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0 likes | 365 Views
生 産 管 理. 그림으로 배우는. 田中一成 저 정 봉 길 역. 3.1 생산활동의 시나리오. 생산계획이란 기능별 계획과 관리용 계획을 종합한 것이며, 이 두 계획은 전체로서 통일될 필요가 있다. 계획간의 균형과 통일이 결여되면 생산의 효율은 저해되기 때문이다. 건물이나 기계설비, 종업원 배치 등의 설계 필요(광의) - 생산방침, 장기생산계획, 전략적 생산계획이라 함. 3.1 생산활동의 시나리오. 생산계획(협의) - 기능별 생산계획 - 관리계획
E N D
生 産 管 理 그림으로 배우는 田中一成 저정 봉 길 역
3.1 생산활동의 시나리오 • 생산계획이란 기능별 계획과 관리용 계획을 종합한 것이며, 이 두 계획은 전체로서 통일될 필요가 있다. 계획간의 균형과 통일이 결여되면 생산의 효율은 저해되기 때문이다. • 건물이나 기계설비, 종업원 배치 등의 설계 필요(광의)- 생산방침, 장기생산계획, 전략적 생산계획이라 함 그림으로 배우는 생산관리
3.1 생산활동의 시나리오 • 생산계획(협의) - 기능별 생산계획 - 관리계획 • 일반적인 생산계획 = 협의의 생산계획- 당면한 주문량을 어떻게 효율적으로 생산할 것인가? • 생산기능별 계획- 생산현장에서 효율을 위해 기능별로 분업 시행- 재료계획이나 부품계획 수립 필요(적절한 조달 위해) 적절한 조달 : 품목, 수량, 가격, 납기 모두를 충족- 조립을 위한 순서계획, 외주계획, 재고 계획등 필요 • - 품질계획, 수량계획, 원가계획, 일정계획등 더하면 QQCD계획 그림으로 배우는 생산관리
3.1 생산활동의 시나리오 • 생산계획의 구성 그림으로 배우는 생산관리
3.2 제품 데이터베이스 • “최근의 생산관리는 컴퓨터에 의한 정보처리가 일반화 되어 있어 제품의 데이터베이스도 이에 대응할 수 있도록 조정되지만 그 기초가 되는 것은 어디까지나 설계도이다.” • 데이터와 제조 공정에 관한 데이터가 가장 중요 • 제품 데이터베이스- 시장조사나 제품기획을 통한 제품의 설계도가 기초가 됨* 설계도 총조립도, 부분조립도, 부품도, 배관도, 부품구성표, 부품리스 트, 재료리스트, 기타 그림으로 배우는 생산관리
3.2 제품 데이터베이스 • 제품 데이터베이스작성 프로세스 그림으로 배우는 생산관리
3.2 제품 데이터베이스 [ 가스라이터의 구성부품표 ] 그림으로 배우는 생산관리
3.3 공정 데이터베이스 • “원재료를 어떻게 사용하여 어떤 공정에서 가공할 것인가를 계획하는 것을 공정계획, 순서계획 이라고 하며 공정계획에서 빠질 수 없는 것이 공정 데이터베이스이다.” • 공정계획(순서계획) : 각 부품을 어떤 공정에서 가공할 것인가…- 공정 데이터베이스가 필요1) 부품별 가공순서2) 표준시간3) 표준 로트(lot)4) 리드타임(lead time) 그림으로 배우는 생산관리
3.3 공정 데이터베이스 [ 공정 데이터베이스 ] 그림으로 배우는 생산관리
3.3 공정 데이터베이스 2. 표준시간 : 중요한 공정 데이터베이스 • 표준시간 : 고정시간 + 변동시간고정시간 : 셋업타임 및 뒷정리, 생산수량에 상관없이 일정변동시간 : 가공시간, 생산수량에 따라 변동 • 로트의 표준시간= 로트당 고정시간 + 로트당 변동시간= (셋업타임 + 정리시간) + (로트의 크기 ⅹ 단위당 표준시간) 그림으로 배우는 생산관리
3.3 공정 데이터베이스 • 로트(lot) - 10개 또는 50개를 하나로 묶은 수량 • 로트의 결정시 운송의 효율성이나 포장용기의 형태 고려 필요 • 재료 조달단계 : 발주로트, 인수로트 [ 인수로트의 분할 ] 그림으로 배우는 생산관리
3.3 공정 데이터베이스 3. 기준일정 : 어떤 생산품목이 특정한 공정을 통과하는 시간(공정 : 조달처나 외주처 포함)예) S사에서 재료 A 구매시 15일 소요(S사의 A에 대한 기준일 15일) • 기준일정과 표준시간의 차이점 그림으로 배우는 생산관리
3.3 공정 데이터베이스 4. 리드타임 : 기준일정을 결합하는 것- 시리즈형과 수평형으로 나눔1) 시리즈형 리드타임그림 3-8 참조부품 f 의 총 리드타임 : 22일제2,3공정 Y와 Z의 리드타임의 합 : 17일)주로 job shop의 공장에서 통용job shop : 가공공정경로를 자유로이 선택할 수 있는 방식 but, 여유시간의 필요로 기준일정이 길어짐 그림으로 배우는 생산관리
3.3 공정 데이터베이스 • 리드타임 : 기준일정을 결합하는 것- 시리즈형과 수평형으로 나눔2) 수평형 리드타임대량생산 공장의 일반적인 형태전 로트의 완성단위가 아닌 이동로트 단위로 연속적으로 이동여러 공정이 병행해서 실행 [ 수평형 리드타임 ] 그림으로 배우는 생산관리
3.4 프로젝트형 생산의 계획 • 프로젝트형 생산의 경우 생산계획 담당자는 설계 기간을 포함한 전 부분의 계획을 입안하게 된다. 일정 계획은 주문별 대일정계획에서 소일정계획으로 단계에 따라 진행된다. • 프로젝트형 생산계획 : 제품 설계에서부터 시작하는 것“주문별 대일정계획”이라고 함 • 여러가지 수주품의 주문을 병행전체적인 주문의 일정을 어떻게 조절한 것이지 생각해야 함수립된 계획의 전체 = “통합 대일정계획” • 대일정계획은 각 부문이 작업의 개요를 사전에 알 수 있도록 함 그림으로 배우는 생산관리
3.4 프로젝트형 생산의 계획 • 중일정계획할당된 중일정계획을 세분화하여 부문내의 담당별로 일정 할당▶ 다시 소일정계획으로 세분화 [ 대일정계획에서 중일정계획으로 ] 그림으로 배우는 생산관리
3.5 예측생산 계획 • 예측생산 계획은 생산 사이클마다 갱신하게 되므로 롤링(rolling)계획이라고도 한다. 계획일마다 이전 사이클의 가장 최근 계획을 삭제하고 새로운 사이클분의 계획이 추가된다. • 이미 사용된 데이터를 다시 사용 • 예측생산 : 개발단계, 생산단계 [ 예측생산계획 ] 그림으로 배우는 생산관리
3.5 예측생산 계획 • 예측생산 계획의 필요조건1) 계획 사이클 그림 3-11 참조 5월25일, 6월25일 등 1개월로 구성(최근에는 더욱 짧아짐)2) 계획 리드타임 각 월 25일에 계획 입안 5일 후인 1일에 계획실행 - 리드타임 5일3) 계획범위의 결정 계획 사이클과 최장 리드타임 필요 복수제품의 생산계획시 – 최장 리드타임의 제품이 기준 그림으로 배우는 생산관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