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00 likes | 1.36k Views
건강도시 진주 행정지도자 리더쉽과정 종합. 종합정리. 1. 선서 “ 나는 ‘ 나부터 시작하는 참 건강도시 진주 ’ 를 위해 나의 능력과 리더쉽 을 키워나가겠습니다 !” 나는 나의 업무를 통해 참 건강도시 진주만들기 에 계속적으로 참여 참석하겠습니다 ! 2. 과정 - 리더쉽 과정 Ⅰ( 섬기는 행정 과 건강도시 ) 리더쉽 과정 Ⅱ( 건강한 도시계획 과 건강도시 ) 리더쉽 과정 Ⅲ( 건강도시 행정사례 와 방향 )
E N D
종합정리 1.선서 • “나는 ‘나부터 시작하는 참 건강도시 진주’를 위해 나의 능력과 리더쉽을 키워나가겠습니다!” • 나는 나의 업무를 통해 참 건강도시 진주만들기에 계속적으로 참여 참석하겠습니다! 2. 과정-리더쉽 과정Ⅰ(섬기는 행정과 건강도시) 리더쉽 과정Ⅱ(건강한 도시계획과 건강도시) 리더쉽 과정Ⅲ(건강도시 행정사례와 방향) 3. 교수진: 고려대 행정학 조무성교수, 경상대 도시공학 김영교수, 남서울대 보건행정학 이주열 교수, 원주시청
랄론드 보고서 오타와 헌장 자료 : 건강도시포럼. 보건복지부장관 정책건의서. 2006
성홍열 홍역 페니실린 백신 장티푸스 결핵 아이나 클로람페니콜
허혈성심잘질환의 진행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 사회적요인 환경적 요인 생활양식요인 생물학적 요인 건강을 결정하는 다양한 요인 계층 영양 불균형 • 주거 • 환경(사회적, • 심리적,물리적) • 보건의료 서비스 • 접근성 • 여가시설의 • 접근성 허 혈 성 심 장 질 환 콜레스테롤 성 흡연 혈 압 연령 신체활동 부족 비 만 민족 스트레스
건강하려면? 병원체 유해물 사고 스트 레스 • 아픈 사람 치료(보건의료)만 잘 하면 되는 줄 알았으나 • 1970년대 이후 질병과 사망에는 생활습관, 환경, 보건의료, 유전이 중요함을 알게 됨 • 최근엔 다양한 사회적 요인가 건강을 결정한다는 것을 알게됨 보건의료 외부 환경 유전 발병 생활습관 식생활 운동 흡연 음주 휴식
건강의 결정요소 • 사회적, 경제적, 물리적 환경:소득과 분포, 사회적 지위, 사회적 지원망, 교육수준, 취업과 작업조건, 물리적 환경 • 어릴적 성장 발달, 유전조건 • 개인건강실천, 개인역량과 대처기술 • 건강서비스,사회서비스 • 사회적 환경 • 성별 • 문화
Tobak 사회경제적, 문화적, 환경적 조건 생활 및 근로조건 사회 네트웤 개인 생활양식 성, 연령, 유전적요인 포괄적인 접근 부분간 협조 Networking 강조
우리의 보다 건강한 국가(UK) 국가의 건강(UK) 건강증진과 신공중보건의 역사적 변화과정 2000 건강계획21 1974 라론데 보고서 (건강생활실천) 건강21 (WHO유럽지구 1986 1978 오타와 헌장 알마-아타 선언 건강도시 프로젝트 건강도시 네트웍의 확장 1979 1990 2000 건강한 사람들: 사무총장보고서(USA) Healthy people 2000 (USA) Healthy People 2010 (USA)
오타와 헌장건강도시 • 어떻게 해야 건강해 지는가?건강성과위한 건강결정요소 관리필요신공중보건전략(오타와 헌장), 보건의료의 재방향설정 • 건강증진의 개념과 전략을 실행하기 위해 건강도시,건강마을, 건강지자체, 건강섬프로젝트, 건강증진학교, 건강증진병원,건강한 시장, 건강증진직장 사업, 알코올과 담배, 활동적 생활과 건강한 노령화에 대한 WHO전략
건강증진,건강도시의 배경 • 제1차 건강증진에 대한 국제회의에서 만인건강(HFA) 달성 위한 활동으로 제시 • 신공중보건운동에 대한 대응이자 일차보건의료선언의연장선상 • 1. 보건교육: 널리 퍼져가는 보건문제 인식과 예방방법2. 적절한 식생활 및 영양개선3. 안전한 식수공급, 기본적 환경위생및 적당한 주거생활4. 모자보건 사업(가족계획 포함)5. 예방접종관리6. 지방풍토병 예방 및 관리 7. 질병의 조기 진료8. 필수 의약품 공급9. 심신장애자의 사회의학적 의료 • 건강위한 분야간 협력활동 논의반영
건강증진의 3가지 기본전략 • 옹호:정치,경제,사회,문화,환경, 행태 및 생물학적 요인과 조건이 건강에 유리하게호소, 청원, 간구하여 정치적 지원, 사회적 수용, 건강지원적 체계 얻도록 하는 활동 • 능력부여: 모든 사람이 형평성있게 완전한 건강잠재력 달성하도록:지원적 환경, 정보접근, 생활기술과 건강한 선택위한 기회 • 중재:행정부서간, 건강 및 사회경제분야간,NGO와 자원단체, 기역기관, 대중매체간
건강증진의 5가지 활동영역 • 건강한 공공정책의 수립 • 지원적 환경의 창출 • 지역사회 활동의 강화 • 개인적 기술의 개발 • 건강서비스재방향설정
Hygeia, City of Health (이상적 건강도시 하이제이아) Population of 100,000 , five houses per acre No buildings above 60 feet (20m), roads are lined with trees Railways run beneath highways, parks and gardens everywhere Houses are light and airy, smoke-free and have roof gardens Nobody smokes or drinks General hospitals (health centers) for the ill Group homes for orphans, the insane, the helpless, and the aged 인구 10만 명으로 1 에이커 당 5개의 주택이 있으며, 60 피트(약 20m)이상의 높은 건물은 없고(저밀도) 철도는 주요 고속도로와 같은 경로로 지하에서 운행되며(쾌적한 교통), 도로마다 가로수가, 도시 곳곳에 공원과 정원이 있으며(녹지,공원), 주택은 채광이 좋고 통풍이 잘 되며, 옥상에는 정원이 있으며(채광,통풍), 하이제이아 주민은 아무도 담배를 피거나 술을 마시지 않으며(건강생활), 보건소 정도의 작은 병원에서 환자를 돌보고(인간적인 의료환경), 고아나 정신질환자, 저소득층이나 노인들에게는 그룹 홈(group home)이라 불리는 지역사회를 기반으로 하는 주거시설을 제공하는 도시(사회복지) (19C 목가적 사회 상정) ※ Origin of Healthy Cities 건강도시의 기원 ※1844: 건강도시연맹 결성 (에드윈 차드윅의 보고에 대한 대책) Sir Benjamin Ward Richardson (1875) 21
건강도시의 정의 • 세계보건기구(WHO)에서는 건강도시를 다음과 같이 정의하고 있습니다.
건강증진을 위한 다짐 • 모든 분야에서 건강과 형평을 옹호하여 건강한 정책을만들어 나가겠습니다. • 건강에 해로운 상품과 여건과 환경, 자원고갈에 반대하고 다수의 건강 위하겠습니다 • 건강 불평등 초래하는 규칙과 관행 줄이겠습니다 • 사람이 건강자원이며 지역사회를 존중하겠습니다 • 건강증진을 위해 서비스와 자원을 다른 분야와 협력하겠습니다. • 건강유지는 사회투자입니다.
섬기는 행정과 건강도시 조무성 (고려대 공공행정학부 건강도시 연구센터장) email: msjo@korea.ac.kr
퀴즈 와 목차 • 건강도시사업의 핵심과제는 단체장의 ( )()와 다른 ( )( )부서의 협조이며 그 방법은 ( )( )과 ( )( )( )( )와의 ( )( )를 잘 이해시키는 것: I. 함께 답해 볼 이야기 • 행정의 어원적 정의와 헌법정신은 ( )( )이며 행정은 국민의 ( )의 ( )( )( )을 위한 ( )( )( )결: II. 섬기는 행정 이야기 • 건강도시는 시민의 ( )( )( )( )을 위해 애쓰는 도시이며 시민의 ( )의 ( ) ( )( )이 목적이다: III. 건강도시 이야기 .
생활행정학은 국민의 ( )의 ( )( )( )에 초점을 둔 행정학. 국민의 ( )( )( )( )을 위한 행정학 IV. 생활행정학 이야기 • 행정과 건강도시사업의 공통점은 국민의 ( )의 ( ) ( )( )을 위한 ( )( )( )결이며 ( )( )( ) ( )을 위한 ( )( )( )결이다. 이 사업은 ( )( )는 정부로서 국민에게 ( )( )하는 가장 좋은 정책대안이다 V. 행정과 건강도시의 공통분모 이야기
섬기는 행정 대한민국 헌법 7조 1항: 공무원은 국민전체에 대한 봉사자이며 국민에 대해 책임을 진다
행정 (진주시)의 건강문제해결 • 행정: 행정은 생활공간에서 일어나는 사건으로부터 문제를 정의하고 해결하는 역동적 활동 또는 과정 • 중앙행정이든 지방행정이든 그 조직의 안과 밖에서 일어나는 사건으로부터 역동적으로 국민의 문제를 정의하고 해결하는 활동을 하고 있다 • . 예: 쇠고기 수입과 정책의 쟁점을 놓고 볼 때 농수산식품부를 중심으로 그러한 사건을 어떻게 인식하며 주위환경의 영향력의 향방에 따라 그 정의가 어떻게 달라지며 이에 따라 그 해결책도 달라진다는 것을 인식할 수 있다.
행정각부의 문제해결의 구체적 내용과 건강도시와의 관계
삶의 질, 전인건강, 행복의 확장 세계 국가 시 지역사회 (현장 :직장, 학교, 시장 ) 가족 개인
건강도시의 조건 • 주거환경을 포함한 양질의 깨끗하고 안전한 물리적 환경 • 균형 있고 안정적인 생태계 • 강력하고 상호지원적이며 통합적, 비 착취적인 지역사회 • 시민들이 스스로의 생활, 건강과 안녕에 영향을 주는 결정에 참여하고 조정 • 거주하는 모든 사람들의 기본 요구 즉, 음식, 물, 주거, 소득, 직장 등의 충족 • 모든 시민들이 건강과 관련된 자원, 경험, 서비스에 공평하게 접근할 수 있어야 함 • 다양하고 혁신적인 도시 경제 • 도시의 역사적, 문화적 유산에 대한 인식을 높임 • 위의 특성을 유지시키고 촉진시키는 도시 구조와 행정체계 • 모든 시민들의 접근이 용이한 적절한 수준의 공공 의료 시설 및 건강 서비스 • 모든 시민들이 완전한 건강과 안녕에 도달할 수 있는 공평한 기회
진주시 조직의 전인건강문제해결 • 진주시청 조직도
해결의 삼각추진체제 시민위원회 정책방향제시 의견수렴 시민홍보 추진본부 실행계획수립 사업집행 유관기관협조 복원연구단 연구 조사 기획 청계천 복원사업
복원사업 추진본부 조직도 본부장 복원공사단장 행정기획단장 사업추진단장 복원총괄담당관 복원계획 담당관 복원사업담당관 공사 1담당관 복원관리담당관 공사 2담당관 공사 3 담당관 홍보팀 역사문화팀 행정지원팀 1팀 2팀 1팀 2팀 1팀 2팀 건설사업팀 하천복원팀 환경사업팀 총괄기획팀민원관리팀 이주지원팀 사업지원팀
건강도시 프로젝트와 특성과 청계천 복원사업의 특성비교
V. 양자의 공통분모 이야기 • 행정과 건강도시사업의 공통점은 국민의 ( )의 ( ) ( )( )을 위한 ( )( )( )결이며 ( )( ) ()( )을 위한 ( )( )( )결이다. 이 사업은 ( )( )는 정부로서 국민에게 ( )( )하는 가장 좋은 정책대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