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31

임상진료지침개발에 활용되는 체계적 검토 방법론

임상진료지침개발에 활용되는 체계적 검토 방법론. 2005.06.10 국립암센터 국가암관리사업지원연구단 이 희 영. 내 용. 근거의 검색 체계적 근거 검색의 중요성 검색 전략의 결정 검색 방법과 사례 근거 검색시 유의사항   근거의 평가 근거 평가의 이유 근거 평가 도구 임상진료지침의 질 평가 체계적 고찰의 질 평가 RCT 연구의 질 평가 근거평가시 유의사항 근거의 종합 근거의 종합 근거수준의 결정   . 근거의 검색 체계적 근거검색의 중요성.

koto
Download Presentation

임상진료지침개발에 활용되는 체계적 검토 방법론

An Image/Link below is provided (as is) to download presentation Download Policy: Content on the Website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and may not be sold / licensed / shared on other websites without getting consent from its author. Content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only. Download presentation by click this link. While downloading, if for some reason you are not able to download a presentation, the publisher may have deleted the file from their server. During download, if you can't get a presentation, the file might be deleted by the publisher.

E N D

Presentation Transcript


  1. 임상진료지침개발에 활용되는체계적 검토 방법론 2005.06.10 국립암센터 국가암관리사업지원연구단 이 희 영

  2. 내 용 • 근거의 검색 • 체계적 근거 검색의 중요성 • 검색 전략의 결정 • 검색 방법과 사례 • 근거 검색시 유의사항   • 근거의 평가 • 근거 평가의 이유 • 근거 평가 도구 • 임상진료지침의 질 평가 • 체계적 고찰의 질 평가 • RCT연구의 질 평가 • 근거평가시 유의사항 • 근거의 종합 • 근거의 종합 • 근거수준의 결정   

  3. 근거의 검색 체계적 근거검색의 중요성 • 의학관련 근거의 양적 증가 • 인터넷 등을 통한 근거 확산 속도의 증가 • Gap between Evidence and Practice

  4. 근거의 검색 체계적 근거검색의 중요성 • 체계적 근거검색의 특징 • 명확한 질문과 검색전략을 수립하여 진행 • 가능한 가장 포괄적이며 최신의 자료원을 검색 • 출판바이어스나 언어바이어스와 같은 검색의 바이어스를 최소화

  5. 근거의 검색 검색전략의 결정

  6. 근거의 검색 검색전략의 결정 • 민감도와 특이도 결정 • 검색의 범위 • 검색식의 민감도 • 근거의 선택 • 기술적 지원

  7. 근거의 검색 검색전략의 결정

  8. 근거의 검색 검색전략의 결정

  9. 검색사례 1 – 골관절염 약물치료

  10. 근거의 검색 검색 방법과 사례 • 검색전략 • 기획팀에서 문헌검색과 정리를 담당하였으며, 필요시 임상팀의 자문을 받아 문헌검색을 시행함. • 최대한 민감한(Maximally sensitive) 검색전략을 선택하였고, COSI(Core Standard Ideal) 중 Core를 EMBASE, PUBMED, CCTR과 국내문헌으로 결정하여 수행하였음. • 핵심질문 설정 전까지 1, 2단계를 수행하였고 문헌평가 전까지 3, 4단계 수행문헌 선택함. 문헌은 2인이 중복해서 체크하여 선택함. 진료지침은 진료지침을 제공하는 GIN 및 NGC 등을 검색하였으며, 각단계 검색 전략은 다음과 같음.

  11. 근거의 검색 검색 방법과 사례 • 검색방법 • 1단계 임상진료지침 관련 주요 홈페이지 검색과 전문가 자문을 받아 시행함. • 2단계 - 기간 : 2004.04.18 - 사용한 Database: EMBASE+PUBMED+CCTR - 검색어 In EMBASE+PUBMED ․ #1 'osteoarthritis'/exp AND [review]/lim AND [humans]/li ․ #2 systematic AND [review]/lim AND [humans]/li ․ #1 and #2 

  12. 근거의 검색 검색 방법과 사례 • 3단계 □ 국외문헌 - 기간 : 2004.06.28 - 사용한 Database: : EMBASE+PUBMED+CCTR - 검색어: 선정된 meta의 출판연도를 고려하여 2000년 이후 RCT로 검색 제한함 In EMBASE+PUBMED: 'osteoarthritis'/exp AND [randomized controlled trial]/lim AND [english]/lim AND [humans]/lim AND [2000-2004]/py In CCTR: osteoarthritis.mp. [mp=title, original title, abstract, mesh headings, heading words, keyword]

  13. 근거의 검색 검색 방법과 사례 □ 국내문헌 ◦ Inclusion criteria - 골관절염에 대한 국내연구 혹은 연구대상이 한국인 - 약물치료(우리 연구의 문제목록에 해당되는 내용만) - 연도제한 없음 - Peer reviewed article - 석박사 학위논문제외, 보고서 제외. 저널에 실린 논문만. 저널발행처가 국외인경우도 포함 ◦ 검색전략  - 국회도서관의 소장자료검색에서 국내학술잡지기사색인을 통하여 전체항목에서 검색어를  관절염 혹은 Arthritis 검색함 - Pubmed 에서 검색조건을 affiliation= korea 및 all fields=osteoarthritis • 4단계 선택된 체계적 고찰과 기존 지침의 참고문헌 목록을 중심으로 수기검색 시행

  14. 검색사례 2 – 보완대체의학 근거수준

  15. 검색 전략(1) - 원칙 • CAM 관련 Systematic Review(SR) 나 Randomized Controlled Trial(RCT)을 검색하기 위한 적절한 데이터베이스를 선정하는 것이 필요하며 국내와 국외로 나누어 검토 한다. • 문헌 검색은 민감도를 최대한 높이는 것을 목표로 한다.

  16. 검색 전략(2) - 범위 • 국외 문헌 • PubMed, Embase, SCI, CiNAHL 등 의학/간호학 전반을 포괄하는 데이터베이스, Cochrane 관련 데이터베이스와 CAM 관련 데이터베이스를 검토한다. • 국내 문헌 • KMbase, KoreaMed, RiCH 등 의학/간호학 전문 데이터베이스와 전 학문분야를 포괄하는 KERIS의 Riss4u, 한국학술정보의 KISS, 교보의 DBPIA 등을 검토한다. 국내 문헌의 경우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검색이 가능할지에 대해서 검토하여야 한다. • 데이터베이스 검색을 통한 국내 문헌 검색이 어려운 경우 수기 검색을 수행한다.

  17. 검색 전략(3) - 검색식 • 현재 프로젝트에 맞는 문헌 종류가 체계적 종설과 무작위 대조 연구이고, 필요할 때 관찰 연구(코호트 연구와 환자-대조군 연구)이므로 이를 위한 검색 필터를 선정한다. • 현재 검색 필터를 제공하고 있는 Pubmed, Embase, SIGN(Scottish Intercollegiate Guidelines Network), York UNiversity 등의 검색 필터를 참조하여 적절한 검색 필터를 만든다.

  18. 검색 전략(4) - 검색어 • 각각의 CAM에 대해 가장 적절한 키워드를 선택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과정을 거쳤다. 검색 키워드는 민감도가 높게 검색될 수 있도록 최대한의 동의어, 유사어를 선택하였다. ① 관련 SR을 검색하여, 각 논문에서 선택된 검색어를 참조하였다. ② 통제어휘집(시소러스)의 관련 용어 즉, MeSH(Medline), Emtree(Embase)를 참조하였다. ③ Web에서 이용 가능한 CAM, Herb관련 백과사전을 참조하였는데 많이 사용한 사이트는 다음과 같다. • NCAM : National Center for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 • OCCAM(Office of Cancer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 • Natural.net : Chinese Herbs - Online Guide to Herbs • Herb Med (http://www.herbmed.org) • International Bibliographic Information on Dietary Supplements(IBIDS)

  19. 검색과정

  20. 근거의 검색 검색시 유의사항 • 핵심질문에 맞는 검색전략 수립이 필요 • 국내문헌 검색의 문제점 • 국내 구득 불가 문헌의 문제

  21. 근거의 평가 근거평가의 이유 • 첫째, 지침의 권장사항을 구성하는데 사용할 근거의 최소한의 질적 수준을 보장해야 하기 때문 • 둘째, 근거의 질에 따라 결과가 상이할 수 있으므로, 포함기준으로서의 질평가는 중요 • 셋째, 양질의 근거에 가중치를 두어 해석할 수 있음

  22. 근거의 평가 근거평가 도구

  23. Systems to Rate the Strength Of Scientific Evidence Agency for Healthcare Research and Quality Evidence Report/Technology Assessment Num47 www.ahrq.org

  24. 근거의 평가 임상진료지침의 질 평가 6개 영역 • 23문항 • 4점 척도 • 지침의 범위와 목적(3) • Stake holder의 참여(4) • 개발의 엄격성(7) • 명확성 및 제시내용(4) • 적용성(3) • 출판의 독립성(2) • Overall assessment • User guide AGREE instrument

  25. 근거의 평가 체계적 고찰의 질 평가 • 평가도구 • 평가방법 • 평가의 예

  26. 근거의 평가무작위대조임상시험의 질 평가 • 평가도구 • 평가방법 • 평가의 예

  27. 근거의 평가 근거 평가시 유의사항 • 근거 평가를 위한 교육 및 훈련의 필요성 • 평가도구의 타당도와 신뢰도 평가

  28. 근거의 종합 근거의 종합

  29. 근거의 종합 근거의 종합 • 연구 유형 •  연구의 질 평가결과 •  연구대상의 성격(대상자 수, 연령, 기타 주요 특성) • 측정 혹은 비교하는 중재방안 • 결과를 측정하는 지표 • 측정된 효과의 척도 및 방향 •  연구의 규모 • 불확실성에 대한 측정(신뢰구간. P값) • 연구에서 제기된 특정한 문제들에 대한 언급

  30. 근거의 종합 근거수준의 결정

More Rel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