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0 likes | 294 Views
환경교육 방향. 환경교육 방향. 발제 6. 기업이 바라는 물환경 기술 인재상. 2010 J-Champion Training Program (UAE). Global Business Work Shadowing. 미래 물환경산업 선도를 위한. 미래 물환경산업 선도를 위한. 2014. 05. 28. October 29, 2010 Namchon Leadership Center Seoul, Korea. 발표자 : 정화원 상무. 발표에 앞서 ….
E N D
환경교육 방향 환경교육 방향 발제6. 기업이 바라는 물환경 기술 인재상 2010 J-Champion Training Program (UAE) Global Business Work Shadowing 미래 물환경산업 선도를 위한 미래 물환경산업 선도를 위한 2014. 05. 28 October 29, 2010 Namchon Leadership Center Seoul, Korea 발표자 : 정화원 상무
발표에 앞서… • . 과거 물 산업은 공공성 측면이 강조되었으나 최근 “비즈니스”로의 인식 전환에 따라 21세기 핵심 산업 군으로 자리매김 하고 있음 • . 또한, 물이 공공재에서 소비재로 전환됨에 따라 서비스 개념의 산업모델이 등장하는 등 물 시장 규모도 빠르게 성장하고 있음 • . 이에, 미래 물 환경산업 선도를 위해서는 국내외 시장에 대한 분석과 선진사례를 검토하고 올바른 물 환경교육방향을 정립하여 • . 시장과 기업의 Needs에 부합하는 전문인력을 양성하는데 기여하고자 본 발표내용을 구성하였음
CONTENTS Ⅰ 물 산업 시장 현황 - 국내 / 해외 시장 현황 Ⅱ 해외 선진 사례 - 국가 / 기업 사례 Ⅲ 해외 물 산업 추진 애로사항 Ⅳ 해외 물 환경 기술 인력 육성 방안 Ⅴ 기업에서 바라본 해외 물 환경사업 진출을 위한 교육방향
Ⅰ. 물 산업 시장 현황 1. 국내 시장 현황 국내 상하수도 사업실적 추이 3.0조원 : 민간투자사업 2.6조 : 민간기업사업 2.5조원 : 공공사업 2.0조원 상하수도 사업 평균 실적 1.4조원 (’90~’12) 1.5조원 1.0조원 0.9조 0.5조원 [자료출처 : 통계청] ’90 ’00 ’06 ’08 ’10 ’12 시사점 • 국내 상하수도 사업실적은 ’06년 2.6조원을 정점으로 매년 급 감소 • 상하수도 보급률*이 선진국 수준으로 신규시설 확충 제한적 * 하수도 보급률 : 91.6%, 상수도 보급율 : 98.1% (’12년末 기준, 환경부 자료) 1 / 10
Ⅰ. 물 산업 시장 현황 2. 해외 시장 현황 세계 물 산업 시장 규모 미래 물환경 시장 Trend 전체 시장 • 물 산업 사업방식의 변화 - BOT 등 투자방식의 사업증가 (13년 18% → 18년 23%) CAGR 4.2% 667조원 611조원 570조원 550조원 ’12 ’13 ’15 ’17 • 부품 및 소재시장의 성장률 높음 - 파이프, 펌프, 밸브 및 분리막등 기타 144조원 상하수 EPC 109조원 하수 O&M 상하수도 운영이 물 산업시장의 55% 점유 (참여가능 시장 35조원) 125조원 • 선진국의 경우 민영화를 통해 노후화된 시설 개선 및 투자 • 후진국의 경제성장으로 인한 물 산업 시장 확대 상수 O&M 192조원 570조원 [자료출처 : Global Water Intelligence] 2 / 10
Ⅱ. 해외 선진 사례 1. 국가 [싱가포르] 싱가포르의 물 산업 육성 성장 배경 육성 결과 성장 과정 • 물 산업 경쟁력 지수 세계 2위 - 핵심기술, 투자/연구, 성장잠재력 진단결과 • 대표적 물 부족 국가 - 물 자급률 60% - 末聯과 물 공급 계약 (1961~2061, 100년) • ’06년부터 정부정책 지원 본격화 • 자국 기업을 세계 유수 의 물 기업으로육성 - Sembcorp Industries - Hyflux 등 • 물 자급률을 높이기 위 한 과정에서 물 산업 성장 계기 • 물 산업 허브 구축 - 글로벌 기업(GE, 지멘스 등) 유치 3 / 10
Ⅱ. 해외 선진 사례 2. 기업 [Veolia] Veolia 성장 History 경영전략 - 시장 Needs에 부합하는 단순운영 ~ 환경통합 Solution제공 - EPCM, 기자재 등 토탈 서비스 제공 • 설립 및 기반구축 - 자국 상수도 Concession 위주 - 인근 국가 자회사 설립 현재 19C 20C 中 • 기술 축적 및 경쟁력 강화 - 자국 시장 성장 집중 20C 末 • 사업다각화 및 수직 통합 - 폐기물사업체 인수·합병 • 자국·유럽(86%)중심으로 각 지역 별 Target국가 위주 사업확대 • 지역 거점 별 교육센터 건립 (11개 국가 20센터, 교육 Program 총 2,581개 운영 중) • 기업 독립 및 구조조정 - 4대 사업부문 CI 통합(Veolia) - 수처리 사업 집중 21C 初 시사점 4 / 10
Ⅲ. 해외 물 산업 추진 애로사항 사업모델의 복잡성 해외 물 시장 진출을위한 전문 기술자의 ”다양한 분야에 대한 역량” 필요 5 / 10
Ⅲ. 해외 물 산업 추진 애로사항 기술, 인력, 실적 부족 미래 물환경 사업 추진방안 • 신소재 막 등의 물 산업 원천기술과 지능형 운영관리기술 미흡 - 유럽업체 대비 고부가 가치 분야 경쟁력 부족 기술적 측면 정부의 역할 - 해외 물 전문기업 육성 필요 (내수시장 기반 전제) • 건설중심의 편중된 해외사업 수행 • - 수익 중심의 핵심소재, 운영관리서비스 • 사업 진출을 위한 전문 인력/기업 부족 전문인력 측면 기업의 역할 - 중기적 측면의 물 산업 투자 (R&D강화, 전문인력 양성) • 해외 진출을 위한 Track Record 부족 • - 국내 상수도 관련실적이 공기업및 • 지자체에 편중 • → 민간기업의 단독사업참여 기회축소 실적 측면 학계의 역할 - 기술중심의 교육에서 기술+시공+ 운영 등 실무중심의 교육전환 6 / 10
Ⅳ. 해외 물 환경 기술 인력 육성 방안 물 산업 육성정책(인력 육성 위주)의 고찰 • 물산업 육성방향(’06.02) - 신기술 현장 적용 지원 - 핵심기술 고도화 및 우수인력 양성 (기술교육·훈련의 내실화) 검토 결과 및 기본 육성 방안 1. 물 산업 전문인력 육성에 대한 좋은 방안들이 많이 연구되어 도출 되었음 • 물산업 육성을 위한 장기기술개발 및 인력양성방안 연구(’08.10) - 물산업 전문교육 프로그램 운영방안 - 물산업 인력육성장기종합계획 수립 2. 관련 제도 개선 등 미진한 정책적 지원을 보완하여, Global 시장진출 을 위한 물 환경 인력양성교육 필요 • 물산업 해외진출 실무 가이드북 제작마련 연구(’10.12) - 물산업 해외진출 자금조달 방안 - 해외진출 지원 프로그램 7 / 10
Ⅴ. 기업에서 바라본 해외 물 환경사업 진출을 위한 교육방향 산학연계프로그램 운영 방안 해외 물 산업을 위한 마스터플랜용역 수행 시 산학공동추진 Consortium을 구성 하여 추진 MP수립용역 FS수행 MOU체결 추 진 구 도 (例) 산학공동수행(공동추진협약체결) 해외국가 산업체 투자 • 인턴쉽 채용 • 지역 전문 인력 양성 • 조사 용역 • 파견 인력 • 중동 및 아프리카 • 중남미 • 아시아 등 대학교 8 / 10
Ⅴ. 기업에서 바라본 해외 물 환경사업 진출을 위한 교육방향 실무 및 수요중심의 물 환경 교육 물 환경 인력육성 현주소 개선 방향 • 인력 수급의 불균형 - 환경관련 학과 보유 대학 다수이지만 기업이 원하는 수준의 인력은 소수 - 분야별 기술자의 환경시설 참여기피 공법, 기술 등의 이론교육과 기업에서 요구하는 운영기술, Financing을 접목한 멀티플레이어 양성을 위한 커리큘럼 도입 • 편중된 건설 중심의 인력 양성 - 설계~시공 중심의 인력 배출 - 기업도 시운전, 유지보수 수준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인력 보유 향후 수처리관련 핵심기술에 대한 효율적인 장기 운영 전문가 양성 필요 9 / 10
Ⅴ. 기업에서 바라본 해외 물 환경사업 진출을 위한 교육방향 물 산업 전문교육센터 설립 및 운영 물 산업 육성기금을 조성(신설 또는 기존기금 할애)하여 전문교육센터를 설립함으로써 공공기관위주의 물 산업교육 다양화 필요 설립 및 운영기금 지원 ★ 시설운영주체에 수준 높은 노하우 이전 위탁 교육 물 산업 전문교육센터 기업, 지자체 대학 기대 효과 ★ 물 환경사업 선진기술 수출 대학원 과정 개설 (학점인정) 수료자 채용 ★ 연구보고서 발행 등 환경 기술 경쟁력 제고 • 전문인력양성 프로그램 운영 • - 국제교류, 학술 대회 개최 등 10 / 10
참고. GS건설 해외 물 사업 추진현황 SPAIN USA • Taunton River Desalination Plant • Hialeah BWRO SPAIN • Metrofang Thermal Drying of Sludge • Bioreciclaje de Cadiz • Cadiz-San Fernando WWTP • Carboneras SWRO • Poniente Almeriense WWTP SPAIN • Granollers WWTP • Granollers ThermalDrying of Sludge • CRISPIJANA Vitoria-Gasteiz WWTP • Zona Rioja Baja / Alhama WWTP • Tarazona WWTP • Illescas WWTP • Jucar WWTP • Valmojado WWTP • Vallbona d’Anoia WWTP • Oropesa-Cananes WWTP • Alacanti Nort WWTP • Cadiz-San Fernando WWTP • Alicante II SWTP MEXICO • Los Cabos SWRO • Ensenada SWRO Kuwait Korea • Az Zour North WSP • KOC Soil Remediation BRAZIL • 28 Projects • Ribeirao Preto WWTP Caicara WWTP • Campos do Jordao WWTP • San Jose Dos Campos WWTP • Mogi Mirim WWTP • Sertãozinho Bahrain • BAPCO WWTP ALGERIA CHILE • IDAM MOSTAGANEM SWRO • IDAM CAP DJINET SWRO • Arica SWTP 범례 : • Lagares-Vigo WWTP • Alacanti Norte WWTP • Algeciras WWTP • Aznalcollar WWTP • Cebolla WWTP • El Franco WWTP • Lezuza WWTP • Llanura Manchega Potabilization Plant • Moncofa SWRO • Ponte da Baia WWTP • Torralba WWTP • Torrox WWTP CONCESSION EPC 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