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 likes | 1.17k Views
해외 출장 보고 발표 교통체계분석연구단 엄진기 책임. 2013. 01. 28. 목 차. 해외출장 개요. 1. 주요내용. 2. 시사점 및 활용방안. 3. 해외 출장 개요. 출장국가 ( 기관 ) : 미국 (TRB 92 nd Annual Meeting). 출장배경 ( 필요성 ). 교통카드자료 등 대중교통 자료 구축 및 활용사례 조사 필요 개별통행행태에 대한 국외 연구 동향 조사 필요. 출장목적. - Transportation Research Board Conference 참석 및 논문 발표
E N D
해외 출장 보고 발표 교통체계분석연구단 엄진기 책임 2013. 01. 28.
목 차 • 해외출장 개요 1 • 주요내용 2 • 시사점 및 활용방안 3
해외 출장 개요 출장국가(기관): 미국 (TRB 92nd Annual Meeting) 출장배경(필요성) • 교통카드자료 등 대중교통자료구축 및 활용사례 조사 필요 • 개별통행행태에 대한 국외 연구 동향 조사 필요 출장목적 -Transportation Research Board Conference 참석 및 논문 발표 - 교통카드 및 개별 통행행태 자료를 활용한 교통수요 관련 연구동향 조사 출장기간 : 2013.01.13~2013.01.18 (4박6일) 출장인원 : 엄진기 책임 1
주요 내용 TRB 92nd Annual Meeting 소개 • 기 간: 매년 1월 3째주 일요일~목요일 (5일간) • 논 문 수: 약 2500편 (총 제출논문의 약 40%) • 분 야: 약 40개 교통관련 분야 • 참석인원: 전세계 약 3000명 대중교통계획 및 Data 관련 세션 • -Data and Information Technology (70편) • Passenger Transportation (40편) • Planning and Forecasting (102편) • Public Transportation (62편) 1
주요내용 대중교통카드 자료를 이용한 공간수단분담 모형 구축 결과 발표 • 대중교통카드 자료의 승객 승·하차 위치정보를 이용한 서울시 지역별 수단선택 모형구축 • 출발지 지역별로 유사한 수단선택 행태를 보이는 것에 착안 (서울시 465개 동 단위) • 기존 모형은 통행위치에 상관없이 통행시간 및 비용이 같을 경우 동일한 수단분담률 제시 • 공간상관성(Spatial Association)을 반영한 수단분담 모형이 보다 우수함 , General Model Structure Proposed Model Structure General Model Observed (%) () Boundary-based Distance-based 2
주요내용 교통카드기반 대중교통 수요 분석관련 연구 • 교통카드기반으로 승객의 출발도착(OD)량을 추정하는 연구(미국, 중국) • ※ 단일요금제로 인한 승차또는 하차 정보만을 이용한 정류장/역 간 OD량 추정 • ※ 국내의 경우 거리비례 요금제로 정류장/역 간 OD량은 Database에서 생성가능 • ※ Multiple 노선의 경우 OD 추정이 어려운 문제점 발생 • APC(Automatic Passenger Counter) 자료를 이용한 노선단위 OD 추정연구(미국) • ※ 승객의 승하차 인원과 샘플 OD를 활용해 총 통행량을 ODMatrix로 추정하는 방법 • ※ Iterative Proportional Fitting (IPF) Method 소개 4
주요내용 미국 대중교통 Data 공유 사례 연구 • 대중교통운영기관은 효율적이고 안전한 운행을 위해 방대한 자료생산(운영계획 및 실적관련) • 과거 운영기관의 제한적 자료 공유 → 다양한 대중교통 서비스 정책개발 한계 • 미국 전역 대중교통 자료공유를 위한 표준화 및 접근체계 (GTFS, 2005) 활용 필요 • (General Transit Feed Specification: transit trip-planner Google Map 생성) • 운행자료 변경에 따른 실시간 적인 자료 업데이트를 위한 소통채널 필요(운영사↔개발자) • 자료 공유를 통해 시민, 민간개발자 등이 대중교통 지원을 위한 다양한 역량 발휘 기대 4
주요내용 토지이용과 대중교통 수요의 상관성 연구 • 대중교통과 토지이용 특성변수의 상관관계 분석 (호주 시드니 도시사례) • ※ 토지이용의 공간적 특성이 대중교통 수요에 미치는 영향 분석(GWR Model) • ※ TAZ단위 대중교통수요 변화 및 지가변화를 GIS를 활용하여 제시 • 미국의 스마트성장(Smart Growth) 정책과 기존 토지이용 정책과 통행발생량 비교 • ※ 총 통행발생량은 비슷하나 대중교통 및 녹색교통(도보 및 자전거) 통행발생 집중도가 높음 • ※ 향후 통행목적별 통행거리, 비용, 시간 등 행태변화 비교분석 필요 4
시사점 및 활용방안 TRB 발표 자료 시사점 • 국내 대중교통카드 자료는 가장 진보된 형태의 자료로서 지속적인 활용방안 고민필요 • 대중교통 운영자료의 공유화를 위한 현황 분석 및 교통자료의 통합 연구 • ※ 교통자료의 공유화로 다양한 연구개발 도모 및 자료수집 가공의 자동화 방향 시사 • 대중교통 활성화 도모 및 통행거리 최소화를 위한 토지이용 정책 변화 필요 • - 대중교통 수요자의 성별및 활동시간의 다양성을 고려한 미시 분석 노력 필요 • ※ 다양한 통행자의 특성을 고려한 대중교통 서비스 제고를 통한 이용자 활성화 도모 주요 입수 기술 자료의 활용 • TRB 92nd Annual Meeting Conference 논문 자료 • ※ 대중교통중심 정책연구 및 기술개발 기초 자료로 활용 • ※ 교통카드자료 활용 극대화를 위한 data 공유방안 정책사례로 활용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