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15

VSIA, VCX 에서의 IP Reuse

VSIA, VCX 에서의 IP Reuse. Agenda. 설계방법 변천 동향 VSIA (Virtual Socket Interface Alliance) 기타 기관들 Design productivity crisis IP (Intellectual Property). 설계동향 및 추세. Behavioral 단계에서 완벽한 설계가 가장 큰 영향 요소이다 .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동시에 검증 할 수 있도록 하는 System C 와 같은 설계 툴이 나와 있다 .

levi
Download Presentation

VSIA, VCX 에서의 IP Reuse

An Image/Link below is provided (as is) to download presentation Download Policy: Content on the Website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and may not be sold / licensed / shared on other websites without getting consent from its author. Content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only. Download presentation by click this link. While downloading, if for some reason you are not able to download a presentation, the publisher may have deleted the file from their server. During download, if you can't get a presentation, the file might be deleted by the publisher.

E N D

Presentation Transcript


  1. VSIA, VCX에서의 IP Reuse

  2. Agenda • 설계방법 변천 동향 • VSIA (Virtual Socket Interface Alliance) • 기타 기관들 • Design productivity crisis • IP (Intellectual Property)

  3. 설계동향 및 추세 • Behavioral 단계에서 완벽한 설계가 가장 큰 영향 요소이다. •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동시에 검증 할 수 있도록 하는 System C와 같은 설계 툴이 나와 있다. • System C와 같은 것으로 Behavioral 단계의 설계를 완전히 끝냈더라도 적당한 IP를 찾기 힘든 상황이다. Soc 설계의 개괄적인 순서도

  4. 설계동향 및 추세

  5. VSIA (Virtual Socket Interface Alliance) • VSIA formed September 1996 • IP표준화 단체

  6. 기타 기관들 • VCX( Virtualcomponent Exchange) • 1998년 Scottish Enterprise주도하에 Scotland에서 발족 • 반도체 관련 지적재산권을 자유롭게 등록, 거래할 수 있는 일종의 지적재산권 시장 • 인터넷상에서 운영되는 VCX는 IP를 VC (Virtual Component)로 봄 • SIP • 2000년 대만의 IP개발 및 설계 재사용 촉진 기구 • SIPAC (System Integration & IP Authoring Center) • 2001년 한국의 KAIST내의 IDEC에 설립된 IP 표준화 및 거래 추진 단체

  7. Design productivity crisis Reuse를 통한 개선 Divergence of potential design complexity and designer productivity

  8. IP (Intellectual Property) • IP의 개요 • IP의 정의(반도체 중심으로) • IP (Intellectual Property) :지적 재산, 지적 재산권 • 넓은 의미 : 재이용(reuse)이 가능한 software module이나 hardware • 좁은 의미 : 재이용이 가능한 전자 회로의 기능 블록(functional block) • EDA (Electronic Design Automation)분야에서는 지금까지 설계된 자산으로 재 사용될 가능성이 있는 것 • 예) PCB 설계에 사용되는 “전자 부품의 라이브러리” • ASIC 설계에는 “셀 라이브러리”

  9. 기본 셀 Device Driver 소규모 마크로 소유권 Firmware 대규모 마크로 코어(Microprocessor, DSP, MPEG2…) IP 공개 IP (Intellectual Property) • IP의 정의

  10. IP (Intellectual Property) • IP의 분류 • IP : Soft IP, Firm IP, Hard IP • Soft IP • 특정언어(C, VHDL, Verilog-HDL)로 쓰여진 논리 합성 가능한 설계 자산 • Soft-IP는 아직 기술 매핑(technology mapping)이 되지 않았음 • 가장 큰 이점 - 사용자의 선택, 책임 • 장점 • 설계의 수정이나 개량, 기능 변경이 용이 • 유연성이 좋다 • 가격이 다른 것 보다 싸다

  11. IP (Intellectual Property) • 단점 • Floorplanning, Layout등에 관련된 정보가 없다 • 면적 및 성능 예측이 어려움 • Firm-IP • Soft-IP와 Hard-IP의 중간 • 약간의 Floorplanning 정보를 가진 게이트 레벨의 네트리스트(netlist) • 게이트 수나 성능 예측이 어느 정도 가능 • 공정간의 차이가 적고 간단한 변환으로 이식 가능(Synopsys의 CBA, Mentor Graphics의 소프트-IP)

  12. IP (Intellectual Property) • Hard-IP • 공정이 정해지고 Palce & Route가 끝난 설계 데이터 • 재이용 가능한 형태의 IP • Block Level에서의 모든 설계가 종료 된 것 • TAT (Turn Around Time)의 단축이 가능 • 타 공정으로의 전환이 거의 불가능 • 이식성이 낮다

  13. IP (Intellectual Property) • IP 비교 설계 변경 용이성 위험 부담 제조 용이성 가격 종류 소프트 IP 높다 높다 낮다 낮다 펌 IP 보통 보통 보통 보통 하드 IP 낮다 낮다 높다 높다

  14. IP (Intellectual Property) • IPIC의 설계 방법 • IPIC • IP를 이용한 IC • PCB설계 시 시장에서 부품을 구입하여 조립 하듯이 silicon상에 이미 설계 된 기능 블록, 즉 가상 부품(Virtual component)을 조립 함으로서 IC를 설계 제작, 검사를 하는 방법이다. 표준 부품 IP PCB 기판 Silicon 기판

  15. IP (Intellectual Property) • IPIC • IP를 이용한 설계에서는 대부분의 IP는 이미 설계 되어 있는 것을 재사용(Reuse) 하고, 일부 IP 만을 설계 한 후 이들을 조립하여 IC를 완성한다. • IP를 이용할 경우 개발 능력을 대폭 향상 • 반도체 기술 격차를 완화 • 생산성의 향상 • 개발 기간의 단축 • 전체적인 IC의 품질 향상

More Rel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