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7

LG 텔레콤 OSS 관련 주요 이슈

LG 텔레콤 OSS 관련 주요 이슈. 목 차. 이슈 사항 지식 기반 감시 망 장비 예방점검 무선망 품질 분석 체감 통화 품질 개선 장애감시 인프라 개선. 2007 년 4 월 27 일. LG Telecom. I. 이슈 사항. 이슈. 구 분. 특징. 주요 서비스. 감시계. 장애 Message 감시 티켓 처리 지식기반 성능 감시 중계기 감시 부가 서비스 감시. - Core 및 Access 망 실시간 장애 감시

kolton
Download Presentation

LG 텔레콤 OSS 관련 주요 이슈

An Image/Link below is provided (as is) to download presentation Download Policy: Content on the Website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and may not be sold / licensed / shared on other websites without getting consent from its author. Content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only. Download presentation by click this link. While downloading, if for some reason you are not able to download a presentation, the publisher may have deleted the file from their server. During download, if you can't get a presentation, the file might be deleted by the publisher.

E N D

Presentation Transcript


  1. LG텔레콤 OSS 관련 주요 이슈 목 차 • 이슈 사항 • 지식 기반 감시 • 망 장비 예방점검 • 무선망 품질 분석 • 체감 통화 품질 개선 • 장애감시 인프라 개선 2007년 4월 27일 LG Telecom

  2. I. 이슈 사항 이슈 구 분 특징 주요 서비스 감시계 • 장애 Message 감시 • 티켓 처리 • 지식기반 성능 감시 • 중계기 감시 • 부가 서비스 감시 - Core 및 Access망 실시간 장애 감시 - TeMIP Fault Mgmt 기반 자체 개발 Application - 성능통계, CDR의 지표 활용 - 광중계기/RF중계기 서비스 상태 감시 및 제어 - 지능망, 데이터망 등 서비스 감시 • 추론에 의한 예측 알람 발생 • 장비 관리 및 작업 관리 • 망장비 예방 점검 • 고객 민원 처리 • N/W 망설계 • 협력사 업무 지원 관리계 - 망 구축 및 유지보수 - 장애 발생 예방 활동 - 망관련 고객 민원 처리 - 전자 MAP 기반 망 설계 및 최적화 데이터 제공 - 망관리 협력사 업무 지원용 시스템 제공 • 장애 예측 정확도 향상 - 성능, CDR 응용 통계 분석 - RF 데이터 기반 통화 품질 분석 - 체감 통화 품질 인지 목적으로 분석 강화 분석계 • 망통합 통계 분석 (PRISM) • 무선망 품질 분석 (RNES) • 체감 통화 품질 분석 • 정확도 향상 / Rev.A 적용 • 고객 체감 품질 분석 방안 검토 • 자체개발 혹은 패기지 도입 - TeMIP을 활용한 장애 감시 인프라 구축 - Flexibility / Lean 구조 - PDA를 통한 실시간 현장 업무 지원 • 장애 감시 인프라 개선 • 차세대 OSS Architecture • PDA 유지보수 및 제어 Infra

  3. II. 지식 기반 감시  개요 최근 8주간의 성능 통계 데이터로 지식 데이터를 생성하여 실시간 데이터를 비교하여 장비의 성능을 감시  단계별 추진 현황 지식 데이터 감시 • 생성된 지식데이터와 실시간 데이터를 비교하여 감시할 수 있는 기반 마련 및 지식대비 불량 유형별 알람화. ’99년 ~ ’00년 지식데이터 최적화 • 감시 VIEW 최적화를 위해 전체 대상을 표시하는 대신 불량인 국소 위주로 순차적으로 감시 대상으로 리스트함. ’01년 ~ ’02년 알고리즘 강화 • 대상 및 알고리즘 확대 - 데이터서비스 장비 감시 강화, MNP/Overlay 대상 장비 감시, CDMA 1X 대상 장비 감시. ’03년 ~ ’05년  특징 • 기지국 FA/SEC 상태 감시 (전체 기지국에 대해 장애/성능통합감시) • CDR Based 서비스 감시 (CDR기반 착발신,루트 감시) • 호유형별 통계 감시 (교환망, 루트 감시 / 성능트래픽 기반 감시) • 부가망 감시 (AIN, No.7등 주요 Core 장비 감시)  효과 • 시간, 지역적인 특성으로 인한 장비 성능변화에 대해 운영자가 신속히 현상을 파악 • 장애가 직접적으로 발생하지 않는 장비의 상태 수준을 파악할 수 있는 정보 • 장비의 성능에 대해 상시 표준화된 품질수준을 파악 할 수 있는 정보  향후 개선 계획 • 장애 발생 가능성을 추론하여 예측 알람 발생 • 원격 제어를 통한 자가치료 결과를 시스템 지식에 반영.

  4. III. 망장비 예방점검  개요 이상 패턴 분석에 의한 장애 예측점검으로 처리비용 절감할 수 있는 유지보수 체계를 구축  단계별 추진 현황 장애 제로화 ’05年 ’06年 ’07年 ’08年 ’09年 4단계 3단계 장애 예측 점검 고도화 2단계 장애 패턴 분석에 의한 장애 예측 점검 1단계 스케쥴에 의한 주기적 예방점검 수동적 장애처리 운영비용 감축  특징 • 스케쥴링에 의한 점검대상 선정 및 발행 • 장애 발생 패턴을 분석,예측 하여 예방 점검 대상 추출 • 점검Sheet를 통해 배터리, 전원 등 상세 점검 수행 • 예방점검시 이상 발생할 경우 현장조치가 불가하면 유지보수 업체 작업 오더 발행 • 예방점검 처리 결과를 기반으로 차기 스케쥴링에 응용  효과 • 장애 발생 전 점검 처리함으로써 장애 제로화 및 망 품질 향상 • 유지보수 인력의 효율적 운용으로 수탁 비용 절감

  5. IV. 무선망 품질 분석 시스템(RNES)  개요 LGT 전체 가입자 통화 데이터 기반의 기지국 시스템에서 무선 통화 품질 관련 Data를 수집하여 통화 품질과 고객 관리 시스템간 Correlation을 도출하여 고객 통화 품질 분석을 지원.  단계별 추진 현황 전통적 품질 분석 • 성능통계 데이터와 CDR 데이터를 활용한 소통율/완료율/절단율 분석 ’98년 ~ ’02년 • 통화시 발생하는 FER, Rx, Ec 등 RF 데이터를 추출하여 음성 통화 품질에 대한 분석 음성호 품질 분석 (RNES) ’03년 ~ ’04년 • 데이터 서비스 구간별 Throughput 을 측정 데이터호 품질 분석 (DNES) ’04년 ~ ’05년 • 호처리시 발행하는 에러율 분석 Core망 분석 (CNES) ’05년 ~ ’06년  특징 • 무선망 통화 품질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무선 품질 Factor 관리 (FER, PPSMM, PMRM 등) • 가입자 통화 시 Masking Data 추출  효과 • Ec Power와 PPSMM 데이터로 Handoff 발생 현황 분석하여 HandOff 최적화 시 활용 • 장비 외 서비스지역 지반 망품질 상태를 제공 함으로써 통화 품질 불만 고객 응대 및 투자계획 시 활용 • Ec Defect 이상관리를 통해 통화 Coverage 분석 및 최적화 가능  향후 개선 계획 • 무선망 품질에 영향을 주는 요소를 다각적으로 분석하여 무선망 품질 향상에 기여 • Rev.A 망 품질 분석 및 관리에 확대 적용 ※ RNES : Radio Network Engineering System

  6. V. 체감 통화 품질 분석  현재 통화품질 관리 수준 • Core장비 및 기지국 장비 대상 통품 분석 • 기지국 FA/SEC 단위 분석 주 장비 기반 분석 망성능 통계 활용 • Traffic, Fail Reason의 시도수/소통율/완료율/절단율의 통계 활용한 품질 분석 장비 위치 기반 Coverage 추정 • 장비의 위치를 기반으로, 장비별 전파 세기에 따른 Coverage를 추정 옥외 무선 환경 통품 관리 • 도로 및 옥외 기반 통화품질 측정 및 분석  현재 시스템의 한계  개선 방안 • 통화 위치 기반 통품 분석 곤란 • -기지국 장비 위치 기반의 망성능 통계 수집 • 사용자 관점의 Micro 체감 통품 분석 불가 • -Call Setup 시도 단계 측정 곤란 • 망품질과 단말품질에 대한 구분 불가 • 통화 Coverage 설계시 민원에 의존 • 옥내(I/B) 무선 환경 및 음영 지역의 통품 분석 곤란 • -실측정 방법 외 옥내 환경 분석 곤란 • 단말기 내 품질 측정 장치 활용, 혹은 퀄컴 칩 활성화 • -단말기 사용시의 고객 경험 그대로 고객 관점의 서비스 품질 관리. • -망품질 및 단말품질 구분 측정 • -GPS 기반 단말기에 통화품질 상태 측정 S/W를 장착. • MAP 및 지형 데이터 강화 • -음영지역 및 품질저하 지역을 GPS 기반 데이터로 시각적 처리.

  7. HP OV TEMIP Framework Architecture EAI Adapter CORBA Agent Windows GUI Q3 Agent X/Motif GUI Web GUI CLI ORB- Distribution -Dispatching Naming Service Traffic Mgmt Configuration Security Service TeMIP Dictionary Performance Trouble Mgmt Self Management Fault Mgmt Service Activation MIBs ORB- Distribution -Dispatching ASCII / others OSI Q3 SNMP CORBA LGT 운영보전망 LGT 운영보전망 VI. 장애감시 인프라 개선  장애감시 인프라 현황 • 운영 현황 - ’98년 Compaq TeMIP 기반 장애 관리 분산 시스템 구축 • - TeMIP의 Fault Mgmt 외 나머지 주요 기능 자체 개발 • 이슈 사항 - 유지보수 지원 미흡 (’07년 이후 국내 유지보수 조직 철수) • - 대규모 시스템 컴퓨팅 파워 요구 • - LGT 특화된 통합 UI 제공 불가 • - 한글 지원 불가  시스템 구성도 Trouble Ticket 장애 관리 시스템 HP OV TeMIP 운용자 구성 관리 -Ver : OpenView Temip 5.0 -일처리량 : 100,000 여 건 ABAS PLD/Message 장애/구성/MMC/Console WPBX, NGN, EV-DO WPM/IP-BS/CA/MG NGSG, S-IGS 제1본부1X 망 장비 기지국/교환기/Agent (BSC/MSC/HLR/STP) 부가 서비스 장비 Data 서비스 망장비 VMS/TSS/IWF/AUC…. 제2본부1X 망 장비 기지국/교환기/Agent (BSC/MSC/HLR/STP)  개선 계획 • 장애/성능/구성 통합된 유연한 Architecture 구축 • TeMIP의 Fault Mgmt 모듈 자체 개발 방안과 신규 Package 도입 방안을 고려하고 있음

More Rel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