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00 likes | 1.05k Views
생명 기술. 생활과 생명 기술 생명 기술의 활용. 0 1. 0 2. 생명 기술의 의미와 특성을 말할 수 있다. 0 1. 생명 기술의 발달 과정을 이해할 수 있다. 학습 목표. 0 2. 생명 기술의 원리를 바르게 설명할 수 있다. 0 3. 생명 기술이 인간에게 미치는 영향을 설명할 수 있다. 0 4. 1. 생활과 생명 기술. t hink. 생각 열기. 생명 기술로 탄생한 옥수수. 베타카로틴이 함유된 옥수수 외에 새로운 옥수수를 개발한다면 , 어떤 것이 좋을지 생각하여 적어보자. 생명 기술이란.
E N D
생명 기술 생활과 생명 기술 생명 기술의 활용 01 02
. 생명 기술의 의미와 특성을 말할 수 있다. 01 생명 기술의 발달 과정을 이해할 수 있다. 학습 목표 02 생명 기술의 원리를 바르게 설명할 수 있다. 03 생명 기술이 인간에게 미치는 영향을 설명할 수 있다. 04
1.생활과 생명 기술 think 생각 열기 생명 기술로 탄생한 옥수수 베타카로틴이 함유된 옥수수 외에 새로운 옥수수를 개발한다면, 어떤 것이 좋을지 생각하여 적어보자.
생명 기술이란 1 생명 기술에 대하여 알아봅시다. 1.생명 기술의 의미와 특성 2. 생명 기술의 발달
1. 생명 기술의 의미와 특성 • (1)생명 기술의 정의 : 생명체를 활용하여 인간에게 유용한 물질을 만드는 기술 • (2)생명 기술의 특성 • 기술. 지식 집약적 • 고부가 가치 창출 가능 • 청정기술 • 환경 친화적인 에너지를 생산
(3)생명 기술의 활용 분야 • 질병 문제 해결 • 식량 문제 해결 • 환경 정화 • 바이오 에너지를 개발
2. 생명 기술의 발달 B.C.1700 1590 1665 발효 기술의 이용 고대 이집트에서 효모를이용하여 빵과 술을 만들어 먹었던 것이 생명 기술의 출발점이다. 발효 기술을 이용한 음식 : 치즈, 요구르트, 김치,된장 현미경 발명`-`얀센 현미경의 발명으로 생명 기술 연구의 과학화가 시작되었다. 코르크 조직에서 최초로 세포(cell) 발견-`훅
1865 1928 1859 최초의 항생 물질 페니실린 발견`-`플레밍 ‘자연 선택에 의한 종의 기원’에서 진화설 발표`-`다윈 완두콩을 이용한 유전 법칙 발견`-`멘델
1983 1953 1973 DNA 증폭 기술, PCR발명`-`멀리스 DNA란? 유전자의 본체인 핵산의 일종으로, 모든 생물체의 유전 정보를 가지고 있다. PCR이란? 소량의 DNA로부터 짧은 시간 안에 많은 양의 DNA를 얻어내는 기술 DNA 이중나선 구조 규명`-`왓슨과크릭 생명 기술 발전 가속화 유전자 재조합 기술 개발`-`보이어 현대적 생명 기술의 기틀을 마련
1990 1996 2000 인간게놈프로젝트(HGP) 시작 인간게놈프로젝트란? 인간이 가진 30억개 게놈의 염기 배열 순서를 밝히는 일 최초의 체세포 복제 양 돌리 탄생 인간게놈프로젝트 (HGP) 초안 발표
생명 기술의 원리는 생명 기술의 종류에 대하여 알아봅니다. 2 1.유전자 재조합 2. 세포 융합 3.조직 배양 4.핵 이식
1. 유전자 재조합 유전자 재조합의 정의 : 인위적으로 유전자를 조작하는 기술, 얻고자 하는 특정 유전자를 추출하여 다른 생물체의 유전자에 주입하고 나서 증식시켜 새로운 특성의 유전자를 만드는 기술
1. 유전자 재조합 • 특성 • 원하는 유전자를 짧은 시간 안에 대량으로 생산 • 여러 생물체의 좋은 특징들만 합쳐진 새로운 생물체를 만들 수 있음. • 이용 • 인슐린이나 인터페론 등의 의약품 대량 생산 • 환경오염 물질 제거 기능을 가진 미생물 생산 • 유전자 변형 생물체 생산
2. 세포 융합 세포 융합의 정의 : 서로 다른 형질을 가지는 두 개 이상의 세포를 하나로 합쳐서 두 세포의 장점을 모두 갖는 하나의 융합 세포로 만드는 기술
식물 세포 융합 • 효소를 이용하여 세포벽 제거→ 폴리에틸렌글리콜을 이용하여 세포 융합 → 융합된 식물 세포를 영양 배지로 옮겨 세포벽 재생, 배양하여 완전한 식물체가 되도록 키움. 이용 포마토(토마토+감자), 무추(무+배추), 가자(가지+감자), 마고추(마늘+고추)
(2)동물 세포 융합 세포벽이 없어 세포 융합이 비교적 간단하며, 체외 또는 체내에서 수정된 수정란을 꺼내어 다른 암컷에 넣어 생육시키는 기술을 많이 이용 이용 시험관 아기, 단일 클론 항체 생산 등
3. 조직 배양 조직 배양의 정의 : 생물체를구성하는세포나조직일부를떼어무균실에서배양하여유전형질이같은개체의수를증가시키는기술 땅에 옮겨 심는다
이용 • 하나의 세포로부터 유전 형질이 같은 개체를 다량 생산 • 우수한 품종의 생물을 짧은 시간에 대량 생산 • 바이러스에 감염되지 않은 작물의 모종을 생산하거나 품종 개량 • 희귀 품종의 번식 등에 이용
4. 핵 이식 핵 이식의 정의 : 핵을 제거한 난자에 다른 세포의 핵을 넣어서 유전 정보가 같은 생명체를 만드는 기술
장점 • 우수한 품종의 가축이나 멸종 위기의 생물과 동일한 유전자를 지닌 복제된 생물의 탄생 가능 • 이용 • 우수한 형질을 가진 생물의 번식 • 멸종 위기 생물의 보존 • 생물 의약품 생산, 이식 및 연구용 장기 생산 등에 이용
생명 기술의 이용 분야와 문제점 생명 기술에 대하여 알아봅시다. 3 1.생명 기술의 이용 분야 2. 생명 기술의 이용에 따른 문제와 대책
1. 생명 기술의 이용 분야 농업 및 수산업 고부가 가치의 제품 생산, 수확량 증대, 희귀 생물 보존, 우량 품종 생산 보건,의료 및 의약품 진단 시약 및 백신 개발, 치료제 개발 및 대량 생산, 바이오 장기 개발, 다른 기술과 접목 줄기세포: 근육, 뼈, 뇌 등 신체의 어떤 기관으로도 분화할 수 있는 만능 세포
화석 연료를 대체할 수 있는 바이오 매스 에너지, 섬유와 플라스틱 등을 대체할 수 있는 친환경 소재를 개발하는 데 활용 • 오염 물질을 분해하는 식물과 미생물로 환경을 정화하고, 발효를 이용한 친환경 비료의 개발을 통해 친환경 농업 기술의 발전에도 이바지 공업, 에너지 자원, 환경 분야
2. 생명 기술의 이용에 따른 문제와 대책 • (1)유전자 변형 생물체에 의한 생태계 파괴 • 유전자 변형 생물체(GMO) : 수확량을늘리고 , 병충해와 제초제에 강한 품종을 만들고자 인위적으로 생명체의 유전자를 조작한 것 • 부작용 : 제초제에 끄떡없는 슈퍼 잡초, 그로 인해 파생되는 또 다른 환경 문제의 발생
(2) 복제 생물의 출현과 인간 배아 복제의 윤리적 문제 • 복제 생물이 출현하고 인간 배아가 복제되면서 생명의 존엄성 훼손 • 인간의 배아는 시간이 지나면 하나의 생명체가 되므로, 신중한 연구 요구 • 생명 윤리와 가치관을 재정립하고 복제의 목적과 허용 범위도 법으로 명확하게 규정
(3) 개인의 유전 정보 유출 문제 • 개인의 유전 정보가 공개되고, 무절제하게 이용됨으로써 사생활을 침해하거나 유전적 차별을 받게 되는 것을 막아야 함. • 개인의 유전 정보는 범죄에 이용될 수 있으므로 자신의 유전 정보가 유출되지 않도록 주의하고, 법으로도 보호되어야 함.
학습 포인트 • 생명 기술이란 동물, 식물, 미생물, 바이러스 등이 지닌 생명 현상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이를 조절하거나 탐구하여 실생활에 응용하는 기술 • 생명 기술의 활용 분야 • 질병 문제 해결 • 식량 문제 해결 • 수질의 정화 • 바이오 에너지를 개발하여 에너지 부족 문제 해결
학습 포인트 • 생명 기술의 원리 • 유전자 재조합 • 인위적으로 유전자를 조작하는 기술, 얻고자 하는 특정 유전자를 추출하여 다른 생물체의 유전자에 주입하고 나서 증식시켜 새로운 특성의 유전자를 만드는 기술 • 세포 융합 • 서로 다른 형질을 지는 두 개 이상의 세포를 하나로 합쳐서 두 세포의 장점을 모두 갖는 하나의 융합 세포로 만드는 기술
학습 포인트 • 생명 기술의 원리 • 조직 배양 • 생물체를 구성하는 세포나 조직 일부를 떼어 무균실에서 배양하여 유전 형질이 같은 개체의 수를 증가시키는 기술 • 핵 이식 • 핵을 제거한 난자에 다른 세포의 핵을 넣어 유전 정보가 같은 생명체를 만드는 기술(=복제)
학습 포인트 • 생명 기술의 이용 분야 • 농업 및 수산업 분야 : 고부가 가치의 제품 생산, 수확량 증대, 희귀 생물 보존, 우량 품종 생산 • 보건, 의료 및 의약품 분야 : 진단 시약 및 백신 개발, 치료제 개발 및 대량 생산, 바이오 장기 개발, 다른 기술과 접목 • 공업, 에너지 자원, 환경 분야 : 바이오 매스 에너지 개발, 친환경 소재 개발, 오염 물질 제거, 친환경 농업 기술 개발
목적지가 없는 배는 어떠한 바람도 순풍이 될 수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