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60 likes | 688 Views
나의 미래가 시작되는 대학. 농업생명과학대학 [ 전공탐색 ] 발표자 : 김은일 교수 ( 조경학과 , 농업생명과학대학 부학장 ). 목 차. 교육목표 및 비전 연혁 조직 교직원 및 학생 현황 ( 총괄 ) 연구비 및 논문발표 수 / 장학 혜택 취업률 외국대학과 학술협정 체결현황 모집단위별 모집인원 모집단위 안내. 1. 교육목표 및 비전 < 교육목표 > 2009 년 100 주년 을 맞이한 우리 농업생명과학대학은 인간과 자연이 공생하고 상생하면서
E N D
나의 미래가 시작되는 대학 농업생명과학대학 [ 전공탐색 ] 발표자 : 김은일 교수(조경학과, 농업생명과학대학 부학장)
목 차 교육목표 및 비전 연혁 조직 교직원 및 학생 현황(총괄) 연구비 및 논문발표 수 / 장학 혜택 취업률 외국대학과 학술협정 체결현황 모집단위별 모집인원 모집단위 안내
1. 교육목표 및 비전 <교육목표> 2009년 100주년을맞이한 우리 농업생명과학대학은 • 인간과 자연이 공생하고 상생하면서 • 인류의 복지향상과 지속 가능한 ‘생명과 환경’의 새로운 기술 창출및 인재육성을 교육의 목표로 함 <Vision 2020> • 첨단 농업과학을 짊어지고 나갈 창조적이고 도전적인 인력 양성 • 국제적 감각 및 소통 능력을 지닌 선진 전문가 배출 • 세계수준의 연구중심 대학 육성 • 지구온난화에 대응하는 Bio Economy 시대 선도 • 지역에 봉사하고 지역으로부터 사랑받는 대학 • 지역발전을 위한 싱크탱크 및 Technology Provider 역할 확대 • 소통과 자율, 그리고 책임 있는 대학운영 • 다각적 재정확보로 대학운영 자립화
2. 연 혁(History) • 1909. 06. 10 광주농림학교 개교 • 1950. 05. 도립 광주 초급 농과대학으로 승격 • 1952. 01. 국립 전남대학교 농과대학으로 재편 • 1962. 05. 농업경제학과 신설 • 1999. 03. 농화학과, 식품공학과, 유전공학과를 응용생물공학부로, 동물자원학과를 동물자원학부로 명칭변경 • 2002. 03. 농과대학을 농업생명과학대학으로 개칭 • 2006. 03. 응용식물학부를 식물생명공학부로 명칭변경 • 2006. 03. 원예학전공 및 농생물학 전공을 원예생명공학전공으로 명칭변경 • 2009. 05. WCU 유형 1․2․3 모두 유치 • 2009. 06. 농업생명과학대학 개교 100주년 • 2010. 03. 산림자원조경학부를 산림자원학부와 조경학과로 분리, 바이오에너지공학과 신설, • 생물산업공학과를 지역.바이오시스템공학과로 명칭변경
4. 교직원 및 학생현황(총괄) <교직원 수>
4. 교직원 및 학생현황(총괄) <학생 수> 가. 학부
4. 교직원 및 학생현황(총괄) <학생 수> 나. 대학원 다. 외국인 학생수 [총 85명] 1) 대학 : 66명 2) 대학원 : 19명
5-1. 연구비 및 논문 발표 수 2010년도 기준 5-2. 장학혜택 2010년도 기준
6. 취업률 <대 학> 2010. 6. 1.기준
6. 취업률 <학과별> 2010. 6. 1.기준
7. 외국대학과 학술협정 체결현황 - 12개 대학 6개국(미국, 일본, 캄보디아, 베트남, 몽골)
8. 모집단위별 모집인원 <전체 입학정원>
8. 모집단위별 모집인원 <수시 입학정원>
8. 모집단위별 모집인원 <정시 입학정원>
식물생명공학부 Motor - 21세기 식물생명산업의 꿈이 자란다. 가. 교육 주요 내용 식물 생리생태 연구 유전 육종을 통한 품종의 개발, 병해충, 잡초의 침해 원인 규명 환경친화적 방제 및 식물과학 전공을 종합 농업생물학의 기본 이론 및 첨단기술 등 응용실습 겸비 나. 세부 전공 응용식물학전공 원예생명공학전공(원예학) 원예생명공학전공(농생물학)
1-1. 응용식물학전공 • 가. 교육 주요 내용 • 분자생물학적 기법을 이용한 신품종 창출(식물 육종학) • 불량환경에대한식물의적응기작구명(식물생리학) • 신기능성 식물자원의 탐색, 물질동정 및 작용 기작 구명(공예/약용식물학) • 전 육종을 통한 품종의 개발, 병해충, 잡초의 침해 원인 규명 • 식물생산의 생물적 장해요인을 최소화하여 건전한 생산생태계의 지속(환경식생관리/농업생태학) • 지구환경변화에 대한 식물의 응답 구명, 대응기술 개발(식용 작물학/재배학) • 나. 자격취득 • 종자기사, 원예종묘기사, 식물보호기사, 농산물품질관리사, 중등학교 2급 정교사 자격증(식물자원,조경) • 다. 졸업 후 진로 • 대학교수, 공무원, 농촌진흥청(국립식량과학원, 국립농업과학원, 국립원예특작과학원) • 연구사/지도사, 농업직공무원(행정 안전부, 농림 수산식품부, 지방자치단체), 농업기술원 연구사/지도사, 농산물 품질관리원 등, 공사 및 공단, 각종 연구소 연구원, 대학원 등
1-2. 원예생명공학전공(원예학전공) 가. 교육 주요 내용 ① 기초과학, 응용과학 및 첨단과학 기반의 교육과 연구 ② 채소, 화훼 및 과수의 품종육성 ③ 첨단시설원예 및 친환경적 생산시스템을 이용한 고품위 안전원예산물의 생산기술개발 ④ 미래농업의 메카인 식물공장에 관한 연구 ⑤ 원예산업을 통한 국가 및 사회발전에 기여하는 고품위 인재 육성 나. 자격취득 - 원예종묘기술사, 종자기사, 시설원예기사, 농산물품질관리사, 플라워디자인지도사, 중등학교 2급 정교사 자격증, 식물보호기사 등 다. 졸업 후 진로 - 공무원 :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농업기술원(연구직·지도직), 행정자치부, 농림부 등 - 공기업 : 농수산물유통공사, 농협, 각종 연구소 연구원 등 - 업 체 : 각종 종묘회사, 농약회사, 원예기업, 플라워 디자이너, 조경회사, 농자재 회사, 원예관련 외국회사 등
1-3. 원예생명공학전공(농생물전공) 가. 교육 주요 내용 ① 식물과 병원균의 상호관계 연구, 식물병진단과 관리 ② 식물을 가해하는 해충들의 분류, 동정 ③ 식물의 생리, 생태학, 그리고 농업해충방제와 같은 기초 이론 및 응용기술 등 교육 ④ 위 기초 이론과 분자생물학과 첨단 기법 등의 응용 기술을 가진 고급 전문인력 양성 나. 자격취득 - 식물보호기사, 종자기사중등학교 2급 정교사 자격증, 농산물품질관리사 등 다. 졸업 후 진로 - 관련 공무원 계열 - 식물검역소 식물검역관, 농산물 품질관리원, 농업지도직 및 행정직 공무원, 농업연구직 (농촌진흥청, 도기술원) - 공기업 - 농산물검사소, 국립 수목원 연구원, 각 시군 식물관련 박물관 관리원 - 업체 - 자영농약사, 친환경 자재 회사연구원, 농약회사, 종묘회사, 골프장 잔디병해충관리사, 양묘회사(원예작 물 및 유묘생산회사), 버섯재배회사, 벤처창업(생물 농약) 작물보호컨설턴트회사 등 - 연구 및 교육 - 교수, 중,고등 생물교사, 연구교수 및 연구원,
산림자원학부 Motor - 미래를 향해 자라는 나무가 세상을 바꾼다. 가. 교육 주요 내용 ① 산림자원육성 및 보전 ② 숲의 효율적 활용을 통한 생태계와 인류의 공존 도모 ③ 환경친화적 목재자원의 이용 ④ 생태건축 및 재생에너지 개발 및 활용 나. 세부 전공 ① 임학전공 ② 임산공학전공
2-1. 임학전공 가. 교육 주요 내용 ① 산림자원을 보전, 증식, 활용할 수 있는 기법연구 ② 파괴된 산림자원의 생태학적 복원 연구 ③ 산림병해충의 생물학적 방제연구 ④ 숲 해설 및 자연환경 해설을 위한 전문가 육성 ⑤ 지구온난화 대비 탄소순환의 생태 연구 및 지속 가능한 산림경영연구 나. 자격취득 - 산림기사, 생태복원기사, 임업종묘기사 다. 졸업 후 진로 - 임업직 공무원, 산림조합, 산림관련 법인체
2-1. 임산공학전공 가. 교육 주요 내용 ① 친환경 소재인 목재자원의 이용방법과 재활용에 대한 연구 ② 목재를 이용한 신소재 개발 ③ 환경친화적인 목재생태건축 설계 및 관리 ④ 악기 및 인테리어 디자인에 대한 전문인력 양성 ⑤ 목질 바이오매스를 이용한 신물질과신재생에너지 등 신기술 개발 나. 자격취득 - 임산가공기사, 품질관리기사 다. 졸업 후 진로 - 박물관, 문화재 복원 관련 연구소, 가구 및 악기 디자이너, 신재생 에너지 관련 사업체, 산림청, 산림과학원 등 관련 기술원, 임업직 공무원, 목질보드 제조회사, 가구 및 목재관련 기업체
조경학과 Motor - 자연과 긴밀한 관계를 맺자. 가. 교육 주요 내용 ① 폭넓은 환경과 경관의 문제를 포함한 인간과 환경간의 관계를 다루는 분야 ② 기초 이론과 실천(계획 및 설계)에 대한 강의와 실습 ③ 강의관련 답사 및 방학 중 조경설계사무소와 조경시공업체 현장실습 ④ 종합과학예술을 지향하는, 독창적이고 실무능력을 갖춘 조경가를 양성 ⑤ 인간에게 가치있고 의미에 찬 경관을 디자인 하는 분야 나. 자격 취득 조경기사(1급), 조경기술사, 자연생태복원기사, 자연환경관리기술사, 중등학교 2급 정교사 자격증(교직과정이수자), 조경기사 합격에 필요한 기초지식과 설계에 관한 부분을 교육 다. 졸업 후 진로 국토나 도시 혹은 지역 차원의 종합적인 계획을 담당하는 조경계획가, 정원·가로·광장·공원·주거단지·리조트 등을 설계하는 조경디자이너, 공원녹지·도시경관 등 관련 행정을 이끌어가는 공무원, 환경과 경관 관련 연구기관의 연구원, 현장에서 조경공간을 완성하는 조경 시공가, 조경이론을 연구하고 조경가를 양성하는 교수 등으로 활동
응용생물공학부 Motor - 21세기 신성장동력을 주도하는 생명공학 산업을 꿈꾼다. 가. 교육 주요 내용 ① 생명현상, 생체물질, 천연물, 생물조절 등을 화학적 측면에서 연구 ② 미생물, 동물 및 식물 유전자의 기능 및 조절 ③ 식품의 기능성 및 가공기술개발 ④ 친환경농업에 관련한 전반적인 연구 나. 세부 전공 ① 생명화학전공 ② 식품공학전공 ③ 분자생명공학전공
4-1. 생명화학전공 • 가. 교육 주요 내용 • ① 농업에 관련된 기초 및 응용화학을 다루는 학문 • ② 생명현상, 생체물질, 천연물, 환경생물생산, 생물조절 등을 화학적 입장에서 중점적으로 논의하고 연구 • ③ 생물이 갖는 특성을 이해하고 이를 인위적으로 조절하여 그 잠재능력을 농업에 응용 • ④ 생물의 생산성을 보다 유리하게 처리하여 지속 가능한 환경을 유지 • ⑤ 최종적으로, 농업 및 생물산업발전에 이바지 할 고급 인재를 양성하는 것을 교육 목표로 한다. • 나. 자격취득 • 농·화학기사, 농림 토양 평가 관리(산업)기사, 식물보호기사, 환경기사 등 • 다. 졸업 후 진로 • - 농촌진흥청 산하 각종 연구기관 • - 국/사립 연구소, 학계, 공무원(식약청, 보건환경연구원, 농업기술원) • - 식품, 제약, 농약, 토양, 비료, 사료, 화공, 화학분야의 관련회사 및 연구실 등
4-2. 식품공학전공 • 가. 교육 주요 내용 • ① 식품공학분야에서 선도적 역할을 할 수 있는 인재를 양성 • ② 생체조절의 기능을 규명하는 식품에 대한 응용과 기초 이론에 대한 교육 • ③ 천연 식품 소재의 예방 의학적 기능성에 대한 응용과 기초 이론에 대한 교육 • ④ 식품위생 향상을 위한 원천 기술 개발에 대한 교육 • ⑤ 식품생명공학에 대한 응용 및 원천 기술 개발에 대한 교육 • 나. 자격취득 • 식품기사, 위생사, 조리사, 제과제빵사, 중등학교 2급 정교사 자격증 등 • 다. 졸업 후 진로 • - 정부투자기관(한국식품개발원, 농수산유통공사), 공무원(식약청, 광주 전남보건환경연구원, 농업과학기술원) • - 식품 및 생명과학 관련회사(제일제당, 대상, 롯데), 진학 및 유학
4-2. 분자생명공학전공 • 가. 교육 주요 내용 • ① 분자생명공학전공에서는 생명현상을 분자수준에서 이해하고, 연구함으로써 첨단 과학기술 분야에 종사할 • 고급인력을 양성. • ② 분자생물학 기법을 통해 미생물, 동물 및 식물 유전자의 기능 및 조절을 DNA, RNA, 단백질 수준에서 탐구하는 학문. • ③ 유전자의 기내 조작이론 및 실험, 유전자 활성연구 및 유전자 조절 기작에 관한 이론과 기술을 습득. • 나. 자격취득 • 생명공학기사, 종자기사, 생물분류기사, 정보처리기사 등 • 다. 졸업 후 진로 • 정부출연 연구소(한국생명공학연구원, KIST, 한국화학연구원), 국.시립 연구소, 농진청 산하 각종 연구기관, 한국식품개발원 • 생명공학 관련 기업, 제약회사, 바이오벤처, 약학전문 전문대학원, 치.의학 전문대학원, 변리사 • 공무원(식약청, 광주.전남 농업직지도사, 연구사 등)
동물자원학부 Motor - 동물의 생명현상을 연구하여 사회에 이바지한다. 가. 교육 주요 내용 ① 동물기능의 분자생물학적 해석 ② 유전공학 기법을 이용한 새로운 동물 생산에 대한 교육 ③ 효율적 환경친화적 식량생산 ④ 동물환경복지 개선에 관한 전공지식의 습득 ⑤ 현장 기술적용 능력을 위한 교육 ⑥ 위생적인 사양관리를 통해 생산된 양질의 동물자원이용과 가공품 개발 ⑦ 유용 미생물의 응용 및 기위생안정성 평가 나. 자격 취득 - 축산기사, 축산산업기사, 인공수정사, 중등학교 2급 정교사 자격증 등 다. 졸업 후 진로 - 축산직 공무원, 축산연구소의 연구직, 농협중앙회(축협), 축산물품질평가원, 방역사, 제약회사, 사료 회사, 육가공회사, 유가공회사, BT연구소, 동물생명 과학분야 연구직, 유통회사, 애완 특수동물 사육 및 전업목장을 경영 등
지역 · 바이오시스템공학과 Motor - 자연과 사람의 공존 속에서 풍요로운 미래를 약속한다. 가. 교육 주요 내용 ① 공학/자연과학/인문사회학의 융합지식을 농생명산업 및 농촌공간에 적용 ② 농업·농촌의 글로벌 경쟁력과 지속가능한 발전을 추구 ③ 농촌의 통합 인프라/환경의 체계적 조성과 관리 ④ 생물자원의 생산/가공/유통 체계의 기계화와 자동화 나. 세부전공 ① 지역시스템공학 ② 생물산업기계공학
6-1. 지역시스템전공 • 가. 교육 주요 내용 • ① 농촌계획 및 자원정보공학 • ② 친환경적 농업시설물 설계 및 관리 • ③ 수자원 관리 및 농촌 비점오염원 제어 • ④ 토양오염관리 및 오염토양 복원 기술 • ⑤ 지반공학 분야의 전문기술인력의 육성 및 응용 가능한 핵심기술 개발 • 나. 자격취득 • 토목기사, 수질환경기사, 측량 및 지형공간정보기사, 지적기사, 토양환경기사, 산업안전기사, 건설안전기사, • 건설재료시험기사, 콘크리트 시험기사, 응용지질기사, 농림토양평가관리기사, 정보처리기사 등 • 다. 졸업 후 진로 • - 기술직공무원(토목직),연구직공무원(농촌진흥청,농어촌연구원), 공사(농어촌공사,수자원공사,토지공사,한국도로공사,대한지적공사),기업체(건설),교육기관(중,고등학교,대학교) 등
6-2. 생물산업기계공학전공 • 가. 교육 주요 내용 • ① 생물산업기계의 생력화 및 자동화 • ② 공장형 생물생산 시스템 구축 • ③ 농산물 부가가치 향상 • ④ 농업정보처리 • ⑤ 정밀제어 및 메카트로닉스 • 나. 자격취득 • 농업기계기사, 일반기계기사, 건설기계기사, 건설기계정비기사, 메카트로닉스기사, 자동차정비기사, 기계공정설계기사, 건설안전기사, 산업안전기사,자동차검사기사 등 • 다. 졸업 후 진로 • - 기술직공무원(기계직),연구직공무원(농촌진흥청,농어촌연구원), 공사(한국전력공사, 농어촌공사,수자원공사,토지공사,한국도로공사,대한지적공사),기업체(건설),교육기관(중,고등학교,대학교) 등
농업경제학과 Motor – 21세기 농업의 새로운 경제적 도약을 이룬다. 가. 교육 주요 내용 ① 농업과 관련된 사회현상을 경제학적으로 접근 ② 생산·교환·분배·소비와 관련된 경제문제의 본질을 파악 ③ 기초이론으로부터 현장실습과 최신 Computer 분석기법 나. 자격 취득 - 중등학교 2급 정교사 자격증(농산물유통), 농산물 품질관리사 등 다. 졸업 후 진로 농림부, 농촌진흥청, 농업기술원, 농업기술센터, 국·공영기업,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등농업관련 연구기관, 농업협동조합, 기업체, 금융계, 언론계, 대학원 진학 및 유학, 농업 컨설팅관련 업체
바이오에너지공학과 Motor – 신재생바이오에너지와저탄소 자원순환 미래는 우리가 책임진다. 가. 교육 주요 내용 ① 신재생에너지 기초기술을 이해 ② 바이오에너지 및 관련분야 산업현장에서 요구하는 전반적인 기술 습득 ③ 식물의 바이오매스를 활용하여 생물공학적 방법에 의한 연료 실용화 ④ 셀룰로오스 공급원의 생명공학, 생물정보학적 기술 이용 ⑤ 바이오연료 발효생산공정의 최적화에 관한 연구 나. 자격 취득 - 환경기사, 화학분석기사, 산업기사, 대기오염기사, 생물분류기사, 생물공학기사, 종자기사, 원예종묘기사, 정보처리기사, 중등학교 2급 정교사 자격증 등 다. 졸업 후 진로 바이오연료 및 생물공학관련 산업체, 농업생명공학연구원, 농촌진흥청, 생명공학연구원 연구원, 국가 및 지방농업직 공무원, 농촌진흥청 연구사 및 지도사, 국립식물검역소 연구사, 국가 및 지방농업직, 농촌공사 등의 공무원, 생명공학관련 벤처기업, 의·치의학전문대학원 진학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