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0 likes | 647 Views
비만 (obesity). 비 만. 체내 에 지방이 과다하게 축적 된 상태 정상 체지방 남자 15~18%, 여자 20~25% 남자 20%, 여자 30% 이상일 경우 비만으로 판정 체질량지 수 (BMI, body mass index) 체중 (kg) 을 키 (m) 의 제곱으로 나눈 값 과체중 BMI 23~24 비만 BMI 25~29 고도비만 BMI 30 이상. 비만의 원인 유전적 소인 : 포만 호르몬 leptin 의 결핍은 비만을 야기 비만의 위험성
E N D
비 만 • 체내에 지방이 과다하게 축적된 상태 • 정상 체지방 남자 15~18%, 여자 20~25% 남자 20%, 여자 30%이상일 경우 비만으로 판정 • 체질량지수(BMI, body mass index) 체중 (kg)을 키(m)의 제곱으로 나눈 값 과체중BMI 23~24 비만 BMI 25~29 고도비만 BMI 30 이상
비만의원인 유전적 소인: 포만 호르몬 leptin의결핍은 비만을 야기 • 비만의 위험성 고혈압, 심장질환, 제2형 당뇨, 지방간, 고지혈증, 퇴행성 관절염등
당 뇨(Diabetes) http://www.youtube.com/watch?v=sTgBvJsHcCk http://qtv.freechal.com/movie/QTVMovieView.asp?docid=879048
당뇨의 원인 • 당뇨병은 인슐린 부족이나 인슐린에 대한 세포 저항으로 인한 고혈당이 근본적인 원인으로 고혈당이 지속됨에 따라 대사상의 변화가 초래됨 • 인슐린 작용이 저하되면 과다한 당을 섭취하였을 때 일정한 혈당 수준을 유지하는 능력이 감소하므로 혈당이 높아지고, 당을 소변으로 배설하는 포도당 낭비 현상을 보임 • 탄수화물 대사의 이상이 기본적인 문제이나, 체내 모든 영양소 대사가 영향을 받게 되므로, 총체적인 대사질병 • 현대에서 가장 중요한 만성 질병으로 꼽히며 특히 선진국일수록 발생 빈도가 높음
당뇨의 분류, 진단 • 제1형 당뇨병과 제2형 당뇨병으로 분류 제1형 당뇨병 : 췌장 β 세포의 파괴성병변에 의해 인슐린이 결핍 되어 생기는 당뇨병 제2형 당뇨병 : 인슐린 분비 저하와 인슐린 저항성으로 인해 생기는 당뇨병 http://www.youtube.com/watch?v=VLiTbb6MaEU • 공복시 혈장 포도당 농도가 126 mg/dL이상이면 당뇨로 진단 (정상 110 mg/dL미만) • 현대에서 가장 중요한 만성 질병으로 꼽히며 특히 선진국일수록 발생 빈도가 높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