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30 likes | 841 Views
지식경영 정착을 위한 K-Man21 의 비전 및 방안. 2000. 9. 6 ㈜ 아이리스 21 대표이사 윤준수 sayblue@iris21.com. 차 례. I. 지식 경영 도입 현황 II. 지식 경영의 실패 요인 III. 지식경영의 성공 요인 IV. 왜 K-Man21 인가 ? V. Q & A. I. 지식경영 도입 현황. ☼ 정보화의 진정한 가치는 현학적인 기술에 있는 것이 아니라 진정한 고객가치의 창출과 전달에 있다 .
E N D
지식경영 정착을 위한 K-Man21의 비전 및 방안 2000. 9. 6 ㈜아이리스21 대표이사 윤준수 sayblue@iris21.com
차 례 I. 지식 경영 도입 현황 II. 지식 경영의 실패 요인 III. 지식경영의 성공 요인 IV. 왜 K-Man21인가? V. Q & A
I. 지식경영 도입 현황 ☼ 정보화의 진정한 가치는 현학적인 기술에 있는 것이 아니라 진정한 고객가치의 창출과 전달에 있다. Bradley & Nolan, Sense & Response, 1998 ☼기업의 기대하지 않은 창의적 행위는 조직구성원의 내재적 동기에 기반한 자발적 활동으로 시작된다. Alan G. Robinson & Sam Stern, Corporate Creativity, 1997
I. 지식경영 도입 현황 패러다임의 변화 미국 1000대 기업의 80%가 지식경영을 활용하고 있으며, 지식경영의 활용여하에 따라 그 기업의 시장가치 창출이 결정된다.(Larry Prusak. IBM 컨설팅 그룹의 CKO) 정부와 기업들은 더욱 경쟁이 심해지고 있으며, 함께 세계에서 성공으로 가는 길을 찾으려고 고심하고 있다. 그 길은 지식에 달려 있다.(장 클로드 페이. OECD 사무총장) 앞으로 경제성장을 가능케 하는 유일한 길은 지식산업과 지식근로자의 생산성을 급진적 이고 지속적으로 증가시키는 것뿐이다. 선진국은 이 경제자원에 대해 현재 경쟁 우위를 누리고 있으며 향후 몇 십년 동안은 이러한 경쟁 우위가 지속될 것이다(P.Drucker. ) 기업 부가가치의 4분의 3은 지식으로부터 나오는 것이다(다트먼트 대학, 퀸 교수) 미국 유럽 기업의 지식경영 현황 : 총 응답자 431명중 87%가 “자신의 회사가 지식에 성공의 기반을 둔 회사라고 응답.(Ernst & Young사 조사결과. 1997년) => 지식경영을 못하면 살아남을 수 없다.
I. 지식경영 도입 현황 기업 경쟁력의 원천 구 분 자산(97년 말) 시장가치(98.3.18) 비율 GM 2,289 억 달러 542억 달러 0.2배 Ford 2,790억 달러 739억 달러 0.26배 A 그룹 Chase Manhattan 3,655억 달러 582억 달러 0.16배 Microsoft 144억 달러 1,990억 달러 13.8배 B 그룹 Intel 289억 달러 1,257억 달러 4.4배 Coca Cola 169억 달러 1,849억 달러 10.9배 A그룹 기업과 B그룹 기업의 차이는 어디에서 발생하는가? Microsoft : 고부가가치 기술개발 Intel : 끊임없는 기술개발 Coca Cola : 최고 수준의 마케팅 능력 지식관리 능력을 통한 핵심역량 구축
I. 지식경영 도입 현황 국내 기업 도입 현황 ◈ 도입 패턴 - 국민정부 출범 후 정책과제로 지식경영 도입 권장 - 정부기관(예, 정통부) 및 공공기관(한국통신, 가스공사, 송유관 공사, 철도청…….)도입 공공 부문 - 96년 학습조직이라는 Topic으로 등장했다가 소멸됨 - IMF 이후 매일경제신문사의 지식경영 특집기사화로 보급 확대 - 그 후 일부 선도적인 기업에서 지식경영 도입 (예, 대림산업, 삼성전자, LG-EDS, 오리콤, SK 텔레콤, …………) 민간 부문 도입패턴 • 기존의 Legacy system의 응용으로서 도입 • G/W기능의 확장으로서 지식경영 도입 • 마스터 플랜과 교육중심으로 실시 • KMS S/W패키지 구축으로 실시
I. 지식경영 도입 현황 ◈ 도입 현황 - 업무에 필요한 조직 지식은 적극적 으로 습득하고자 한다 - 나를 발전시킬 수 있는 교육은 적극적 으로 하고자 한다 - 지식 생성(획득)시의 가장 중요 수단은 인터넷/인트라넷이다 - 정보수집시간은 하루 평균 1~2 시간이다 - 업무계획능력은 높으나 실행하고 해결하는 문제해결능력은 낮다 - 조직내 지식교환은 공유인식과 보상 체계의 부족으로 소극적이다 - 전략에 지식경영 반영정도 - 지식경영에 대한 CEO 및 구성원의 인지도와 지지도 - 핵심 보유지식의 파악 정도 비교적 높은 수준 구성원 전략 - 상사와 동료, 부서간의 의사소통은 원할히 이루어진다 (52%) - 위계적인 조직구조가 가장 큰 의사 소통의 방해 요인이다 (41.2%) - 지식창조에 대한 평가만 있고 공유와 활용에 대한 평가체제는 거의 없다 - 아이디어 회의는 자주하지만 그 실행은 미흡하다. -조직 구성원간의 신뢰성은 높다 (63%) -부서간의 정보교환이나 도움요청이 활발하지 않다 제도 문화 출처: 한국지식경영시스템 위원회, 1999
KMS를 구축했더니 활용되지 않고 있다 KMS를 구축했지만 구체적인 경영효과는 없었다 KM 마스터플랜 컨설팅을 했더니 일반적인 산출물로서 말 잔치로 끝나더라 I. 지식경영 도입 현황 국내 기업 도입 현실 왜 KM & KMS에 투자했던가? (회의론) • IT 따로 제도 따로 • 경영층의 후원 부재 • 인사제도, 조직 체계 미비 • 업무와 지식활동의 괴리 • 명확한 비전과 방향 설정 미비 why
초기시장 주류시장 말기시장 성숙기 성장기 Chasm 쇠퇴기 유아기 발아기 지각수용자 혁신자 전기다수 후기다수 선각수용자 I. 지식경영 도입 현황 캐즘에 빠진 지식경영 국내외 다수 기업들이 지식경영을 도입하였으나 최근 그 효과성에 의문을 제기하며 지식경영 시장이 진퇴양란에 봉착되고 있음.
I. 지식경영 도입 현황 인터넷 시대의 지식경영 패러다임 전환 전 조직 구성원들이 공유할 수 있는 공통된 하나의 전략수립 전 조직 구성원들이 공유할 수 있는 공통된 하나의 전략수립 사업전략의 전환 지식관리자를 중심으로 변화 및 지식활용 유도 조직원 스스로 KMS를 통해 문제제기, 해결하며, 이에 대한 책임을 짊 조직설계의 전환 유형자산의 시장가치 (규모의 경제, 수확체감의 법칙) 무형자산의 시장가치(네트웍 외부성효과, 수확체증의 법칙) 조직핵심 자산의 전환 지식경영에서 중요한 것은 유용한 지식을 발견하고 이를 축적 공유하는 것이다 지식을 한 곳에 통합관리하기 보다는 조직원들이 지식을 활용할 수 있도록 최대한의 권한을 부여하는 것이다 지식경영 프로세스 전환 정보처리 관점의 KMS 활용 커뮤니케이션 기반의 KMS 활용 KMS의 전환 참조: LG경제연구소, 2000
I. 지식 경영 도입 현황 II. 지식 경영의 실패 요인 III. 지식경영의 성공 요인 IV. 왜 K-Man21인가? V. Q & A
II. 지식경영 실패 요인 “전 세계 기업들 가운데 지식경영이 실패한 것은 70%가 넘으며 이는 단지 지식경영 착수과정에서의 실패일 뿐이고 착수되어서 추구하고자 하는 목적을 달성하지 못한 것을 합하면 거의 90%에 달한다” Morehead, British Telecom 왜 실패하는가?
II. 지식경영 실패 요인 실패를 부르는 병 ▶ 부적절한 지식관리는 정보의 홍수 누군가 하겠지? ▶ 부족한 지식 없으면 외부에서 긁어 오지? ▶ 조화하기 어려운 지식 왜 이해를 못하는거야? ▶ 인프라만 구축하고 성공하기를 기대 나는 내 할일 다했어, CEO ▶ 지식경영에 대한 재무적인 결과측정의 어려움 KM이 무슨 상품이냐? ▶ 모든 관리자가 지식경영자 자, 네건 네가 알아서 해 ▶ 중간관리자의 지식경영 기피 어떻게 얻은 노하운데…… ▶ 암묵지 공유의 실패 이거 알려주면 내 역할이…… 내가 왜 했을까? 뭔가 새로운 것을 찾자
II. 지식경영 실패 요인 실패의 3가지 사고방식 • 지식경영시스템은 적절한 정보를 적절한 시기에 적절한 사람에게 공유할 수 있다 • 지식경영시스템은 조직구성원의 지식과 경험을 축적할 수 있다 • 지식경영시스템은 지식을 조직 구성원들에게 제공할 수 있다. 무엇이 문제인가?
II. 지식경영 실패 요인 잘못된 사고방식과 현실 1. 지식경영시스템은 적절한 정보를 적절한 시기에 적절한 사람에게 공유할 수 있다 인터넷 환경에서 필요한 기업의 비즈니스 모델은 얼마나 빨리, 유연하게 시장의 변화를 대처 하는냐에 있다 2. 지식경영시스템은 조직구성원의 지식과 경험을 축적할 수 있다 실제 기업지식의 2%만이 KMS에 축적되고 나머지 대부분은 조직 구성원들의 머리 속에 있다 3. 지식경영시스템은 지식을 조직 구성원들에게 제공할 수 있다. 새로운 지식의 창출은 조직 구성원들의 몫이며 기존 지식의 축적도 조직 구성원들에 의해 이루어진다
II. 지식경영 실패 요인 실패의 5가지 요인과 현실 KM은 곧 KMS이다 실제로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지식은 조직구성원에게 있다 부분최적화는 전체 최적화이다 부분의 합은 전사의 합을 넘을 수 없다 가시적 성과는 KM의 추진력이다 KM은 지식의 활용뿐만 아니라 임직원의 교육과 훈련의 목적도 가지고 있는 장기적 기업문화 구축방안이다 KM의 시작은 자료의 통합관리다 지식의 진정한 가치는 누군가가 이를 활용하여 새로운 지식을 창출할 때 비로소 활용 가능한 지식이 된다 KM의 문화는 KMS를 통해 이룰 수 있다 KM의 효과가 극대화되기 위해서는 KM의 기업문화와 시스템이 통합되어야 한다 어떻게 해결할 것인가?
II. 지식경영 실패 요인 해결 방안 성공한 기업의 특징은?
I. 지식 경영 도입 현황 II. 지식 경영의 실패 요인 III. 지식경영의 성공 요인 IV. 왜 K-Man21인가? V. Q & A
기업 도입배경 도입결과 대림산업 (건설) • 전국적으로 분포되어 있는 공사현장의 • 지식 공유에 대한 필요성 인식 • 공사현장의 실제 지식이 체계적으로 정리 • 현장 직원들의 문제해결 능력향상 삼성종합화학 (석유, 화학) • 국내 업계의 과잉생산 및 수출부진으로 적자 • 누적 • 수동적인 근로문화와 안일한 경영풍토에 대한 • 위기 • 설비고장률 감소와 적극적인 설비의 개선, • 개발로 인한 생산성 향상 • -매출액 증가 및 경비 감소 한국얀센 (제약) • 영업직원 및 회사의 고객인 약사의현장지식에 • 대한 공유 필요성 인식 • I MF 경제위기에서 전년 대비 29.5% 매출 • 증대 달성 • -기업내 지식공유 문화확산 SK C&C (컴퓨터 통신) • 중장기 경영전략을 수립하면서 지식경영의 • 필요성 대두 • 지식자산의 관리를 통한 경쟁력 제고 추진 -각종 KM세미나에서 BestPractice로 선정 -지식경영 Solution사업에대한 기반 확립 벡텔사 (건설) • 지식이 부서내/팀내에서 고립되고 사장됨 • 외부에서 접근이 불가능하고,표준화되지 않음 • 복잡한 지식을 다수에게 신속히전파 고객제공 • 가치 증대 -주요 프로젝트의 수익증대 다우케미컬 (화학) -기술선도기업인 자사의 지적자산에 대한 관리 미흡 -효율적 관리를 통한 비용 절감및 이윤 창출 필요 • 특허가치를 400% 이상 향상시켜 5천만 달러 • 이상 절감 • 특허관리를 통한 라이센스를 통해 1억 달러 • 이상의 수익 창출 후지쯔 (정보통신) -기존 정보활용 시스템의 한계 -영업 사원들의 현장 지식공유 미흡 -지식공유 활성화로 업무 능률 향상 -영업 사원의 지식공유로 매출 신장 III. 지식경영 성공요인 국내외 사례분석
III. 지식경영 성공요인 성공기업의 지식경영 도입 목적 지식 레포지토리의 구축 지식접근의 개선 • 조직내 전문지식의 접근과 전이의 용이성 • 개선 • 전문가 네트웍 또는 전문가 지식지도 활용 • 화상회의 또는 공유 Tool 구축 • 커뮤니케이션 네트웍을 기반으로 한 지식 • 활동 전개 • 산재 된 지식의 문서화작업 • 외부지식(경쟁자)의 습득 • 구조화된 내부지식의 통합 • 개인지식의 조직 지식화 • 공동체를 기반으로 한 지식창출활동 전개 지식경영 도입목적 • 지식에 대한 인지와 문화형성 • 지식과 관련된 종업원의 행동변화 유도 • 지식관리 프로세스의 개선 • 지식 대차대조표의 활용 • 특허권 및 지적 재산권의 관리 • 지적 자본을 통한 기업의 가치증대 방안 지식환경의 개선 자산으로서의 지식관리
프로세스 리더십 조직문화 기술구현 보상/평가 체계 실패 기업 -지식공유 프로세스 및 활용 환경 미비 -일시적 필요성에 의한 정보등록 -지식관리체제 미 정립 -지식경영 도입을 위한 경영진의 의지는 있으므로 향후 구체적 방향설정이 필요함 -지식관리 전담조직 및 가치인식 부재 -정보의 가치인식과 공유문화 미 구축 -지식경영 도입의 중요요소인 실수를 인정하는 기업문화가 없음 -인트라넷에 의한 비정형 정보 공유 수준 -약관, 사규, 간행물 등 -지식공유 활성화 를 위한 평가보상 체제 없음 성공기업 -지식공유 프로세스와 다양한 검색 환경 제공 -전문가에 의한 지식 평가, 등록, 활용, 실적 관리 체제 정립 -전사적 지식관리 체제 구축 -소요 지식내용에 의한 다양한 고급 검색환경 제공 -지식경영 도입을 위한 확고한 의지 및 강력한 리더십 -최고지식 경영자선임 과 지식경영 전담 부서의 구성 -핵심기업 자원으로서 관리체제 정립 -상설화 된 전문조직 구축 -지식경영을 위한 가치관 및 기업문화 정착 -전사적 지식가치 평가 -작업에 의한 기업지식 체계화 추진 -기업지식의 공유, 활용을 위한 지식 관리 시스템 구축 -모범사례(Best Practice) 공유 -핵심사업, 문제해결 에 네트웍에 의한 전문가 협업 체제 구축 -핵심기술 연구내용, 특허 및 노하우 -지식공유 장려 및 보상제도 실시 -지식의 가치를 평가하여 인사 고과에 반영 -아이디어 등록 (인센티브)과 사내 특허 제도 병행 -평가시스템을 도입하여 연봉제 와 연계 III. 지식경영 성공요인 실패기업과 성공기업 간의 차이 • 지식 친화적인 문화조성 • 명확한 도입목적과 언어 사용 • 최고경영자의 지속적인 지원 • 경제적 성과와의 연계 모색 인적 네트웍을 활용한 지식경영 유도 (시스템 중심이 아닌 사람 중심의 지식경영 전개) 결론
I. 지식 경영 도입 현황 II. 지식 경영의 실패 요인 III. 지식경영의 성공 요인 IV. 왜 K-Man21인가? V. Q & A
IV. 왜 K-Man21인가 지식의 주체는 사람 지식은 사람으로 부터 시작해서 다양한 형태로 표출된다. • 실제 작업, 규칙, 일하는 방식으로 체화되고(embedded) • 네트워크와 공동체에서 형성되어(embodied) • 서류,파일,보고서,제품 등 으로 표현됨(represented) 문서 파일 보고서 상품
Knowledge + MAN+age+ment + 21 C 조직/문화 프로세스 혁신 사람 중심의 KMS 구현 비전/전략 정보기술 IV. 왜 K-Man21인가 새로운 KMS에 대한 시장의 요구 인터넷 기반의 시스템 통합의 요구 지식경영 성공 기업의 주요특징 KMS와 인터넷 관련기술의 접목유도 • 지식 친화적 문화 • 명확한 목적과 언어 • 최고 경영자의 지원 KMS = KM으로 보는 시장환경 프로젝트 성공의 불투명성 지식경영의 사상과 기본원리 를 총체적으로 반영한 솔루션의 요구
1세대 KM 2세대 KM 3세대 KM Core Biz Transaction Work Collaboration Information Access • Knowledge Actor로서 • 사람 중심의 KM • 검색/공유로서 • 내부 고객 중심의 KM KM 사상 • 사업의 Core로서 • 외부 고객과 연계된 통합 KM • 조직 내부 고객 초점 • IT System 중심 • - 검색엔진, 그룹웨어 • - DBMS,EDMS • - SI • Non-IT 강조 • - 제도, 조직,문화, 교육 • CM(Change Management) • Workflow와 연계 • 사업 전략 + KM • 인터넷 기반의 IT • 시스템 중심 주요 특징 및 요소 (Components) IV. 왜 K-Man21인가 완성된 시스템으로서의 KMS 진화 KM 진화 관계 모델 설계 방법 • 1세대 KMS부터 2세대, 3세대를 감안한 KMS 설계 • 경영을 위한 KMS 설계 • 경영자와 전구성원이 참여하는 KMS 설계
IV. 왜 K-Man21인가 K-Man21 정의 iris21의 지식경영 토탈 솔루션인 K-Man21은 다음과 같이 정의할 수 있습니다. - 21세기 신 경영 기법인 지식 경영을 구현하고 실천하기 위한 경영 마인드 중심의 시스템 - 단순한 지식의 검색 및 저장의 단계인 1세대 지식관리시스템으로부터 지식의 창출, 활용 및 이에 요구되는 조직, 문화, 업무, 사람을 하나로 묶은 시스템 - 모든 지식활동을 e-Mail 을 통해서 가능 하게 하는 진정한 의미의 지식 경영 시스템 또한 K-Man21은 특히 정보시스템의 최종 활용자는 결국 사람이라는 기본 사상으로부터 출발 - 지식경영을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사람을 움직일 수 있어야 하며, 이는 제도와 밀접하게 연관 - 시스템을 통해서 제도를 동시에 구현하는 미래형 지식경영 체계인 총체적 시스템 입니다. Knowledge + MAN+age+ment + 21 시대 경영 21세기, 미래 사람 지식 업무 중심의 경영시스템 K-Man21 IT기반 정보시스템 조직과 문화 시스템
- 지식 근로자들의 활동 강화 및 우대를 위한 인센티브 제공 향후 21세기는 지식 근로자들이 중심이 되어 움직이는 조직이나 기업만이 경쟁력을 지니게 될 것이라는 것은 모두 알고 있는 사실입니다. 그렇기에 K-Man21은 지식 근로자들이 적극적으로 활동하고 참여할 수 있는 촉진제로서의 역할을 담당하도록 설계되었습니다. - 사용자 편의성 극대화를 위한 통합된 인터페이스 제공 현재 정보통신 기술 및 환경은 인터넷을 축으로 하는 EIP(Enterprise Information Portal)과 EKP(Enterprise Knowledge Portal)로 발전 중에 있으며, K-Man21 또한 단일 인터페이스를 중심으로 사용자에게 통합된 서비스 제공에 초점을 맞추어 개발되었습니다. IV. 왜 K-Man21인가 K-Man21 기본 사상 • K-Man21은 다음과 같은 기본적인 사상을 가지고 • 디자인되었습니다. • - 사내의 모든 직원이 참여하는 Plus Sum Game • 사내의 모든 직원들은 상호간에 지식과 비용을 • 주고 받는 게임에 참여하여, 기업의 전체 지식 • 수준을 높일 뿐 아니라, 모든 조직원에게도 • 실익을 제공하는 플러스 섬 게임입니다. • - 지식의 거래시장(Knowledge Market) 형성 • 지식을 창출, 유통하는 모든 행위에 대해서는 • 그에 상응하는 보상을 즉각 제공함으로써, • 기업에 필요한 지식을 시장으로 유도하는 • 역할을 합니다.
Rule 4 : 질의자는 반드시 메일을 통해서 질의/응답을 해야 하며, 이 질의 응답의 결과는 반드시 지식창고에 등록되어야 합니다. Rule 5 : 지식창고에 등록하기 위해서 질의자는 응답자의 회신에 대한 평가를 실시하여야 하며, 이 평가 결과는 지식의 등급으로 작용됩니다. Rule 6 : 타 직원이 지식창고의 지식을 활용하는 경우 활용하는 사람의 계좌로부터 포인트가 다시 제공되며, 이 때에는 해당 지식에 관여한 두 사람(즉 질의자와 응답자)에게 동시에 포인트가 적립됩니다. Rule 7 : 관리자는 이러한 모든 과정을 모니터링 하고, 필요시 개입하여 K-Man21의 운영을 원활하게 하는 역할을 합니다. 또한 새로운 지식지도의 형성 및 K-Man의 선정 등에 대한 제안을 받고 이를 결정하는 역할을 합니다. . IV. 왜 K-Man21인가 K-Man21 기본 구조 • K-Man21은 다음과 같은 구조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 주요 참여자 • 지식근로자 : 사내에서 특정 분야의 지식을 지니고 있는 사람들 (K-Man) • 일반근로자 : 사내의 일반 근로자(Non-K-Man) • 관리자 : K-Man21의 운영자 • 기본 규칙 및 흐름 • Rule 1: 모든 일반 근로자들은 자신의 계좌에 동일한 포인트를 지니고 있으며, 주어진 기간 동안 반드시 이 포인트를 모두 소진해야 한다는 것이 첫번째 규칙입니다. • Rule 2: 일반 근로자들이 자신에게 주어진 포인트를 소진하는 것은 두 가지 방법이 있으며, 첫 번째는 지식창고를 활용하는 것이며, 두 번째는 K-Man에게 질의를 하는 것입니다. • Rule 3 : K-Man은 특별한 사유가 없는 한 자신에게 제시된 질의에 답을 해야 하며, 이 경우 질의자와 응답자의 포인트가 가/감 되게 됩니다.
K-MAN21 infoMINE Fulcrum 외부 정보 기간업무 DB DOCS Fusion Net’sMeet MS Exchange Windows NT IV. 왜 K-Man21인가 K-Man21 개발 사양 K-Man 21의 기반구조 - 기반기술 . 100% Java Solution으로 Servlet을 통한 다양한 Legacy System과의 연동 및 통합 . JDBC를 통한 DB Access . HTML 분리기술을 통한 화면 변경 용이 . Java를 이용하여 다양한 수행 Platform 지원과 이 기종간 Data 통합 - Sever 사양 . Unix, MS NT, Linux 등 다양한 서버 환경에 적용 가능한 범용적인 시스템 아키텍처 환경 K-Man 21의 기술사양 - 기본 환경 . 웹 기반의 시스템 구현 . 방화벽으로 보호된 안전한 사내 네트웍 환경 . 독립된 서버에서 운영가능 . 전체 플로어는 템플릿(Template)을 중심으로 운영 - User Interface Part . 웹 기반의 전자우편 시스템 . 그룹웨어 및 기타 기간 시스템과의 연동 - Search Engine Part . Fulcrum의 강력한 Knowledge Engine . Data 중심의 Knowledge Repository 검색 . Human 중심의 K-Man Repository 검색 . Result Display Interface(Data List, K-Man List) - Web Mail System Part . Send/Reply 시 Reward(Replay Watcher을 활용) . Evaluation 역시 메일 시스템으로 처리(평가 후 DB로 저장)
IV. 왜 K-Man21인가 K-Man21 기능 사양 Basic Function - 1 Point(cash) Pool과 Virtual Salary를 통합 운영 - 전사 및 개인별 차원에 따른 필독 자료 및 공유지식에 대한 Knowledge Messenger기능 - 개인의 편의성을 고려한 Knowledge Board기능(Personalized Portal) - 기업의 Domain, Process, Organizational Hierarchy, Skill에 따른 Knowledge Map - 전사차원의 실천적 공동체를 확립하도록 실시간 음성, 문자, 채팅이 가능한 CoP 기능 제공 - 단순한 개인지식으로서의 아이디어를 구체화된 상품화로 발전시켜 주는 지식제안제도, Idea Bank - 개인 및 전사 차원의 지식활용의 효과성을 증진시켜 줄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지식평가 기능 제공(활동 평가, 가치평가, 자산평가, 지식인 평가) - 전사 차원의 필요지식과 공유를 유도하는 필독자료 및 강력추천 기능 제공 - 관리자의 편의성을 고려한 간편한 관리자 메뉴 Optional Function - 업무지식의 효과적 사용을 유도하도록 NC Soft Group Ware 및 EDMS와의 연계 기능 제공 - Fulcrum 기반의 강력한 검색 엔진과의 연계 기능 제공 - 인사 및 급여시스템, ERP 시스템과의 연계기능 제공 - Enterprise Information Portal로서의 구현 기능 제공
IV. 왜 K-Man21인가 K-Man21 시스템 아키텍처 일반 직원 인증서버 검색엔진 포인트 관리서버 지식근로자 지식근로자 지식창고 사내 지식인 창고 지식근로자 기 간 시 스 템 연 동 (인사, 급여.) 지식근로자 ① 지식리스트 새로운 지식의 창출 (자동저장) 지식근로자 리스트 ② 지식근로자에 대한 질의 (메일활용) 질문자에 의한 평가 Reply Watcher 지식근로자의 답변 (메일활용)
Total Solution Consulting One Stop Service for KM Method21 K-Man21 IV. 왜 K-Man21인가 아이리스21의 강점 지식경영분야 최고 컨설턴트 확보 다수 기업에 대한 지식경영 컨설팅 수행 경험 보유 지식/디지털 지수 및 무형자산 등에 대한 자체 솔루션 확보 지식경영을 위한 One Stop Service를 모토로 컨설팅과 방법론, KMS가 3위 일체된 Total Solution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차세대 KMS 구축의 프로토 타입을 제시한 Human Based KMS 솔루션 보유 KMS 솔루션 개발경험에 따른 실제 이행 가능한 전문 노하우 확보 세계 최초의 전사적 지식 (EKPP)포탈 구축을 위한 KMS 구현 방법론 보유 다수의 컨설팅을 통한 검증된 방법론 보유
I. 지식 경영 도입 현황 II. 지식 경영의 실패 요인 III. 지식경영의 성공 요인 IV. 왜 K-Man21인가? V. Q & 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