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21

Kompsat-1 EOC 영상을 이용한 남극의 SSM/I 와 AMSR-E 해빙 면적비 비교 분석

Kompsat-1 EOC 영상을 이용한 남극의 SSM/I 와 AMSR-E 해빙 면적비 비교 분석. 한향선 , 이훈열 강원대학교 지구물리학과 imakdong@kangwon.ac.kr. 강원대학교 지구물리학과. 주요 연구 내용. 2005 년 9-11 월 남극 해빙의 Kompsat-1 EOC 영상 촬영 감독분류 방법을 이용한 EOC 해빙 면적비 (Sea Ice Concentration) 산출 EOC 와 SSM/I, AMSR-E 해빙 면적비의 비교

kylee
Download Presentation

Kompsat-1 EOC 영상을 이용한 남극의 SSM/I 와 AMSR-E 해빙 면적비 비교 분석

An Image/Link below is provided (as is) to download presentation Download Policy: Content on the Website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and may not be sold / licensed / shared on other websites without getting consent from its author. Content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only. Download presentation by click this link. While downloading, if for some reason you are not able to download a presentation, the publisher may have deleted the file from their server. During download, if you can't get a presentation, the file might be deleted by the publisher.

E N D

Presentation Transcript


  1. Kompsat-1 EOC 영상을 이용한 남극의 SSM/I와 AMSR-E 해빙 면적비 비교 분석 한향선, 이훈열 강원대학교 지구물리학과 imakdong@kangwon.ac.kr

  2. 강원대학교 지구물리학과 주요 연구 내용 • 2005년 9-11월 남극 해빙의 Kompsat-1 EOC 영상 촬영 • 감독분류 방법을 이용한 EOC 해빙 면적비 (Sea Ice Concentration) 산출 • EOC와 SSM/I, AMSR-E 해빙 면적비의 비교 • SSM/I와 AMSR-E 해빙 면적비가 반영하는 해빙 유형 확인 • SSM/I와 AMSR-E 해빙 면적비 차이의 원인 분석

  3. 강원대학교 지구물리학과 Introduction - 극지 연구의 중요성 • 극지 환경은 전지구적 환경변화에 민감 • 극빙의 증가 및 감소는 지구온난화 진행의 지표로 작용 • 현재 전세계적인 기상이변의 발생과 더불어 극지 환경에 대한 관심 증가WMO 2007년 TOPIC - “극지방 기상” • 지역적, 환경적 특성상 인공위성 원격탐사가 효과적 • 1970년대부터 수동 마이크로파 (Passive Microwave) 센서를 이용한 극빙 관찰 시작

  4. 강원대학교 지구물리학과 Introduction - 극빙 원격탐사 • 수동 마이크로파 센서(SSM/I, AMSR-E) • 극지 표면의 전체적이고 연속적인 데이터 제공 • 취약한 공간 해상도 (수십 km) • 해빙 면적비의 검증 및 보정 필요 • SAR 영상 및 중저해상도 광학영상 • SAR: New ice와 Young ice의 구별 모호 • Landsat: 극지방 촬영계획 제한 • MODIS, AVHRR: 저해상도 • Kompsat-1 EOC • 6.6m 고해상도 • Panchromatic 영상 활용성 증대 • 특수한 촬영 목적에 따른 위성 운용 원활 • 우리나라 인공위성 • 2005년 SSM/I와 비교연구 수행 (2006년 춘계원격탐사학회 발표)

  5. Sea Ice Ocean or Land 강원대학교 지구물리학과 해빙 면적비 (Sea Ice Concentration) • Sea Ice Concentration • 일정 면적 내에서 해빙이 분포하는 면적의 비율 • 두께 및 표면 성질 포함 전체 면적: 100km2 Sea Ice 면적: 30km2 Ocean 또는 Land 면적: 70km2 Sea Ice Concentration: 30% Threshold: 15%

  6. 강원대학교 지구물리학과 Ice Types 연령, 형태, 두께에 따라 분류 (WMO, 1970) • Multi-year ice: 여름에 녹지 않은 해빙 (3m 이상) • First-year ice: 겨울에 얼었으나 여름에 녹는 해빙 (30cm-2m) • Young ice: White nilas, Grey-white ice 등 (10-30cm) • New ice: Nilas, Grease ice, Pancake ice 등 (10cm 이하) 남극의 경우 • Ice type A: Multi-year ice와 유사 • Ice type B: First-year ice와 유사

  7. A B C 강원대학교 지구물리학과 Kompsat-1 EOC 영상 • 2005년 9-11월 남극대륙 가장자리 해빙 촬영 • 해빙이 절정을 이루었다가 서서히 감소하는 봄철에 해당 • 총 11개 궤도 676 영상 획득 • 4개 궤도 68개 영상 사용 • A: 9월 25일, 11월 4일 • B: 10월 5일, 10월 8일 • MODIS 영상을 이용하여 기하보정 남극 (2005. 10. 05) 7900kmⅹ8300km

  8. 강원대학교 지구물리학과 Kompsat-1 EOC 영상 • 2005년 10월 5일 • EOC 해빙 면적비: 99% • SSM/I 해빙 면적비: 98% • AMSR-E 해빙 면적비: 100% • 대부분의 해빙 표면에 눈이 쌓인 것이 관찰 • 폭이 좁은 crack과 lead 관찰 • Crack과 lead 사이에 얇은 해빙 존재 17.4kmⅹ18.7km

  9. W D G O 강원대학교 지구물리학과 EOC 해빙 면적비 산출 • 감독분류 방법을 이용한 해빙 유형 분류 • W: White ice • G: Grey ice • D: Dark-grey ice • O: Ocean (Open water) • W ≈ Ice Type A and B • G ≈ Young ice • D ≈ New ice 2.2 kmⅹ2.2 km

  10. 강원대학교 지구물리학과 Passive Microwave Sensors • SSM/I (Special Sensor Microwave/Imager) • 1987 to present • 4개 주파수(19.35, 22.235, 37.0, 85.0GHz) • 7개 채널(19.35H/V, 22.235V, 37.0H/V, 85.0H/V) • AMSR-E (Advanced Microwave Scanning Radiometer-Earth Observing System) • 2002 to present • 6개 주파수(6.9, 10.7, 18.7, 23.8, 36.5, 89.0GHz) • 12개 채널(6.9H/V, 10.7H/V, 18.7H/V, 23.8H/V, 36.5H/V, 89.0H/V) • 해빙의 복사세기를 측정하여 해빙 면적비 계산 • SSM/I: NASA Team Algorithm (NT) • AMSR-E: NASA Team2 Algorithm (NT2)

  11. 강원대학교 지구물리학과 SSM/I NASA Team Algorithm (http://nsidc.org/data/docs/daac/nasateam/index.html) • 19.35H/V, 37.0V 채널 이용 • PR (Polarization Ratio)과 GR (Spectral Gradient Ratio) 계산을 통해 해빙 면적비 산출 • 표면 유형의 분류 • 북극: Multi-year ice, First-year ice, Open water • 남극: Ice type A, Ice type B, Open water • 장점 및 단점 • PR, GR을 사용하여 해빙 표면온도 변화에 따른 영향을 최소화 • Ice type A와 B (M과 F) 이외의 해빙 유형 구분 불가능 • 계절적이고 지역적인 해빙 방사율 변화에 따른 오차 • Ice edge에서의 오차 발생

  12. 강원대학교 지구물리학과 AMSR-E NASA Team2 Algorithm (Markus and Cavalieri, 2000) • 18.7H/V, 36.5V, 89.0H/V 채널 사용 • PRR(Rotated PR), GR, △GR을 계산하여 해빙 면적비 산출 • 표면 유형의 분류 • 북극: Multi-year ice, First-year ice, Ice type C, Open water • 남극: Ice type A, Ice type B, Ice type C, Open water • 89.0H 채널을 통해 18.7H 채널의 민감도 문제 해결 • △GR을 통해 표면 영향이 심하여 (물이 고이거나 불균질한 상태) 면적비가 과소측정 되었던 해빙 유형 고려 → Ice type C

  13. 공간 시간 강원대학교 지구물리학과 SSM/I와 AMSR-E 해빙 면적비 산출 • SSM/I NT 해빙 면적비 (25km)와 AMSR-E NT2 해빙 면적비 (12.5km) • EOC 영상의 촬영일자 및 위치에 해당하는 해빙 면적비 추출 • EOC 영상 촬영 날짜 및 전후 날짜의 cubic pixel에 대한 해빙 면적비 추출 및 표준편차 산출 • 해빙의 시공간적 불안정성의 지표 Passive Microwave cubic pixel

  14. 강원대학교 지구물리학과 EOC와 SSM/I NT 해빙 면적비 비교 Black data points: 수동 마이크로파 cubic pixel의 표준편차≤2.5% White data points: 수동 마이크로파 cubic pixel의 표준편차≥2.5% NASA Team Algorithm으로 계산된 SSM/I 해빙 면적비는 White ice와 Grey ice를 반영하며, Dark-grey ice는 포함하지 않음

  15. 강원대학교 지구물리학과 EOC와 AMSR-E NT2 해빙 면적비 비교 Black data points: 수동 마이크로파 cubic pixel의 표준편차≤2.5% White data points: 수동 마이크로파 cubic pixel의 표준편차≥2.5% NASA Team2 Algorithm으로 계산된 AMSR-E 해빙 면적비는 White ice와 Grey ice, Dark-grey ice를 모두 반영

  16. 강원대학교 지구물리학과 AMSR-E와 SSM/I 해빙 면적비의 차이 • AMSR-E NT2 해빙 면적비가 SSM/I NT 해빙 면적비보다 대체로 높음 • 서로 다른 해빙 면적비 알고리즘 사용에 기인 • AMSR-E NT2는 Ice type C를 추가로 고려 • (AMSR-E – SSM/I) 해빙 면적비와 EOC G, G+D, D 면적비 비교

  17. 강원대학교 지구물리학과 Dark-grey ice의 영향 • Dark-grey ice의 면적비가 증가할수록 AMSR-E와 SSM/I 해빙 면적비 차이가 증가 • 대부분의 EOC 영상에서 Dark-grey ice의 면적비가 클수록 AMSR-E와 SSM/I 해빙 면적비의 차이가 커짐을 확인

  18. 강원대학교 지구물리학과 Dark-grey ice의 영향 W: 51.8%, G: 29.0%, D: 13.0% Total: 93.8% AMSR-E: 89%, SSM/I: 80% AMSR-E – SSM/I: 9% W: 97.4%, G: 1.0%, D: 0.5% Total: 98.9% AMSR-E: 98%, SSM/I: 96% AMSR-E – SSM/I: 2%

  19. 강원대학교 지구물리학과 Dark-grey ice와 Ice type C • Ice type C • 균질하지 않고 복잡한 산란 특성을 가지는 표면 • 실제보다 면적비가 작게 계산 • 얇은 해빙과 유사한 특성 • Dark-grey ice • 얇은 두께를 가질 것으로 추정 • 수분과 얼음 결정이 혼합된 표면 • Dark-grey ice ≈ Ice type C

  20. 강원대학교 지구물리학과 Conclusion • 남극의 봄철 EOC 해빙 면적비를 SSM/I NT, AMSR-E NT2 해빙 면적비와 각각 비교 • SSM/I NT 해빙 면적비는 White ice와 Grey ice만을 반영하며, AMSR-E NT2 해빙 면적비는 Dark-grey ice도 반영 • Dark-grey ice가 많이 존재할수록 AMSR-E와 SSM/I 해빙 면적비의 차이가 증가 • Dark-grey ice와 Ice type C가 서로 유사함을 추정 • 현장자료의 부재로 인해 정확한 해빙 유형의 분류가 어려웠으나 고해상도의 EOC 영상으로부터 SSM/I와 AMSR-E 해빙 면적비의 서로 다른 특성 평가 • 향후 보다 정밀한 수동 마이크로파 해빙 면적비의 분석 및 보정을 위해 다양한 계절 및 지역에 대한 현장관측과 고해상도 광학영상 및 SAR 영상의 촬영 요구

  21. 감사합니다.

More Rel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