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20

친환경 농산물 가공 및 상품개발

친환경 • 유기가공식품의 연구개발중심기업. 친환경 농산물 가공 및 상품개발. 2010. 6. 24. ㈜ 다손 조은경. 목 차. 1. 농업과 농식품산업의 흐름 2. 웰빙 및 로하스 시대 3. 농식품산업을 둘러싼 주요 환경변화 4. 소비자 Needs 의 변화 5. 시장개방에 따른 경쟁력 강화 6. 2007 세계식품시장 트랜드 7. Global Mega Trend 8. 상품개발의 개념 9. 신제품 개발 Point 10. 해외 가공식품 현황. 농업과 농식품산업의 흐름.

kynan
Download Presentation

친환경 농산물 가공 및 상품개발

An Image/Link below is provided (as is) to download presentation Download Policy: Content on the Website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and may not be sold / licensed / shared on other websites without getting consent from its author. Content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only. Download presentation by click this link. While downloading, if for some reason you are not able to download a presentation, the publisher may have deleted the file from their server. During download, if you can't get a presentation, the file might be deleted by the publisher.

E N D

Presentation Transcript


  1. 친환경 •유기가공식품의 연구개발중심기업 친환경 농산물 가공 및 상품개발 2010. 6. 24. ㈜다손 조은경

  2. 목 차 1. 농업과 농식품산업의 흐름 2. 웰빙 및 로하스 시대 3. 농식품산업을 둘러싼 주요 환경변화 4. 소비자 Needs의 변화 5. 시장개방에 따른 경쟁력 강화 6. 2007 세계식품시장 트랜드 7. Global Mega Trend 8. 상품개발의 개념 9. 신제품 개발 Point 10. 해외 가공식품 현황

  3. 농업과 농식품산업의 흐름 (자료 : LOHAS시대 식품의 의미와 외국의 식품산업 전략(한국식품연구원 내부자료), 김동수, 2007) 농식품산업 : 식품가공업, 원료 농산물의 수집ㆍ중개업, 운수ㆍ보관업, 식품 제조기계 또는 용기ㆍ포장 제조업, 외식산업 및 식품의 도ㆍ소매업을 포괄

  4. 웰빙 및 로하스 시대 웰빙(well-being) 및 로하스(LOHAS)의 시대적 흐름 (자료 : 한국식품연구원(내부자료), LOHAS시대 식품의 의미와 외국의 식품산업 전략, 2007)

  5. 웰빙의 의미 (자료 : Food for Life, CIAA, 2006) Well-being(웰빙, 참살이) :행복, 삶의 만족 및 질병 없는 건강한 상태 포괄 개념 친건강 및 친환경성을 지향하는 사회대안운동의 뿌리 깊은 유럽에서 1990년대 이후 자연스럽게 생활 속에서 시작 복지(welfare) 개념이 강조된 사회적 웰빙

  6. LOHAS 의미 (자료 : LOHAS Market, 2007) LOHAS(Lifestyle of Health and Sustainability, 로하스) : 2000년대 미국판 웰빙으로 사회, 경제 및 환경적 기반을 위태롭게 하지 않는 범위에서 소비함으로써 후대가 건강하고 풍요로운 삶을 누릴 수 있도록 배려하는 현명한 소비자들의 라이프스타일을 의미 (선진국 LOHAS族, 이런 상품에 손 내민다, KOTRA, 2005)

  7. 농식품산업을 둘러싼 주요 환경변화 국내 농식품산업의 환경변화: 삶의 질 향상을 추구하는 바이오경제의 도래 세계 무역시장의 개방으로 빠르게 변화, Well-being 및 LOHAS 추세의 강화, 고령화 사회진입, 세계화 및 지역화, 환경친화 추구, 정보화 및 기술의 융합화

  8. 2050년 평균수명 86세, 한국국민의 평균수명과 고령인구 증가추이1 총부양비율 89% (선진국 71%)

  9. 노인층의 라이프스타일

  10. 고령친화산업의 분야와 내용 국내 고령친화산업은2010년에 31조원, 2020년 116조원의 시장규모 고령친화산업의 기회

  11. 건강유지형 –저염간장, 된장, 저지방우유, 저칼로리 주스, 소맥배아유, 약초주 등 기능보완용 - 의료식, 노인식 기호대응형 : 일본풍 치즈 및 드레싱 전통중시형 –명과, 절임야채 고급지향형 –생선회 간장, 일류 호텔 스토랑 반찬류 등 Food for Senior Food Service for Senior 일본의 Food & Food Services for Senior 65세 고령인구 1970년 7.1% - 2000 17.2% -- 2010년 21.9% -- 2020년 28.6% 민간기업 선도 고품질, 고급화 추세 - 고령자의 정신적, 육체적 기능 향상 - 삶의 질을 높이고 편의 제공 사업 • 회원제 식사 택배 서비스 • 인터넷을 이용 고령자 식사 택배 서비스 • 성인용 치료식 배달서비스 –당뇨병 • 유기농 야채 등을 사용한 레스토랑 • 할머니, 할아버지 등이 운영 음식점 • - 노인 일자리 제공 • - 노인을 위한 급식사업 • 체인경영 외식업체 –고가점,

  12. 소비자 needs의 변화 고품질 : 우수농산물, 프리미엄급 제품 맛 : 다양성, 인종, 전통식품, 신선함, 천연향과 색소 편리성 : 편의식품, 조리식품, on-the-go 즐거움 : entertainment, 가치 안전 : 친환경유기농식품, 천연식품, shelf-life 연장, 최소가공, 생물학적화학적 오염으로부터 안전 건강 : 영양강화, 자연식품, 기능성, 비열식품, 맞춤식품 합리적 비용 소비자 target별 맞춤형 식품 소비자 Needs의 변화

  13. 2007 세계식품시장 트랜드

  14. 노령 인구 증가 핵가족화 주5일 근무제 맞벌이/싱글족 증가 프리미엄 지향 삶의 질 지향 성인병/질병 증가 건강에 대한 관심(우려) 증가 소득격차 확대 Self-Indulgence 시간 부족현상 심화 Global Mega Trend Health Pleasure Convenience * 식품산업의 전략적 상품개발 임 재 각(한국산업기술대학)

  15. Trend Selection Trends 웰빙 위생 우리가 좀더 관심을 기울여야 할 부분은 … 가정 웰빙 1st 퓨전 개인적 위생 2nd 고급화 독특함 관능 * 식품산업의 전략적 상품개발 임 재 각(한국산업기술대학)

  16. 상품개발의 개념 상품컨셉 구입 전에 갖고 싶다고 생각하게 하는 힘 상품력 구입 후에 잘 샀다고 생각하게 하는 힘 상품효용가치 [소비자의 요구나 만족]의 연구가 불가결함 * 식품산업의 전략적 상품개발 임 재 각(한국산업기술대학)

  17. C/P Balance이론의 개념도 구성 요소 소비자 행동 소비자 심리 팔리는(힘을 가진) 상품 구입 전에 갖고 싶다고 생각하게 하는 힘(내용) 상품 Concept (C) NEEDS Trial 상 품 력 Repeat 상품 Performance (P) 만 족 구입 후에 잘 샀다고 생각하게 하는 힘(내용) 口傳廣告 【기업과 소비자의 접점】 【 기 업 측】 【 소 비 자 측】 *식품산업의 전략적 상품개발임 재 각(한국산업기술대학)

  18. 신제품 개발 Point2 신제품개발에 대한 인식 ☞신제품 개발성과는 신제품 개발부문의 책임이다 ☞신제품의 성패여부는 실제 판매해보지 않고서는 알 수 없다 ☞신제품의 개발성패는 상품력, 마케팅력, 판매력의 효율적 통합에 있다 ☞신제품의 성패여부와 판매예측은 사전에 투자가 된다면 예측가능성과 신뢰성은 커진다 * 식품산업의 전략적 상품개발 임 재 각(한국산업기술대학)

  19. 신제품 개발 Point3 개발 비용에 대한 인식 개발실패비용 Market 실패비용 ◆ 생산비용 ◆ 마케팅비용 ◆ 영업비용 ◆ 유통업체 신뢰도 하락 ◆ 소비자 신뢰도 하락 ◆연구개발비 ◆ 조사비용 * 식품산업의 전략적 상품개발 임 재 각(한국산업기술대학)

  20. 신제품 성공 확률을 높이려면… • 소비자 이해의 깊이 추구 • Target소비자를 아는 방법이 중요 • Consumer U&A조사의 중요성 • 소비자 Need를 찾고 Want를 찾아야 • 소비자 시각에서 시장세분화가 필요 • 철저한 사전조사 및 Test • -개발비용보다 조사비용 • 창의적 상품개발 • -Me too상품, Renewal상품보다 • Only one 상품 상품Concept 상품Performance R&D 투자비중 * 식품산업의 전략적 상품개발 임 재 각(한국산업기술대학)

More Rel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