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12

12 기 프로공감 김혜 원

[ 2010 년 4 월 모니터링 ] - 나의 ( 직업적 ) 장래희망 찾기. 나는 커서 ...?. 12 기 프로공감 김혜 원. * 목차 * 1. 장래희망 탐색 및 선정 2. 관련 서적 읽기 3. 요약 & 감상 4. 실무 종사자들과의 인터뷰 5. 구체적인 계획세우기. 1. 장래희망 탐색 및 선정. < 나의 장래희망은 ?> “ 광고크리에이티브 디렉터 ”. 1. 장래희망 탐색 및 선정. < 크리에이티브 디렉터 (Creative Director 란 ?>

Download Presentation

12 기 프로공감 김혜 원

An Image/Link below is provided (as is) to download presentation Download Policy: Content on the Website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and may not be sold / licensed / shared on other websites without getting consent from its author. Content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only. Download presentation by click this link. While downloading, if for some reason you are not able to download a presentation, the publisher may have deleted the file from their server. During download, if you can't get a presentation, the file might be deleted by the publisher.

E N D

Presentation Transcript


  1. [2010년 4월 모니터링] - 나의 (직업적)장래희망 찾기 나는 커서...? 12기 프로공감 김혜원

  2. *목차* 1. 장래희망 탐색 및 선정 2. 관련 서적 읽기3. 요약&감상4. 실무 종사자들과의 인터뷰5. 구체적인 계획세우기

  3. 1. 장래희망 탐색 및 선정 <나의 장래희망은?> “광고크리에이티브디렉터”

  4. 1. 장래희망 탐색 및 선정 <크리에이티브디렉터(Creative Director란?> 광고 한편이 나오기까지는 광고를 기획하고 문안을 쓰는 카피라이터와 광고를 디자인하는 디자이너, 방송 광고등을 제작하는 프로듀서가 어울려 함께 일한다. 각 분야의 전문가들을 통솔하여 목적에 잘 부합하는 광고가 제작되도록 전 과정을 리드하고 책임지는 사람을 크리에이티브디렉터라 한다. CD라는 약칭으로 불리는 이들은 영상매체와 인 매체 등 각 매체에 대한 이해와 지식, 카피를 분석하고 평가하는 안목, 비주얼에 대한 감각뿐 아니라 도출된 시안을 광고주 앞에서 프레젠테이션 하는일 까지 한다 - 고객을 유혹하는 마케팅 글쓰기 中-

  5. 2.관련 서적 읽기 … 제가 하고 싶은 일과 관련된 여러 책을 읽어보았지만 그중에서

  6. 2.관련 서적 읽기 “인문학으로 광고하다” 라는 책이 가장 크리에이티브디렉터로서의 고민과 그만의 생각이 담긴 책이 였습니다 박웅현, 강창래 저

  7. 3.요약&감상 벌써 2010년 4월 말에 다다랐다. 눈 깜빡하니까21살이 되었다. 방금 1년 전까지만 해도 새내기였는데 "언니~" "누나~" 라고 부르는 후배들이 생기니까 정말 기분이 묘하다. 한창 입시에 시달리던 고3때, 주위에 아는 대학생 언니오빠들은 하나같이 나에게 이렇게 말했었다. 20살이였던 적이 언제였나는 듯이 기억조차 나지 않는다고. 그때 나는 20살이 된다면 훗날에 '나는 저렇게 말 안해야지' , '정말 훌륭한 20살을 보낼꺼야' 라고 생각했다. 정말 꼭 수능이 끝나면 멋진 20살을 보내게 해줄 계획들을 세워보겠다고 다짐했다. 수능을 끝낸 뒤에 나는 그때의 다짐을 잊지 않았다. 따끈한 방바닥에 엎드려 귤을 까먹으면서 제일 친한 친구랑 같이 20살이 되면 하고 싶은 일들을 커다란 종이에 쓰면서 멋진 20살을 위해 여러 가지를 계획했다. 진심으로 보람찬 20살을 보내고 싶었다. 그때 그 종이에 썼었던 것들은 '무엇이든 경험해보고 느끼고 도전해보겠다' 라는 위주의 계획들이였다. 그러니까 이때부터 '나는 다할 수 있다'라는 근거 없는 자신감이 불타올랐다. 그런 근거 없는 자신감에 불타는 계획을 세우게 된 것은 친구와 선생님과 부모님 그리고 인터넷이 말하는 세상에서 벗어나고 싶었기 때문이다. 집-학교-학원을 오가던 나에게는 그 너머의 세상이 너무너무 궁금했었고 세상을 바라보는 시야가 좀 더 넓어 질 수 있는 기회를 되도록이면 많이 갖고 싶었다. 20살, 대학생이라는 신분은 분명 나에게 그런 기회를 충분히 줄 수 있다고 의심치 않았기에 그런 컨셉의 계획들을 썼었던 것 같다.

  8. 3.요약&감상 시간이 대학교 1학년이 되니까 나의 근자감(←근거없는 자신감을 줄여서)을 자극하는 기회는 수없이 찾아왔다. 마케팅과 광고에 대해서 대학교 친구들과 스터디도 하고 연예인 김제동씨도 만나보고 다른 학교 학생들과도 어울려보고 방학 때는 캠프를 진행하는 사회자도 되보기도 하였다. 대학생이 되니까 또 다른 세상이 있었다. 하지만 나는 광고에 흥미도 있고 적성도 맞다고 생각했었는데 딱히 앞으로 뭘 하고 싶은지 찾지 못했다. 그래서 그냥 언젠가는 찾게 되겠지 하면서 방관하고 있었다. 그러던 어느 날 우연히 1학년 2학기 중반쯤에 한국야쿠르트에서 주최하는 산타페크리에이티브 스쿨을 인터넷을 통해 알게 되었는데 이때 나는 이 글을 보자마자 근자감 부글부글 타올랐다. 열심히 지원서를 썼고 합격해서 이노션이라는 광고대행사의 전무를 맡고 계신 이혜경 CD의 강연을 들을 수 있었다. 광고관련 직업이라면 AE밖에 몰랐다는데 크리에이티브 디렉터라는 분야에 대해 알 수 있었던 시간이었다. 이 강연을 듣고 나는 크리에이티브 디렉터라는 직업에 매료되었다. 그 순간 나는 앞으로 무엇을 할지 알게 되었다. 정말 말도 안되게 이게 내가 할일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정말 그때 왜 그런 생각이 문득 갑자기 그렇게 떠올랐지는알수가 없다. 지금도 그렇긴 하지만 강의를 듣고난 뒤로 나는 이 직업에 대해 더 많이 알고 싶어졌다. 인터넷으로 이혜경CD에 대해서 검색해보았는데 연관검색어로 박웅현씨가 나왔다. 클릭해보니 박웅현이라는 사람도 크리에이티브디렉터라는 직업을 가지고 있었고 여러 책도 썼다고 나와 있었다. 책 몇 권은 학교 도서관에 있어서 곧장 빌려 읽었지만 '인문학으로 광고하다'라는 책은 최근에 출판된 책이라서 그런지 도서관에 없었다. 그래서 나는 바로 도서관에 희망비치도서로 등록했고 몇일 뒤에 책이 도착했다는 메일이 와서 도서관으로 갔다. 내가 박웅현씨를 만나게 된 것은 바로 이때이다.

  9. 3.요약&감상 나는 내가 가장 좋아하는 새 책에서만 나는 종이냄새를 맡으면서 또 '이 책을 내가 도서관에서 처음 빌리는 거야' 라는 우쭐함도 느끼면서 기자인 강창래씨가 TBWA에서 일하는 총괄 크리에이티브 디렉터인 박웅현씨와 한 인터뷰를 담은 이야기를 읽어나갔다. 책을 읽으면서 예전에 광고를 보면서 참 마음을 훈훈하게 만든다고 생각했던 광고가 모두 그의 작품이라니 놀라웠었다. 박웅현ECD는 책 제목 그대로 인문학으로 광고하는 사람이었다. 사실 인문학의 정의가 정확하게 무엇인지 몰라서 네이버에 쳐보니까 '인간의 조건에 관해 탐구하는 학문' 이라고 나와있다. 잭트라우트와알리스가 쓴 '포지셔닝'이라는 책에서 마케팅은 인식의 싸움이라고 하지 않았던가. 이 싸움 이기려면 사람의 생각을 꿰뚫는 insight가 필요하다고 하는데 여기서 이 insight를 키우려면 인간의 조건에 관해 탐구해야하는 과정이 필요한 것이다. 그러므로 인문학으로 광고를 하는 것은 당연한 것이라는 이론이 나온다. 이 이론이 틀린 이론이 아님을 책에서 그가 만든 "사람을 향한 광고"를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다. 나는 이 책에서 흥미로웠던 점은 박웅현이라는 사람을 인터뷰한 기자의 시점으로 이야기가 진행된다는 것이다. 나는 책을 읽을 때 화자의 시점을 항상 염두하고 읽는 편이라서 이 부분이 조금 독특하게 느껴졌다. 처음에 봤을 때 박웅현씨가 직접 쓴 책 인줄 알았는데 아니었다. 오히려 화자가 자기 자신이고 자기가 했던 광고들을 이야기한다면 약간은 자기자랑 하는게아닐까하는 느낌을 받을 수도 있었겠는데 인터뷰 방식이여서 그런 느낌이 조금 덜했다. 그래서 마치 내 앞에서 무릎팍 도사 프로그램을 보는듯한 느낌을 받았다. 인간을 향한 광고와 인간을 어떻게 향할 것인가에 대해 이야기를 하고 있지만 그의 자신의 관한 인간적인 이야기도 함께 하고 있어서 무척 '사람냄새' 나는 책이라고 평가하고 싶다

  10. 3.요약&감상 이 책의 마지막 장인 박웅현의 나가는 말을 ' 보면 "창의력이 무엇이냐?" 라는 질문은 답할 수 없는 질문이라고 하면서 이 질문의 대한 답이 이 책이 줄 수 있느냐 했을 때 그는 간절히 바라지만 알 수 없다고 한다. 나는 이 책 중에서 최고로 기억에 남는 부분을 꼽으라고 하면 마지막 부분이다. 이때까지 광고가 사람을 향할 때 어떻게 향할 것인가에 실컷 이야기 해놓고 간절히 바라긴 하지만 알 수 없다고 말하는 그 역시도 이 질문에 끊임없는 고뇌를 하고 있는 것 같은 생각이 들어서 이다. 그래서 나는 1학년 2학기가 끝나가도록 이 질문에 답할 수 없는 답을 찾아보겠노라고 욕심을 부리기도 했었다. 시간이 흘러 나는 대학교 2학년이 되었다. 언니~ 누나 라고 말하는 후배들이 생겼고 1학년때 보단 적어도 그때보단 생각이 더 깊어진 것 같다. 난 아직까지도 박웅현씨가 이야기했던 질문에 대한 답을 찾으려고 애쓰는 중이다. 애쓰고 싶다. 그럴 것이다. 그러지 않으면 나는 내 꿈에 대한 의문이 계속 퉁겨 나올 것만 같다. 책을 다 읽고 덮으면서 크리에이티브디렉터가 되려면 '나는 어떤 시각을 가져야하는가 그리하여 나는 어떤 시선으로 세상을 바라볼 것인가' 라고 스스로에게 질문을 던져본다. 이 질문에 나는 지금 답을 할 수가 없다 다만 박웅현ECD처럼 나도 ‘인문학으로 다가가는 ‘광고를 만들길 간절히 바래본다.

  11. 4.실무 종사자들과의 인터뷰 ● 이노션월드와이드 상무 김혜경 “ 생각이 떠오르지 않을 때 어떤 일을 하십니까?” ㅡ“뜨개질도 하고요. 또 연필을 깎습니다... 깎으면서 이 연필처럼 생각아 뾰족해 지길 바라는 마음으로요 그러다 보면 어느 순간 떠오르는 경우가 있더군요” “ 크리에이티브에게 가장 중요한 것이 있다면?” ㅡ“ 시각입니다. 어떤 시각을 가지고 있느냐에 따라서 시선이 달라지는 것 같아요... 여행을 많이 해보라고 추천하고 싶네요 ” “ 광고계에서 학벌이 중요할까요?” ㅡ“아닌것 같아요, 지금 제가 같이 일하고 있는 사람들도 사실 어디 대학 나왔는지 잘몰라요... 일 잘하고 맘 잘맞으면 팀원이 되기에 충분한 것 같습니다 ”

  12. 5. 구체적인 계획세우기

More Rel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