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 likes | 246 Views
a rray 배열. 0x00. 0x04. 0x08. 0x0B. array. array[0]. 0x00. 0x00. 0x0F. 0x0F. 0x0F. array[1]. array +1. array, array[0], array+1, array[1] 은 상수 *(array + 1) = arry [1] *( arry [1]) = array[1][0]. 문자열을 역순으로 화면에 출력하고 이어서 ‘<br>’ 를 출력한다. 1. 문자열을 전체길이를 알아야 함
E N D
array배열 0x00 0x04 0x08 0x0B array array[0] 0x00 0x00 0x0F 0x0F 0x0F array[1] array +1 array, array[0], array+1, array[1]은 상수 *(array + 1) = arry[1] *(arry[1]) = array[1][0]
문자열을 역순으로 화면에 출력하고 이어서 ‘\n’를 출력한다 1. 문자열을 전체길이를 알아야 함 2. 문자열에 대한 주소를 포인터 변수에 저장하고 주소를 이용하여 ‘\0’인 부분까지 이동 3. ‘\0’바로 앞의 문자부터 거꾸로 순서대로 화면 출력 4. 역순으로 전체 길이만큼 화면에 문자열의 내용을 출력 5. 역순으로 문자열의 처음 문자까지 다 화면에 출력한 후 ‘\n’을 화면에 출력한다 1번을 위해서 while문을 통해서 ‘\0’나올 때까지의 길이를 구함 3번의 내용을 위해서 재귀함수를 이용 4번에서 화면에 출력할 때마다 출력한 숫자를 세고 있음 5번에서 출력한 숫자가 문자열의 전체길이와 같게 되면 ‘\n’을 화면에 출력 전체길이 구하기 ‘\0’나올 때까지 이동 배열 화면 출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