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 likes | 527 Views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와의 연계를 통한 심평원 자료의 활용. 조금준. 고려대학교 구로병원 산부인과 조교수. 국민건강영양조사 ( 국건영 ) 자료. 국민건강영양조사’는 ‘국민영양조사’ (1969 년 도입 ) 와 ‘국민건강 및 보건의식행태조사’ (1971 년 도입 ) 를 통합하여 1998 년부터 시작
E N D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와의 연계를 통한 심평원 자료의 활용 • 조금준 • 고려대학교 구로병원 산부인과 조교수
국민건강영양조사 (국건영) 자료 • 국민건강영양조사’는 ‘국민영양조사’(1969년 도입)와 ‘국민건강 및 보건의식행태조사’(1971년 도입)를 통합하여 1998년부터 시작 • 지금까지 제1기(1998), 제2기(2001), 제3기(2005), 제4기(2007-2009) 조사가 실시되었으며, 현재 제5기(2010-2012) 조사가 진행 중
국건영 자료 실시 목적 실시 내용
국건영 자료 보건 정책, 프로그램 연구 분야
심평원 자료 심평원 자료의 장점 심평원 자료의 한계 • 전국민, 대규모 자료 • 질병의 발생 추이 분석 • 처치의 추이 분석 • 다양한 약물의 사용 추이 분석 • 추가적인 분석 가능 • 질병 관련 비용 분석 • 진단 및 처치 코드의 정확성 향상 • 문제점 인식 및 파악 • 문제점 개선을 다양한 방안 모색 • 외부 자료 연계를 통한 정확성 향상 • 추가적인 자료 부족 • 기본 정보 부족 • 검사 결과 부족
국건영 자료와의 연계를 통한 활용 방안 활용 방안 심평원 자료를 이용한 연구 심평원 자료를 통한 연구 • 다양한 설문 조사에 대한 신뢰도 확립 • 중요 질환에 대한 신뢰도 확립 • 약물 사용과의 연계 분석 • 질병 처치와의 연계 분석 • 빅데이터의 활용 • 다양한 질병의 코호트 구축 • 질병 발생의 시계열적 변화 분석 • 질병 처치의 시계열적 변화 분석 • 질병 및 처치에 의한 비용 분석 • : • 국건영 자료의 빅데이터화 • 빅데이터의메가빅데이터화
심평원 자료를 통한 연구 (1) 사례 1. 국건영 자료에서 약물 관련 설문 조사 결과와 심평원 자료를 통해 실제 약물 처방 확인
국건영 자료의 특성 장점 단점 단면조사연구 • 시행하기가 쉽다. • 단기간에 할 있어 경제적이다. • 어떤 사실을 찾거나 가설 검증에 도움이 된다. • 빈도가 낮은 질병이나 이환기간이 짧은 질병에는 부적합 • 상관관계를 알 수 있지만 인과관계를 규명하지는 못함 • 현재와 과거상황을 다루기 때문에 예측력은 낮다.
심평원 자료를 통한 국건영 자료의 코호트화(1) 코호트화 국건영 자료 장점 단점 * 다른 자료의 빅데이터화 코호트연구 • 신뢰도가 높은 결과 도출, 한번에 여러 가설 검증 가능, 질병발생의 위험률을 직접 구할 수 있음 • 인과관계를 구체적으로 확인 가능 • 질병의 자연사 파악 가능 • 시간, 노력, 비용 과다 소요, 발생률이 낮은 질병에 부적합 • blind test가 안됨 • 대상자 중도탈락 많음
심평원 자료를 통한 국건영 자료의 코호트화(2) 사례 2. 국건영 자료와 심평원 분만 자료와의 연계를 통한 다양한 임신성 합병증 발생 및 원인 분석 분만건수 국건영자료 심평원자료* 2010 2010 2010 2010 2011 2011 2011 2011 2011 2012 2012 2012 2012 2012 2007 2008 2008 2009 2009 2009 137 231 188 122 61 * 분만처치코드 연결
심평원 자료를 통한 국건영 자료의 코호트화(3) 739건 분만 (심평원) • 임신성 당뇨 • O24.4, 24.9 • 142건 발생 (19.2%) • 임신성 고혈압 • O12.0 -15.9 • 42건 발생 (5.7%) 국건영 자료
심평원 자료의 향후 활용 방안 각종 정보에 대한 허브 역할 • 부처 혹은 기관 간 다양한 정보의 공유 필요 • 서로의 제한점 보안 • 정보 (자료)의 새로운 가치 창조 정보, 자료 도출 심평원 접근 정부 3.0 • 공공정보를 적극 개방·공유 • 부처간 칸막이를 제거 • 소통·협력함 • 다른 자료의 빅데이터화 • 빅데이터의메가빅테이터화 포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