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0 likes | 769 Views
병원 감염균과 오염균. 이승화. 병원 감염 ( nosocomial infaction ). 입원 당시에 없었던 혹은 잠복하고 있지 않았던 감염이 입원 기간 중 발생한 것 - 내인성 감염 : 환자 자신의 구강 , 장 등에 정착하고 있는 세균에 의해서 유발되는 감염 ( 환자 자신의 감염에 대한 저항력이 저하되었기 때문에 발생 ) - 외인성 감염 : 외부에서 균이 들어와서 생기는 감염 ( 의료진의 손 등 ). 질환에 따른 감염균. 요로감염균 :
E N D
병원 감염균과 오염균 이승화
병원 감염(nosocomialinfaction) • 입원 당시에 없었던 혹은 잠복하고 있지 않았던 감염이 입원 기간 중 발생한 것 - 내인성 감염: 환자 자신의 구강, 장 등에 정착하고 있는 세균에 의해서 유발되는 감염(환자 자신의 감염에 대한 저항력이 저하되었기 때문에 발생) - 외인성 감염: 외부에서 균이 들어와서 생기는 감염(의료진의 손 등)
질환에 따른 감염균 • 요로감염균: S. marcesens, P. aerusinosa, Proteus spp • 균혈증 감염균 : S. epidermidis, S. aureus, Candida spp, • 화상환자 감염균: P. aerusinosa • 수술부위 감염균: S. epidermidis, S. aureus, P. aerusinosa Bacteroidisespp
Gram (+) cocci Staphylococcus 1. S. aureus: -병원감염을 일으키는 주요 세균 -MRSA( methicillin-resistant S. aureus):집단 감염이 일어나면 MRSA 보균자를 색출 -S. aureus는 콧속에 서식(nasal swab이 가장 좋다) S. aureus 2. S.Saprophyticus: 방광염의 원인
Gram (+) cocci Enterococcus • 장구균으로 요로감염, 아급성 세균성 심내막염, 폐혈증을 일으킨다. • 최근 VRE (vancomycin-resistant enterococcus) 환자의 증가로 병원 감염의 관리대상이 되고 있다. • VRE 보균자를 색출하려면 대변 또는 직장도말을 채취한다.
Gram (-) rod 장내세균 Escherichia. coil • 장관내 정상으로 존재 • 비뇨기감염증을 일으키거나 또는 독소를 생성하는 균주들은위장관염을 일으킨다. • MacConkey agar 에서 발육시 lactose를 분해 하여 pink색의 colony로 자람
Gram (-) rod 장내세균 Klebsiella-Enterobacter-Serratia group • 장관 내 또는 호흡기에 정상적으로 존재하며, 요로감염이나 폐렴의 원인이된다 • 이균종들은ESBL(extended-spectrum β-lactamase)를 생성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선별 검사가 필요하다.
포도당비발효Gram(-) rod Pseudomonas. aerusinosa • 청록색의 색소를 분비하며 포도냄새가 난다 • 항균제에 대한 내성률이 높기 때문에 감염관리를철저히해야한다. • 화상환자의 20%가 이 균에 감염 • 이균에 의한 패혈증의 경우 사망률이 80%이므로 주의를 요한다.
포도당비발효Gram(-) rod Acinetobacter • 자연계와 병원환경에 흔히 존재하여 포도당 비발효세균중두번째로 자주 분리되는 균 • 다양한 병원감염을 일으키며, 주로 중환자실 환자중에서 인공호흡기 관련 폐렴의 주요 원인균이다.
환경 배양 검사 • 특정한 인과관계를 증명하거나 배양하고자 하는 미생물이 있을시 시행 • 배양 결과의 해석이 어렵다 병원감염과 연관된 감염원을 오인할 수 있다. • 병원감염은 숙주, 병원체, 환경 세가지의 상호작용에 의한다.
근무시간 외 공기중오염균 미생물 검사실 내부 미생물 검사실 외부
근무시간내공기중오염균 미생물 검사실 내부 미생물 검사실 외부
의료진의 손에 있는 미생물 장갑을 벗고 비누로 손 세척 후(30초 이하)
의료진의 손에 있는 미생물 비누로 손 세척 후(30초 이상) 손 세정제로 세척 후
구체적 관리방법 1. 검사실 환경 -동선이 짧고 불필요한 이동이 없게 설계 -항상 청결 유지 -검사실 출입문에는 생물학적 위험(biohazard waring)표시 -미생물실의 공기는 재순환시키지 않는다 2. 작업태도 -검사실에 들어오기 전과 나가기 전, 검체취급후 손을 씻는다 -장갑, 가운, 마스크, 보안경을 착용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