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10

응급 처치 - 근육 골격계 손상의 증상 및 응급처치법 -

응급 처치 - 근육 골격계 손상의 증상 및 응급처치법 -. ■ 골절. 정의 : 뼈가 부러지거나 파괴된 상태 종류 : ① 개방성 골절 : 뼈가 골절 되면서 주변의 피부 등을 뚫고 튀어나 온 것 ② 폐쇄성 골절 3. 응급 처치 : ① 부상이 의심되는 신체부위를 옮기거나 움직이지 말고 부상 부위 골절 여부 확인 ② 얼음 찜질 등을 통해 상처부위 통증을 감소 시키고 필요 시

kohana
Download Presentation

응급 처치 - 근육 골격계 손상의 증상 및 응급처치법 -

An Image/Link below is provided (as is) to download presentation Download Policy: Content on the Website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and may not be sold / licensed / shared on other websites without getting consent from its author. Content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only. Download presentation by click this link. While downloading, if for some reason you are not able to download a presentation, the publisher may have deleted the file from their server. During download, if you can't get a presentation, the file might be deleted by the publisher.

E N D

Presentation Transcript


  1. 응급 처치-근육 골격계 손상의 증상 및 응급처치법-

  2. ■골절 • 정의 : 뼈가 부러지거나 파괴된 상태 • 종류: ①개방성 골절: 뼈가 골절 되면서 주변의 피부 등을 뚫고 튀어나 온 것 • ②폐쇄성 골절 • 3. 응급 처치: ①부상이 의심되는 신체부위를 옮기거나 움직이지 말고 부상 • 부위 골절 여부 확인 • ②얼음 찜질 등을 통해 상처부위 통증을 감소 시키고 필요 시 • FAK 안의 압박붕대 및 평평하고 빳빳한 것을 부목 대용으로 • 이용하여 골절 처치 함. • ③ 단, 뼈가 피부를 뚫고 나오는 개방성 골절에는 절대 • 얼음찜질을 하지 않는다. PA (EVAC. HORN) ↓ MEGAPHONE ↓ SHOUTING INTERPHONE ALL CALL 3회

  3. ■ 탈구 • 정의 : 뼈가 정상 위치를 이탈했거나 분리된 상태. • 증상: ①심한 통증 유발 • ② 관절의 모양이 변하고 붓는다. • 3. 응급 처치: ①부상이 의심되는 신체부위를 옮기거나 움직이지 말고 부상 • 부위 골절 여부 확인 • ②얼음 찜질 등을 통해 상처부위 통증을 감소 시키고 필요 시 • FAK 안의 압박붕대 및 평평하고 빳빳한 것을 부목 대용으로 • 이용하여 골절 처치 함 • ③비상시가 아니면 의료인이 아닌 사람이 탈구를 바로 잡으려 • 해서는 안됨. • ④탈구로 오는 쇼크(충격)에 대한 응급 처치도 • 필요함. PA (EVAC. HORN) ↓ MEGAPHONE ↓ SHOUTING INTERPHONE ALL CALL 3회

  4. ■염좌 1.정의: 인대 등 관절 조직이 일부 또는 전체적으로 파열된 상태 (일반적으로삐끗한 상태를 말함) 2. 증상: ①손상과 동시에 아프고 붓기 시작함. ② 부상 부위를 움직이면 통증이 심화됨 3. 응급처치: ①손목- FAK내의 붕대 사용하여 팔걸이를 만들어 고정 ②발목- 옷이나 베게 등을 염좌 부위 아래에 두어 부상 부위를 높이고 환자를 안정 시킴 ③전문적인 치료를 받을 때 까지 상처 부위에 찬물 찜질 함. ④염좌 부위가 움직이지 않도록 함.(이동 삼가 해야 함 ) ⑤발목 염좌 부상자는 되도록 걷지 않는 것이 좋으며 가능한 빨리 전문적인 치료 요함. PA (EVAC. HORN) ↓ MEGAPHONE ↓ SHOUTING INTERPHONE ALL CALL 3회

  5. ■좌상 (근염좌) 1.정의: 근육이나 건 섬유가 비정상적으로 늘어나거나 찢어진 것 (근육을 너무 심하게 사용하거나 갑작스러운 움직임으로 발생) 2. 증상: ①관절 사이의 통증, 부종 발생 3. 응급처치: ①염좌 처치법과 동일 ②부상 부위 안정 및 냉찜질 PA (EVAC. HORN) ↓ MEGAPHONE ↓ SHOUTING INTERPHONE ALL CALL 3회

  6. ■응급 처치 주의 사항 • 골절, 탈구, 염좌, 좌상을 정확히 구분하기 어려움 • 부종 및 통증 동반하므로 냉찜질 실시. • 전문 의료인을 기다리는 동안 환자를 움직이지 않는 것이 원칙! • 피가 난다면 지혈이 가장 우선임. • 손상으로 인한 쇼크(충격) 발생 예방 • 환자의 움직임이 반드시 필요하다면 움직이기 전에 부목 및 붕대로 고정 필요 PA (EVAC. HORN) ↓ MEGAPHONE ↓ SHOUTING INTERPHONE ALL CALL 3회

  7. ■냉찜질과 온찜질 PA (EVAC. HORN) ↓ MEGAPHONE ↓ SHOUTING INTERPHONE ALL CALL 3회

  8. ■얼음찜질 주의 사항 • 얼음을 주머니에 넣거나 수건 또는 옷으로 싸서 이용 • 찬물에 적셔 냉찜질을 할 경우에는 물방울이 떨어질 정도로 적시지 않는다. • 상처부위는 10분 간격으로 찜질 후 확인 한다. • 젖은 천을 사용시에는 다시 차갑게 적셔 사용 • 냉찜질 시 상처부위가 벌겋거나 고통스럽게 차갑다면 냉찜질을 제거한다. • <기내의 경우> • 얼음이 없기 때문에 차가운 생수를 페이퍼 타올등에 적셔 찜질함. • 매우 차갑지 않기 떄문에 자주 교체하여 통증이 완화될 수 있도록 도움. • 적신 페이퍼 타올에 물기가 떨어지지 않도록 함. • 골절이 의심된다면 신문지, 기내지, 담요, 베게 등을 이용하여 부목으로 • 사용하고 FAK내의 붕대로 손상 부위를 고정시킴. • 환자가 안정을 취할 수 있도록 하며, 환자의 움직임을 최대한 자제함. • 냉찜질의 경우 환자의 체온 확인 및 쇼크 예방에 힘씀. PA (EVAC. HORN) ↓ MEGAPHONE ↓ SHOUTING INTERPHONE ALL CALL 3회

  9. ■기내에서의 응급처치 • <기내의 경우> • 기내에서 발생하는 염좌, 타박상(멍)등은 발생 24시간 이내의 손상이므로 냉찜질을 하여 통증 및 부종 완화 시킴. • 얼음이 없기 때문에 차가운 생수를 페이퍼 타올 등에 적셔 찜질함. • 매우 차갑지 않기 때문에 자주 교체하여 통증이 완화될 수 있도록 도움. • 차가운 물에 적신 페이퍼 타올에 물기가 떨어지지 않도록 함. • 손상부위에 골절이 의심된다면 신문지, 기내지, 담요, 베게 등을 이용하여 부목으로사용하고 FAK내의 붕대로 손상 부위를 고정시킴. • 환자가 안정을 취할 수 있도록 하며, 환자의 움직임을 최대한 자제함. • 냉찜질의 경우 환자의 체온 확인 및 쇼크 예방에 힘씀. PA (EVAC. HORN) ↓ MEGAPHONE ↓ SHOUTING INTERPHONE ALL CALL 3회

  10. 수고 하셨습니다!

More Rel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