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8

이현보 ‘ 어부가 ’

이현보 ‘ 어부가 ’. 5 연 북궐을 잊지 못함 제세현을 갈망함. 2 연 . 4 연 자연 속에서 욕심 없이 한가롭게 사는 삶. 갈등. 갈래복합. - 성격 : 강호가도 ( 江湖歌道 ) - 제재 : 강호의 삶 주제 : 자연을 벗하는 풍류적인 생활 또는 그러한 생활과 세속 현실 사이의 갈등. 박인로 ‘ 선상탄 ’. 전쟁을 일으키는 수단. 2. 침략자를 만든 원인. 갈래복합. 3. 풍류와 흥취의 수단. 갈래 : 전쟁가사 성격 : 우국적 ( 憂國的 )

lucita
Download Presentation

이현보 ‘ 어부가 ’

An Image/Link below is provided (as is) to download presentation Download Policy: Content on the Website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and may not be sold / licensed / shared on other websites without getting consent from its author. Content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only. Download presentation by click this link. While downloading, if for some reason you are not able to download a presentation, the publisher may have deleted the file from their server. During download, if you can't get a presentation, the file might be deleted by the publisher.

E N D

Presentation Transcript


  1. 이현보 ‘어부가’ 5연 북궐을 잊지 못함 제세현을 갈망함 2연. 4연 자연 속에서 욕심 없이 한가롭게 사는 삶 갈등 갈래복합 • - 성격 : 강호가도(江湖歌道) • - 제재 : 강호의 삶 • 주제 : 자연을 벗하는 풍류적인 생활 또는 그러한 생활과 세속 현실 사이의 갈등

  2. 박인로‘선상탄’ 전쟁을일으키는수단 2. 침략자를 만든 원인 갈래복합 3. 풍류와 흥취의 수단 갈래: 전쟁가사 성격: 우국적(憂國的) 형식: 3․4조, 4음보 연속체 주제: 전쟁에 대한 혐오와 태평성대에 대한 희구 의의: 임진왜란의 체험이 반영된 전쟁가사의 대표작 특징: 1. 생경한 한문투의 문장 사용, 관용구 남용 2. 왜적에 대한 경계심(적개심) 표출

  3. 김용준 ‘조어삼매’ 갈래복합

  4. 김용준 ‘조어삼매’ ■ 특징 ▪ 낚시장면을 실감나게 묘사 ▪ 낚시경험  세상사와 연결 ▪ 대조적 이미지의 소재 활용 주제 암시 ▪ 분노와 한탄이 담긴 직설적 목소리 ■ 주제: 혼탁하고 불의한 시대를 살아가는 지식인의 고통

  5. 신영복 ‘이웃의 체온’ • 1976.2.11. 옥중 서신. • 1968~1988.통혁당 사건 수감.“감옥으로부터의 사색” • 주제 : 옥중에서 얻게 된 깨달음 옥중에서 사고의 벽을 헐고자 하는 노력 2. 추위 속에서 더욱 절실하게 느끼는 동료의 정 3. 계수와 시숙의 관계에 대한 나의 생각

  6. 김진형‘북천가’ • 1853.7.철종때. 함경도 명천. 장편 유배가사. • 주제 : 유배지에서 느끼는 가족에 대한 그리움 유배가게 된 내력 2. 유배지까지의 여정 3. 유배지 수령의 융슝한 대접. 유생들과의 교유 4. 고향에 두고 온 가족들에 대한 그리움 5. 칠봉산(七峯山)구경 및 기생 군산월과의 사랑 • 작자가 홍문관교리로 있을 때 이조판서 서기순(徐箕淳)의 비행을 논척(論斥)하다가 반대파에 몰려 함경도 명천으로 유배됨 • 의의와 평가: 유배에 수반된 슬픔과 즐거움, 인정과 사랑을 보여주고 있어 옛날 귀양살이의 한 면모를 상세히 알 수 있는 작품

  7. 이정환 ‘비가’ • 제1수 : 꿈속에서 본 세자에 대한 그리움 • 제2수 : 소해용안에 대한 그리움 • 제3수 : 고심 많은 임금님에 대한 걱정 • 제4수 : 자신의 처지에 대한 안타까움 • 인조때. 전10수. 연시조. 비탄적. 직서적. • 주제 : 국치에 대한 비분강개. 볼모가 된 두 왕자에 대한 염려

  8. 0602.pptx로 가기

More Rel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