the 1997 debacle. "The best time is also the most dangerous time," he warns. "We all need to think that we're in crisis and could go bankrupt tomorrow."

  14. "삼성전자 행보를 주목하라" - 포브스 삼성전자는 미국의 격주간 경제주간지 포브스(Forbes) 최신호(26일자) 커버스토리에 '삼성의 다음행보(Samsung's Next Act)'라는 제목으로 소개됐다고 9일 밝혔다. 포브스의 미국/국제판에 실린 이 기사는 삼성전자의 지속적인 성공 비결과 초일류 기업으로의 도약을 준비하고 있는 미래에 대해서 6페이지에 걸쳐 집중 조명했다. 포브스는 "10년전 삼성전자는 메모리칩을 제조하는 무기력하고 평범하며 독창성없는 업체였다"면서 "그러나 올 1/4분기에는 27억달러의 순수입과 120억달러에 이르는 매출을 기록하며 가장 수익성이 높은 전자업체로 도약했다"고 소개했다.포브스는 또 삼성전자의 소형 스크린과 플래시 메모리을 생산하는 능력이 유행에 민감한 세계 휴대전화 시장에서 부상할 수 있었던 원동력이었다고 평가했다.이와함께 "삼성전자주식은 수년내 뉴욕 증권거래소 상장을 논의하고 있는 가운데 국내에서 16년동안 16배로 증가했으며 서구 투자자들도 이머징마켓 가운데 가장 많은 보유하고 있다"면서 "하지만 현재 삼성전자 주식은 지난해 순익의 13배에 불과한 금액이 거래되고 있는 상태로 이는 순익의 42배가 거래되는 소니와는 비교된다"고 평가했다. 이와함께 삼성전자가 속도에 주력하며 전력하는 사이 경쟁 업체인 소니는 불안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고 전했다. 포보스는 현재 소니는 대대적인 구조 조정을 단행하고 있으며 지난 3월 31일로 종료된 2003 회계연도에서 소니의 수익은 삼성전자 수익의 1분의 6인 8억 5000만불을 기록했다고 설명했다. 포브스는 그러나 "삼성전자 브랜드 인지도는 소니, 델, 노키아 등에 뒤쳐지며 특히 미국 시장에서 더욱 그렇다"고 평가한 뒤 "삼성전자도 이에따라 광고, 홍보, 미케팅 부문 등에 8억달러를 투입 브랜드 인지도 제고에 노력하고 있다"고 전했다.

  15. 포보스는 또 윤종용 부회장이 삼성전자의 부채를 줄이고 자본대비 부채비율을 300%에서 30%로 감소시킨 공로자라며 '위계 질서가 엄격한 한국에서 효율성과 속도를 추구하는 일종의 이단자'라고 추켜세웠다. 윤 부회장이 주도한 구조조정 과정과 수익 중심으로 만든 각 사업부문에 대해 자세히 소개하고 그를 부하 직원들에게 보다 자유로움을 부여한 상사로 소개했다. 또 그동안 부진했던 가전제품 부문에 윤 부회장이 책임자로 나서면서 올 1/4분기 매출액이 16% 증가한 20억달러를 기록했다고 덧붙였다. 삼성전자 윤종용 부회장은 포브스측과 인터뷰에서 "가장 좋은 시기가 가장 위험한 시기"라며 "우리는 여전히 위기 상황에 있으며 디자인, 연구개발, 마케팅 등을 중심으로 초일류 기업으로의 도약을 준비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포브스는 지난 2001년 'Look Out Sony'라는 커버스토리에서 "삼성전자가 세계 시장에서 광고비 증대와 시장지향형 경영전략 등을 펼치면서 아날로그시 대에는 소니에 비해 30∼40년 뒤졌지만 디지털시대 삼성전자에 강한 자신감을 불어넣어 주고 있다"고 소개한 바 있다.또 지난 2002년에는 포춘에서 'Samsung Rising", 2003년 비즈니스위크에 'The Samsung Way'라는 제목으로 커버스토리로 게재된 바 있다.

  16. 삼성.LG전자 주가 연중최저.. 한국 캐시카우 IT.전자에 경고등 - 한국경제신문 게재일: 2004-06-12 한국 경제의 '캐시카우(주 수입원)'인 전자ㆍIT산업에 '경고등'이 켜졌다. 수출 호황을 주도해 온 LCD PDP 등의 가격이 급격히 떨어지면서 불투명한 전망들이 곳곳에서 제기되고 있다. 이에 따라 주요 업체의 주가가 곤두박질치면서 11일 삼성전자 LG전자 삼성SDI 등 국내 대표 IT(정보기술)기업 주가는 연중 최저치까지 떨어졌다. 삼성전자 주가는 이날 43만6천5백원에 마감돼 사상 최고치를 기록한 지난 4월23일 이후 1개월 보름만에 31.5% 급락했다. LG전자는 최고점 대비 34.8%,삼성SDI는 34.0% 하락했다. 국내 증시를 이끌어온 IT 주가가 흔들리면서 종합주가지수도 30.77포인트(3.93%) 폭락,751.53으로 내려앉았다. 이처럼 한국 전자·IT산업에 부정적인 시각이 제기되고 있는 것은 LCD PDP 낸드(NAND)플래시메모리 등 첨단 제품의 경기사이클이 이미 정점을 지나 하향곡선을 그리기 시작했다는 분석이 우세해지고 있기 때문이다. 낸드플래시메모리는 대폭적인 가격 인하로 마진폭이 줄어들고 있으며 PDP와 LCD도 세계 시장이 공급과잉 단계로 들어섰다(대우증권 리서치센터 정창원 팀장)는 관측이 강하다. 휴대폰의 경우 가격 경쟁이 심해지면서 마진율이 줄고 있고 D램 반도체는 3·4분기 이후 성장 둔화가 예상된다.

  17. 이와 관련,삼성전자 석준형 전무는 지난 10일 "LCD 40인치 패널 가격이 내년에 1천달러로 현재 가격의 절반 수준까지 떨어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해외 증권사들은 이미 삼성전자 등의 실적 전망을 대폭 낮춰잡고 있다.리먼브러더스증권은 삼성전자의 올 매출 전망을 63조3천억원에서 61조7천억원으로,주당순이익 추정치를 7만2천1백17원에서 6만9천54원으로 하향 조정했다. UBS증권은 삼성전자의 올 영업이익 전망을 당초 예상보다 4% 줄어든 16조8백억원,순이익은 5% 감소한 13조3천6백억원으로 내렸다. 특히 LG전자의 경우 LCD 업황 침체로 오는 7월로 예정된 LG필립스LCD의 상장 계획에 차질이 빚어질 우려도 커지고 있다. 조주현·장경영 기자 forest@hankyung.com

  18. 美'일자리창출' 불안만창출- 한국일보 입력시간: 2004/03/10 18:50 "13만개라더니고작2만여개…" 충격고용없는성장현실화우려속논란확산지난5일미노동부가밝힌2월새일자리창출현황의충격이미국을휩쓸고있다. 대부분의경제전문가들은새일자리가13만개에이를것으로전망했는데실제로만들어진것은고작2만1,000개에불과했기때문이다. 경제전문가들은이같은엄청난계산착오에당혹해하면서그원인을찾기위해갑론을박을벌이고있다. 대선쟁점차원을넘어미국경제에대한근본적인논쟁으로번지고있는것이다. 경제정책연구소의로렌스미셸소장은“경제의총체적문제점이낳은결과”라고말했다. 고용없는성장 전문가들은2월에투자, 산업활동, 수출, 소매매출이증가하며고성장을이어갔는데고용만뚝떨어진점에대해난감해하고있다. 제조업생산은거의20년만의최고수준을기록했었다. 의회와일반시민들사이에선IT 산업을중심으로한‘아웃소싱’이큰역할을했다는다소감정적의견이많지만, 전문가들은“경제성장과고용의동반자관계가깨졌다”고보고있다. 즉1인당생산성이기록적으로향상되면서미국산업이더적은고용으로더많은산출을하는구조로변하고있다는것이다. 비즈니스위크는최신호에서“투자자본대부분이시설의증설이아니라시설의개선과효율화에쓰이는점에주목해야한다”고보도했다.

  19. JP모건프라이빗은행의잭캐프리는“지금일자리창출을시작하지못한다면기업수익이얼마나지속적으로성장할수있을것인가라는문제가부상하고있다”고우려했다. 실제로9일뉴욕증시에서나스닥종합지수2,000선이붕괴됐고, 다우존스산업평균지수와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도하락세를이어갔다. 비즈니스위크는“지난해하반기부터월평균6만개의일자리가느는데이정도로는산업생산증가를뒷받침하기에부족하다”고지적했다. 임시직만증가 영국의파이낸셜타임스는9일“창출되는일자리수도문제지만질이더큰문제”라며“미국근로자중430만명이임시직”이라고보도했다. 이신문에따르면지난해4월이후미국의민간부분에서창출된29만개의일자리중21만5,000개가임시직이었고, 서비스업에서늘어난일자리3만3,000개중정규직은고작1,000개에불과했다. 경제학자드류매터스는“쥐꼬리같은일자리창출은그나마임시직으로부풀려진것”이라며“저질일자리만늘고있다”고말했다. 부시의감세정책은기업들이정규직고용보다는시설투자에더집중하게할것이라는관측도있다. 그러나올봄을고비로고용이회복될것이라는시각도만만치않다. 무엇보다노동부보고서가일자리수를적게반영하는등현실과다르다는것이다. GKST투자은행의브라이언웨스베리는“취업률이과소평가되면서생산성이과대평가됐다”며“생산성향상이처음에는고용을끌어내릴수있지만장기적으로다른부분에서더많은일자리를창출한다”고말했다. 안준현기자dejavu@hk.co.k

  20. 실물부문의 동조화 추세는 외환위기 이후 상당히 강화되었으나 올들어 이러한 추세에서 벗어나는 양상이 나타나고 있다. 수출 호조가 이어지는 가운데 생산과 심리지표 등에서 일부 호전조짐이 나타나고 있지만 도소매 판매가 2분기 연속 감소하는 등 내수경기는 침체의 늪에서 헤어나지 못하고 있다. 반면 선진국 경기는 빠른회복세를 보이고 있다. 미국이 3/4분기 8.2%의 높은 성장률을 기록했으며 일본과 유럽도 불황의 긴 잠에서 깨어나고 있다. 그렇다면 우리경제와 세계 경제 간의 괴리, 혹은 디커플링을 어떻게 이해해야 할까? 이러한 현상의 원인을 따져보고 이에 근거해 향후 전망을 하고자 한다. 실물 측면에서 우리나라와 미국의 분기별 성장률 추이를 보면, 외환위기 이전까지 두 나라 의 성장률간에는 밀접한 관련성이 나타나지 않는다.그러나 외환위기를 겪으면서 양국간의 성장세는 상당히 동조화되어 움직이다가 2003년 들어 우리나라의 성장세가 뚝 떨어지고 미국의 경기회복이 진전되면서 성장세의 역전이 일어나게 된다. 실제로 두나라의 분기별 성장률간의 상관계수를 구해 보면 외환위기 이전에는 -0.29이며 외환위기 이후에는 0.31 로서 정의 상관관계를 나타내고 있다. 실물부문에 비해 금융시장의 동조성은 상당히 높으며 추세적으로도 상승세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난다. 아래 <그림 2>는 양국간 월별 주가지수의 상관계수 추이를 나타낸 것으 로서 90년대 중반 이후 상관성이 급격히 높아지면서 0.8 수준에서유지되고 있다

  21. 다양한 원인들 최근 들어 두드러지고 있는 우리경제와 세계경제간의 디커플링 현상을 설명하기 위해 세 가지 측면에서 접근하고자 한다. 첫째, 교역구조상의 문제로서, 수출의 내수부문에 대한 기여도가 축소되고 있어서 수출과 내수 부문간의 단절현상이 나타난다는 점이다. 둘째, 최근 우리경제의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는 가계부채라든가 내수호황의 부작용 등으로 인해 수출 증가와 무관하게 내수가 위축되어 있다는 점이다. 셋째, 우리경제가 국제 비즈니스 사이클(International Business Cycle)에서 벗어나고 있지는 않나 하는 점이다. 첫째와 둘째 접근은 우리의 수출이 늘어나는데 내수가 증가하지 않는 이유에 대한 대답을 찾는 것이며,

  22. 셋째 접근은 국제적 동조화 현상을 초래하는 변수들을 살펴봄으로써 장기적인 차원에서 세계경제와의 동조화라는 측면에서 우리경제를 진단하는 것이다. 수출부문 수입유발도 커 내수 진작효과 작아 일반적으로 수출이 증가하면 기업들이 생산설비 확충을 위해 투자를 늘리고 이에 따라 고용이 확대되면 서 소득이 늘어나고 소비가 증가하게 된다. 결국 수출 증가가 소비와 투자 등 내수를 촉진하게 된다는 것이다.그렇다면 현재 이러한 연결고리가 원활하게 작동하지 않고 있는이유는 무엇일까? 먼저 수출이 투자로 연결되지 않는 이유를 살펴보면, 수출부문이 우리경제에 미치는 파급효과가 상대적으로 작다는 점이 지적된다. 최종수요부문별 수입유발계수를 보면, 2000년 기준 소비와 투자의 수입유발계수가 0.21과 0.35인데 비해 수출의 수입유발계수는 0.37로 가장 높다(<그림 3> 참조). 수입유발 계수가 예컨대 0.21이라는 것은 소비나 투자, 수출 등 최종수요가 1단위 증가했을 때 0.21 단위의 수입이 유발된다는 의미이다.

  23. 따라서 수출의 수입유발계수가 소비보다 높으면 수출이 국내생산에 미치는 효과 가 상대적으로 작다는 것을 뜻한다.더욱이, 이러한 양상이 추세를 보이고 있는데, 1995년 의 경우 소비와 투자의 수입유발계수가 0.20과 0.31이었고 수출의 수입유발계수는 투자의 수입유발계수보다 낮은0.30에 불과했었다. 수출의 수입유발계수가 높은 것은 산업별 수출구조와 직접적으로 관련된다. 산업별 수입유발계수를 보면 우리나라 수출의 대종을 차지하는 조립가공업종의 수입유발계수는 0.39로서 전산업 평균 0.29를 훨씬 상회한다. 산업별 수입유발계 수는 산업별로 생산된 재화 및 서비스에 대한 최종수요 1단위가 증가했을 때 전산업에서 직간접적으로 유발된 수입의 크기를 나타낸다. 조립가공업종 가운데서도 특히 반도체와 통신기기 등 전기 및 전자기기 분야의 수입유발계수는 0.46으로서 25개 산업군 가운데 원료의 대부분을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석유 및 석탄제품(0.62)에 이어 두 번째로 높다. 대표적인 내수 산업이라 할 수 있는 서비스의 경우 수입유발계수 는 0.11에 불과한 실정이다 결과적으로 재화나 서비스의 수입이 어떤 항목에 의해 유발되었는가를 나타내는 최종수요 항목별수입의존도는 1995년만 해도 소비가 37.1%로 가장 높고 투자가 36%, 그리고 수출 이 26.9%로 가장 낮았으나 2000년에는 이 관계가 역전되어 소비와 수출이 36.5%와 36.3%로 비슷하고 투자는 27.2%로 나타났다.수출이 꾸준한 증가세를 보여 온 반면 기업들이 내실경영에 주력하면서 투자를 자제한 결과로 해석된다.

  24. 수출부문 고용유발효과 작아 수출이 잘 되는데 비해서 소비 회복이 지연되는 것은 수출부문의 부가가치유발효과가 상대 적으로 낮으며, 동시에 하락추세에 있다는 것으로 설명된다. 2000년 현재 수출부문의 부가 가치 유발계수는 1995년에 비해 큰 폭 하락한 0.63으로서 소비(0.79)나 투자(0.65)보다 낮은 수준을 보이고 있다. 부가가치 유발계수는 최종수요 1단위당 부가가치 유발효과를 나타낸다. 특히 수출의 고용유발효과는 내수부문보다 상당히 작다. 소비와 투자, 수출 등 최종수요항목별 산업별 고용유발계수를 보면 1998년 현재 10억원의 최종수요당 평균 16.1명이 고용되는 것으로 나타난다. 그러나 수출은 12.3명으로서 소비(17.9명)나 투자 (18.3명)의 2/3 수준에 불과하다.

  25. 총생산액 가운데 피용자의 보수가 차지하는 비중을 나타내는 피용자보수율에서도 주요 수출부문의 수치가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난다. 2000년 전산업의 피용자보수율 평균이 19.2%인데 비해 우리 수출의 대종을 차지하는 조립가공업종의 피용자보수율은 11.1%에 불과하다. 특히 반도체와 컴퓨터, 휴대용전화 등을 포괄하는 전기 및 전자기기 산업의 피용자보수율은 9.0%로서 서비스산업(30.4%)의 1/3에도 못 미치고 있으며 전력·가스·수도 및 건설(22.3%)보다 훨씬 낮은 수준을 보이고 있다. 수출부문의 부가가치 유발효과가 감소하고 있는 것은 관련 기업들의 수익성 하락으로도 확인된다. 2002년 수출 상위 20대 제조업 기업의 가중평균 매출액경상이익률은 14.9% 였으나 2003년 상반기에는 9.4%로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우리기업들의 수출이 활기를 띠고 있지만 환율하락 등으로 인해 수출채산성이 악화되어 수출증가가 내수회복으로 연결되지 않고 있는 것이다. 소비심리 위축 등 소비 부진 원인 수출과 상관없이 국내부문 자체의 이유로 인해 내수가 부진한 측면도크다. 수출 호조세에 도 불구하고 소비심리 위축이라든가 가계의 실질구매력 약화, 가계신용 공급 축소 등으로 인해 소비는 아직 회복되지 않고 있는 것이다. 10월 산업생산통계에서 나타나듯이 제조업 평균 가동률이 81.1%로서 매우 높은 수준임에도 불구하고 기업들이 투자에 나서지 않는 것은, 기업들이 수출 증가로 인한 투자 압력 상승에 설비투자 대신 가동률을 높여 대응하는 것으로서 투자심리가 위축되어 있음을 반영하는 것이다.

  26. 여기에 고용사정 악화라든가 지난해의 과도한 내수호황의 부작용 등도 소비와 수출간의 괴리, 나아가 세계경기와 국내경기간 디커플링의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한편 교역조건 악화로 인해 체감경기가 지표경기에 못 미치는 측면도 있다. 올해 1~9월 국내총생산(GDP)은 2.6% 증가했으나 실질 국민소득(GNI)은 오히려 0.2% 감소했다. GDP가 생산측면이라면 GNI는 실제로 경제 주체들의 소득측면을 나타낸다는 측면에서 GNI가 체감경기 변화를 좀 더 잘 반영한다고 볼 수 있다. 두 변수간의 차이는 교역조건의 변화에 기인하는데 교역조건은 올들어 지난해에 비해 6%나 악화되었으며 지난 10년간 32.5%나 악화되어 실질 무역손실을 가져온 바 있다.

  27. 장기적으로는 동조화 추세가 강해 일반적으로 국제 비즈니스 사이클에 있어 동조화의 주요한 원인으로는 금융통합과 국가간 교역 및 특화(specialization)의 정도 등이 지적된다. 교역비중이 높고 금융통합 정도가 높을수록 국가간 경기의 동조화 정도가 높고, 특화의 정도가 높을수록 동조화의 가능성이 낮다는 것이다. 국제적인 경기순환의 차원에서 볼 때 우리경제는 오히려 세계경제와의 디커플링보다는 커플링의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분석된다. 먼저 금융·통화면에서의 통합의 정도가 강해지고 있어 동조화를 강화시키는 요인이 되고 있다. 주가면에서의 높은 동조화 추세는 앞서 본 바와 같으며 정책금리 등에서 우리나라의 금리와 미국 금리와의 연동성이 높아지고 있는 것은 잘 알려진 사실이다. 특히 최근 들어 원화환율이 일본엔화보다 달러화에 동조화 되는 추세를 보이는 것도 금융면에서의 미국과의 통합정도를 강화시키고 있다. 지난 2~3년간 IT버블 붕괴의 여파로 IT산업 교역이 위축되면서 산업 내 무역지수가 다소 감소하기도 했지만 이 시기를 논외로 하면 미국과의 산업 내 교역은 장기적으로 강화 추세를 나타낼 것으로 보인다. 무역특화 면에서는 수입초과에서 수출초과로 바뀌었다는 측면 외에 별다른 특징이 발견되지 않고 있다. 경험적으로 보아도 미국과의 동조화는 추세로 나타나고 있다. 미국경제 성장세와의 동조화 추세를 보면, 개도국의 동조성은 선진국에 비해 훨씬 낮은 수준에서 유지되어 왔다. 그러나 1990년대 후반부터 동조화 추세가 급격히 강화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28. 세 번째 디커플링 국내경제와 세계경제가 달리 가는 모습, 다시 말하면 소비와 수출의 괴리현상이 이번에 처음 나타난 것은 아니다. 지난 20년을 되돌아볼 때, 소비와 수출의 디커플링 현상은 1980년대 후반과 외환위기 당시, 그리고 2003년 등 세 차례가 있어 왔다(<그림 9> 참조). 1980년대 후반의 경우 3저 호황으로 소비가 급증했으나 미국의 경기부진 등으로 수출은 정체하는 모습을 보였다. 반면 외환위기 당시와 현재는 소비가 상대적으로 위축된 경우이다. 외환위기 당시는 급격한 경기 및 심리 위축으로 소비가 급락하는 가운데 환율효과와 IT 경기 호조에 힘입어 수출이 어느 정도 유지되었으며 특히 수입이 급감해 416억 달러에 달하는 상품수지 흑자를 기록하기도 했다. 외환위기 당시 소비감소는 갑작스러운 소득 감소와 패닉에 가까운 소비심리 위축에서 비롯되었고 수출은 급격한 환율 절하의 덕을 보았다.

  29. 1990년대 일본경제도 설비투자 및 소비의 장기부진을 겪으면서 세계경제와의 디커플링을 경험한 바 있다. 1980년대까지 고도성장을 구가했던 일본경제는 자산디플레이션의 심화와 금융구조조정 부진, 성장잠재력 약화, 일본식 경영의 한계등의 문제로 인해 장기침체에 빠진 것이다. 현재 우리경제의 내수 침체가 성장세와 기업수익성을 떨어뜨리고 이에 따라 소비와 투자가 위축되고 있다는 점에서 90년대 일본의 장기불황 메커니즘과 유사한 측면이 있다. 그러나 우리경제는 버블붕괴와 같은 극단적인 자산디플레 현상이 나타나지 않고 있고 수출비중이 높아 내수 위축을 보완해줄 수 있다는 측면에서는 다소 나은 입장이다. 다만 앞서 본 바와 같이 수출 위주의 경기회복이 여러 가지 어려움에 직면하고 있음은 사실이다. 불안심리 극복이 급선무 종합해보면, 현재 우리경제의 세계경제와의 디커플링은 교역구조상의 문제점과 가계부채와 관련된 심리위축 등 대내부문의 문제점에 그 원인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그렇지만 그 가운데서도 후자에 기인하는 바가 보다 큰 것으로 판단된다. 교역구조상의 문제점도 현재의 내수위축을 불러온 중요한 요인이지만 그것은 올해만의 문제가 아니라 지난 수년간을 통해 꾸준히 진전되어 온 것이기 때문이다. 이렇게 볼 때 최근과 같은 내수와 수출간의 괴리현상은 내년에도 지속될 가능성이 큰 것으로 판단된다. 현재 소비를 옥죄고 있는 가계부실화 추세는 높은 가계부채 수준이라든가 소득양극화 현상 등의 구조적인 문제로 인해 단시일 내에 개선되기는 어려운 문제이기 때문이다.

  30. 외환위기 당시와 달리 디커플링의 원인이 단기적인 성격을 가지지 않는 것이다. 따라서 내년 상반기까지는 수출호조와 내수 부진이 지속되어 수출의 성장기여도가 내수에 비해 크게 높을 것으로 예상된다. 다만 2004년 하반기부터 내수가 회복되는 가운데 수출증가세가 둔화될 것으로 보여 내수부문의 성장기여도가 상대적으로 높아질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장기적인 차원에서 보면, 현재와 같은 극단적인 형태의 디커플링은 완화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된다. 우리나라 교역구조상의 문제점이 디커플링을 강화시키는 요인이 되는 반면에 국제 비즈니스사이클 측면에서는 관련 변수들이 오히려 동조화가 강화되는 방향으로 진전될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31. 결국 산업별·지역별 무역구조를 다변화하는 가운데 가계부실 문제를 완화시켜 가면서 불안심리를 극복하는 것이 현재의 내수부진으로 인한 디커플링을 극복해 나가는 방안이 될 것이다. 특히 부동산 가격이 급락할 경우 내수가 더욱 가라앉고 금융기관 부실이 가속화되면서 자칫하면 일본식의 장기 내수불황으로 갈 가능성도 있어 부동산시장의 안착을 위해 세심한 노력이 필요한 시점이다.

  32. [3대악재 경제파장 심화] "내수이어 수출까지 수익성 악화" • 기업의 실적 증가세가 4분기부터 급격히 떨어질 것으로 관측되는 것은 수출기업의 성장 둔화 우려에서 기인한다. • 극심한 내수부진에도 불구, 사상 최대실적을 기록해온 수출기업들의 외형 및 수익 성장세가 '3대 악재'(고유가, 중국 긴축, 미국 금리 인상)에 부딪쳐 위축되고 있기 때문이다. • 대우증권 리서치센터는 "내수 업종뿐 아니라 반도체 IT(정보기술) 자동차 조선 등 수출 관련주의 이익 성장세가 눈에 띄게 떨어지고 있다"며 "이익 모멘텀 둔화가 내년 상반기까지 지속될 전망이어서 주식시장의 약세 기조도 당분간 이어질 공산이 크다"고 내다봤다. • ◆ 사실상 2분기 이익 모멘텀 정점 • 대우증권이 조사한 2백31개사의 3분기 영업이익 증가율(전년 동기 대비)은 59.0%로 2분기 56.4%보다 높게 나왔지만 이는 KT 덕분이다. • KT는 지난해 3분기중 구조조정 과정에서 대규모 인건비를 계상해 영업이익이 적자를 냈지만, 올 3분기에는 5천억원의 영업이익을 낼 것으로 예상된다.

  33. KT를 제외할 경우 3분기 영업이익 증가율은 44%로 낮아져 사실상 전체 기업의 이익 모멘텀은 2분기를 정점으로 하락세로 돌아서는 추세라고 대우증권은 분석했다. • 내년에는 영업이익 증가율이 더 정체될 전망이다. • 내년도 분기별 영업이익 증가율은 1분기 0.1%, 2분기 마이너스 2.2%, 3분기 마이너스 3.6%, 4분기 2.8%로 추정됐다. • 기업의 성장지표인 매출 증가율도 3분기를 기점으로 둔화할 것으로 관측되고 있다. • 건설·유통을 중심으로 한 내수 부진과 수출 제품의 단가 하락 등이 맞물리면서 3분기 17.7%였던 매출액 증가율이 4분기 7.0%, 내년 1분기에는 3.9%로 떨어질 것으로 대우증권은 분석했다. • ◆ 수출 관련주 이익 둔화세 뚜렷 • 내수 업종보다 수출 관련주의 영업이익 증가율이 상대적으로 더 떨어질 것으로 보인다. • 시가총액 1위 종목인 삼성전자는 3분기 영업이익 증가율이 1백2.2%에서 4분기에는 45.8%로 떨어질 것으로 예상됐다. • 글로벌 IT경기의 상승세가 한풀 꺾이고 있는 데다 D램 반도체, LCD, 휴대폰 등 주력 IT 제품의 가격 하락 압력이 지속될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34. 현대차의 영업이익 증가율은 3분기 1백64.4%에서 4분기 마이너스 16.1%로 크게 떨어질 것으로 보인다. • LG전자는 0.5%에서 마이너스 39.0%, 삼성SDI는 43.2%에서 마이너스 1.0%, LG화학은 16.7%에서 5.7%로 떨어지는 등 대부분의 수출 주력 기업들도 실적 악화가 예고되고 있다. • 대우증권의 이원선 연구위원은 "반도체 경기 사이클이 하락 국면으로 접어들 것으로 예상돼 2005년중 IT 부문의 이익 감소세가 가장 뚜렷하게 나타날 것"이라면서 "관련주의 주가 상승도 제한적일 것"이라고 예상했다. • 대우증권은 기업 이익 모멘텀을 감안할 때 증시가 내년 1분기까지 약세를 나타내다가 2분기중 반등을 모색할 것으로 내다봤다. • 장진모 기자 jang@hankyung.com • 입력시간 07/11 17:33

  35. “반도체경기 정점지났다” 메릴린치 • 미국의 최대 증권사인 메릴린치가 반도체 산업에 경고음을 울렸다. • 메릴린치는 12일 반도체 산업이 하반기에 수요 둔화와 가격부진을 겪을 것으 • 로 전망했다. • 이 회사 분석가들은 내년에도 전 세계 반도체칩 판매가 당초 예상했던 16%보다 • 훨씬 낮은 6% 증가하는데 그칠 것으로 전망했다. • 지난달 반도체산업협회는 올해 칩 판매가 연간으로 사상 최고치인 2천1백40억 • 달러에 달할 것으로 전망했었다. • 메릴린치 분석가들은 이에 대해 "반도체 산업에 대한 재무 전망이 나빠질 위험 • 성은 지난 2002년 초 이후 가장 높다"고 지적했다. • 세계 반도체 산업에 대한 투자등급도 "비중확대"에서 "비중축소"로 낮췄다. • 대표적인 반도체칩 회사인 인텔의 등급도 "매수"에서 "중립"으로 하향조정했다. • 한 분석가는 "단기적으로 반도체 주가가 오름세를 탈 수 있지만 향후 12개월 • 간 주가 전망은 전반적으로 좋지 않다"고 진단했다.

  36. 반면 베어스턴스의 거린더 칼라 분석가는 "반도체 주식 전체를 내팽개칠 정도 • 로 사정이 나쁘지 않다"며 메릴린치에 비해 덜 비관적인 입장을 밝혔다. • 뉴욕 증시는 이날 국제유가 진정으로 하락세에서 벗어났지만 메릴린치의 반도 • 체 산업에 대한 경고로 기술주는 약세를 면치 못했다. • 뉴욕=고광철 특파원 gwang@hankyung.com

  37. 중국경제중 가장 두려운 것은? [호재에서 악재로 변하고 있는 중국경제의 영향은?] • 이미 우리나라 최대교역국으로 부상 • 경착륙 여부 • 미국과 동행하는 금리인상 • 물가의 고공행진 우려 • 아직도 지속되는 지방정부의 투자지속 • 중앙정부와 지방정부의 정책마찰 • 자본주의 경제의 경험이 일천하여 급격한 경제위축을 감당할 능력여부? • 경제보다는 이념이나 정치적 논리에 의한 의사결정 우위 • 이미 세계경제에서 가장 두렵고 강한 상대로 손꼽히기 시작. ***무엇보다도 두려운 것은 이미 대부분의 시설투자가 기집행된 중국이 본격적인 자본주의 경제로의 성장시 우리의 가장 무서운 경쟁상대로서 급부상할 가능성입니다.

  38. 미국경제는? • 올 美 금리 1.75% 예상, "100bp 인상시 성장률 0.5%P↓" - 메릴린치

  39. 美 증시 “신나는 여름 시작됐다” • 2004 배론스 라운드테이블 중간 점검…고유가·금리인상 불구 하반기 증시 낙관 • 지난 1월12일 2004 배론스 라운드테이블에 참가했던 투자의 대가(大家)들은 반년이 지난 지금 그들의 예측이 비교적 정확했다는 사실에 뿌듯해하고 있다. 그러나 과거는 과거일 뿐 이제 그들은 중간 점검을 통해 하반기 경제 전반과 금융 시장을 전망해야 할 자리에 섰다. • 유가 상승·금리 인상·테러 위협 등의 악재가 심상치 않아 보이는 지금, 그들이 보는 하반기 경기는 어떤 모습일까? 다행히 월스트리트의 거물들은 대부분 연초보다 더 낙관적인 시각을 내놓았다.

  40. 스코트 블랙(델피아매니지먼트 사장)=1분기 기업실적이 당초 예상보다 20% 상승하고, GDP(국내총생산) 역시 2차대전 이래 최고 수준에 육박하는 등 전반적으로 경기가 견조한 모습이다. 주식시장 역시 올해 상승세를 이어갈 것으로 보인다. • 문제는 시장 전체의 주가수익배율(PER)은 적정하지만 개별 주식별로 보면 저렴한 종목이 별로 눈에 띄지 않는다는 점이다. 하지만 최근 가격이 많이 떨어진 저평가 종목들을 찾는다면 좋은 결과를 거둘 수 있을 것이다. 주식 중에선 반도체 웨이퍼 생산업체인 MEMC 일렉트로닉 머티리얼스를 추천한다. • 또 다른 추천 종목으로는 세무 서비스 회사인 H&R 블락을 꼽을 수 있다. PER 11배에 연간 8억 달러의 현금흐름을 기록한 이들은 지난 4회계분기 6억9,800만 달러의 사상 최고 수익을 올리기도 했다. • . • 펠릭스 줄로프(줄로프자산관리 사장)=연초 예견한 대로 초반 강세를 보이던 미국 주식시장은 중반 들어 조정세를 나타냈다. 하지만 앞으로 몇 달간 대부분의 금융시장에서는 반등세가 나타날 것으로 예상된다. ‘올해 주식시장은 순환주기상 고점에 이를 것으로 보인다. 한편 중국의 긴축 움직임에 대한 우려는 지나친 듯하다. 중국 정부가 연착륙을 시도하기는 하겠지만 부동산. 철강 등에 몰렸던 자금을 전력.인프라 구축등으로 전환할 뿐이기 때문에 큰 타격은 없을 전망이다. 추천 종목으로는 금속생산업체인 펠프스 다지와 MMC 노릴스크 니켈을 꼽고 싶다. 두 종목 모두 저평가된 점이 매력이다. • 또한 최근 경영진의 교체로 최악의 위기에서 벗어날 시도를 하고 있는 이탈리아의 자동차업체 피아트도 추천 대상이다. 구조조정이 성공한다면 향후 6개월간 주가가 배 이상 상승할 수도 있다.

  41. 마리오 가벨리(가벨리자산관리 회장)= 예상대로 경제는 건실한 모습이다. 재선을 염두에 둔 현 행정부의 경기 부양책이 효과를 발휘하고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앞으로는 ‘4D’에 주목해야 한다. • 첫번째 D 는 각종부족(deficit)이다. 무역적자는 지탱할 수 없는 수준인 3조 달러에 이르렀고, 재정적자 역시 심각하다. 일자리부족도 상당하다. 두번째 D 는 달러(dollar) 다. 장기적으로 미국과 아시아 통화 간의 불균형이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 나머지 2개의 D 는 배당금(dividend)과 민주당(democrat)이다. 기업들의 배당률이 상승하고는 있지만 민주당의 케리가 당선될 경우 이에 대한 세율이 얼마나 높아질지 미지수다. 주식 가운데는 농업 관련주들의 전망이 밝아 보인다. 현금흐름이 양호한 디어와 CNH 글로벌을 추천한다. 또한 고령화 사회로 진입함에 따라 레저용 차량 업체들도 유망해 보인다.

  42. 에비 조셉 코언 (골드만삭스 투자정책위원회 위원장)=전반적으로 볼 때 시장은 괜찮아 보이지만 지난해 말만큼 매력적이진 않다. 현재 시장은 15% 정도 저평가된 상태로 추가 상승을 위해서는 경제성장에 대한 투자자들의 자신감이 무엇보다 중요해 보인다. 향후 12개월간 주식시장은 15%정도 상승해 S&P500 지수가 1,250 포인트에 이를 전망이다. • 유망 업종은 IT. 금융 등 경기 관련 업종이다. IT의 경우 지난 1년간 기업들의 IT 지출이 25% 상승했다는 것에서 희망을 찾을 수 있고, 금융의 경우 오는 6월 말 금리가 오를 경우 수혜를 입을 것으로 보인다. 각각의 대표주로는 마이크로소프트와 AIG가 있다. • 다만 이 같은 상승세가 이어지기 위해서는 몇 가지 살펴봐야 할 변수가 있다. 먼저 높은 유가가 문제다. 경제 사정이 좋은 나라라면 30달러 초반대까지는 감당할 수 있겠지만 한국. 일본 등 에너지 의존도가 높은 국가의 경우 그 이상의 가격대는 부담스럽다. 중국의 긴축 여부도 중요하다. 우리는 중국이 현명하게 연착률에 성곡할 것으로 예상한다. 마지막으로 11월 대선 이후의 경제 상황에 대한 불확실성도 남아 있다. 한편 금리 인상으로 인한 악영향은 크지 않을 것으로 본다. 이미 금리 인상에 대한 우려감은 선반영됐고, 2~3 개월 전부터 머니매니저들은 이에 대비한 포트폴리오를 준비해 왔다.

  43. 아트샘버그(피쿼트 캐피털 매니지먼트 회장)=현재 우리가 가장 주목하고 있는 원자재는 철강이다. 지난 6개월간 철강가격은 하락세를 보였지만 석탄이 품귀현상으로 수급 사정이 좋지 않은 상태다. 이에 지난 1월 추천한 브라질 철강회사 CVRD의 회사채를 추천한다. 이 회사 30년 만기 채권의 경우 현재 금리가 표면 금리 8.25%보다 높은 9.51%를 기록하고 있고, 브라질 국채보다 높은 신용등금을 얻고 있다. 또 다른 철강주로는 누코가 유명하다. 최근 철강 가격 상승분이 비용 증가분을 앞지르면서 올해 주당 10달러의 수익을 올릴 것으로 기대된다. • 빌 그로스(핌코 설립자. 최고투자관리자)= 그동안 채권시장은 인플레이션 영향으로 별로였다. 그나마 연초에 우리가 추천했던 물가연동국채(TIPS)나 블랙락 무니 텀트러스트 2006, 애버딘 아시아 퍼시픽 인컴 펀드 등은 다른 채권에 비해 선방했다고 본다. 앞으로도 금리 인상과 인플레이션 발생에 따라 채권시장은 약세를 이어갈 전망이다. 금리의 경우 연말까지 2%로 올라 내년에는 2.5~3%대까지 이를 것으로 보인다. 단기적으로 지방채 펀드인 블랙락 무니텀 트러스트 2006이 여전히 매력적인 투자대안이다. 또한 물가상승에 대비한 물가연동국채도 추천대상이다. 마지막으로 Baa마이너스급 채권으로 채워진 핌코 코퍼레이트 오퍼튜니티 펀드도 포트폴리오에 포함돼있다.

More Rel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