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0 likes | 402 Views
생명의 숲 운동 기본 사명 및 목적. Ⅰ. 생명의 숲 운동 경과와 성과 (1998~2005). Ⅱ. 생명의 숲 비전 2020. Ⅲ. 목 차. Ⅰ. 생명의 숲 운동 기본사명 및 목적. IMF 실업인원의 활용 가능성. 정부 차원의 관심 적극적 유도 필요성. 환경적 기능의 강화 필요성 대두. 간벌 등 육림 활동을 통한 미래의 숲 (3 배 큰 ) 가꾸기 필요성. 우리나라 숲은 30 년 미만의 어린나무. 간벌사업 인력부족. 정부차원 예산 부족.
E N D
생명의 숲 운동 기본 사명 및 목적 Ⅰ 생명의 숲 운동 경과와 성과 (1998~2005) Ⅱ 생명의 숲 비전 2020 Ⅲ 목 차
Ⅰ . 생명의 숲 운동 기본사명 및 목적
IMF 실업인원의 활용 가능성 정부 차원의 관심 적극적 유도 필요성 환경적 기능의 강화 필요성 대두 간벌 등 육림 활동을 통한 미래의 숲(3배 큰) 가꾸기 필요성 우리나라 숲은 30년 미만의 어린나무 간벌사업 인력부족 정부차원 예산 부족 Ⅰ.생명의 숲 운동 기본사명 및 목적
산림자원 및 수자원 조성과 국토, 환경보전 기여 고용 및 자원봉사 창출, 국민적 역량결집 자연 조화, 생명 존중 문화 구현 Ⅰ.생명의 숲 운동 기본사명 및 목적 기본 사명 및 목적
Ⅱ . 생명의 숲 운동 경과와 성과 (1998~2005)
숲을 통한 일자리 창출 숲가꾸기 운동 • 숲가꾸기 사업 모니터링 및 정책제안 • 지속가능한 산림 관리 ·모델숲 운동 • 숲체험 교육 프로그램 / 숲해설가 양성 • 아름다운 숲 전국대회 • 숲과 문화의 만남 : 숲속예술제, 생명의 숲과 삶 • 자연을 사랑하는 문학의 집서울 • 학교숲 운동 / 도시 마을숲 운동 도시숲 운동 • 서울그린트러스트 운동 + 서울숲 • 생활권 숲길 가꾸기 • 생태산촌만들기 운동 농산촌 보전운동 • 전통 마을숲 복원 운동 Ⅱ.생명의 숲 운동 경과와 성과 (1998~2005) 주요 운동 현황 (1998~2005) 숲 문화 운동
숲 가꾸기 공공근로사업 실행 (1998 ~ 2002) • - 임목 축적률 향상 : 56㎥/ha → 70㎥/ha • - 연인원 1,550만명 일자리 창출 숲 가꾸기 사업 활성화 숲가꾸기 사업의 정부정책사업화 (2003년~ ) • 숲 가꾸기 사업 모니터링 및 정책제안 (1998 ~ 2002) • - 숲 가꾸기 설계 감리제 도입 • - 시군산림계획 제도 도입 산림사업 관련 제도개선 산림법 개정 (2005년 8월) - 지속가능한 산림경영, 국민참여의 숲 개념 도입 녹색복권 발행(1998) : 숲 조성 및 보전 기금 확충 Ⅱ.생명의 숲 운동 경과와 성과 (1998~2005) 숲 가꾸기 운동의 성과
숲체험 프로그램의 확산과 다양화 • 환경교육 프로그램의 보편적 주제 • 숲 해설가 양성과정 활성화 우리 숲의 아름다움에 대한 인식 제고 • 전국 104곳의 아름다운 숲 선정 및 홍보 • 아름다운 숲 기행 문화 확산 및 활성화 • 숲속예술제, 숲과 문화의 만남 활성화 • 산림문학관 개관 : 숲과 문학의 일상적 만남의 장 • <산림치유포럼> 창립 숲의 문화·휴양적 가치 확산 <산림문화휴양에관한법률> 제정 (2005년 8월) Ⅱ.생명의 숲 운동 경과와 성과 (1998~2005) 숲과 문화 운동의 성과
학교숲 운동의 확산 • 480여개 시범학교와 함께 학교숲 운동 전개 • 정부, 지자체로 급격히 확산 • - 전국 2,000여개 학교에 숲 조성 (1999 ~ 2005) 도시숲 운동의 확산 • 주민참여형 도시숲 조성 및 관리 모델 확산 • 도시 비오톱 조성 운동 활성화 숲운동 재단의 창립 • 서울그린트러스트 창립 (2003) : 서울숲 조성 및 관리 • 한국녹색문화재단 창립 (2003) • 경기녹지재단 창립 (2005) 생활권 숲길 복원 활성화 • 전국 43개 숲길 자연친화적 복원 (2003 ~ 2005) • 자연친화적 산행 모델 제시 Ⅱ.생명의 숲 운동 경과와 성과 (1998~2005) 도시 숲 운동의 성과
농산촌 개발사업의친환경 모델 제시 • 양평군 명달리 생태산촌 만들기 모델 조성 • 생태주택대중화 운동 전개 전통 마을숲 복원 운동 • 전국 20개 전통 마을숲 복원 (2004 ~ 2005) • 전통 마을 문화 행사 지원 농산촌 살리기를통한 일자리 창출 • 농산촌 살리기를 통한 사회적 일자리 모델개발 및 • 정책 제안 (2005) • 사람순환형 사회의 비전 제시 Ⅱ.생명의 숲 운동 경과와 성과 (1998~2005) 농산촌 보전 운동의 성과
Ⅲ . 생명의 숲 비전 2020
자연과 하나되는 풍요로운 농산촌 만들기 생태적으로 지속가능한 자원·사람순환형 사회 만들기 함께 돌보고 가꾸어 가는 녹색 도시 공동체 만들기 Ⅲ.생명의 숲 비전2020
생명의 숲 비전2020 실현을 위한 주요 과제 현장 운동과 함께하는 정책 운동 시민참여형 도시숲 조성 및 관리 자원순환형 사회 구축 사람순환형 사회 구축
지속가능한 산림관리를 위한 정책운동 • 지구온난화 방지를 위한 정책운동 • 전통 마을숲 복원 • 국토도시 숲길 체계 수립 운동 • 생명의 숲 연구소 설립 Ⅲ.생명의 숲 비전2020 –주요 과제 현장 운동과 함께하는 정책 운동
학교숲 운동의 도시 공동체 운동으로의 질적 도약 추진 • 난지숲, 용산숲 등 도시숲 및 그린웨이 확산 • 시민참여형 도시숲 모델 조성 및 확산운동 • 도시숲을 통한 사회적 일자리 창출 • 돌봄과 가꿈형 숲체험 프로그램 개발 및 보급 • 숲의 문화적 가치 증대를 위한 문화운동 활성화 Ⅲ.생명의 숲 비전2020 –주요 과제 녹색도시 공동체 조성
생태산촌만들기 활성화와 네트워크 구축 • 농산촌 보전을 위한 농산촌 트러스트 운동 전개 (자연유산+문화유산) • 전통 마을숲 DB 구축 및 복원 활동 활성화 • 마을자원조사를 통한 농산촌 가치 혁신 운동 전개 • 도농 순환상생 모델 개발 및 확산 • 청년중년을 위한 사회적 일자리 창출 Ⅲ.생명의 숲 비전2020 –주요 과제 농산촌 환경보전 및 활성화 운동
전국 생명의숲 단체간 협력 강화 • 숲운동 네트워크 강화 • 지역 풀뿌리 단체들과의 협력 활동 강화 • 숲운동재단 확충 • 학교숲도시숲 모델의 국제적 교류 • UN EPLC를 통한 국제사회와의 교류 및 연대 강화 Ⅲ.생명의 숲 비전2020 –주요 과제 숲 운동 네트워크 및 국제연대활동 강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