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0 likes | 456 Views
단기 표준편차. 장기 표준편차. 단기능력 (St). 잠재 최대능력. 단기 공정능력 ( 군내 ). 장기능력 (Lt). 장기 최대능력. 장기 공정능력 ( 군간 ). 공정능력지수 분석사례 ( 사출 제품 ). 개발 시 양산조건에서 샘플 작업을 하여 공정능력을 산출 하고 (Cpk), 과거의 유사 제품의 Shift 를 반영하여 보면 양산 시 추정 불량률을 파악할 수 있으며 , 양산 추정불량률을 목표 불량률과 비교하여 양산 이관 여부를 결정하면 될 것입니다.
E N D
단기 표준편차 장기 표준편차 단기능력(St) 잠재 최대능력 단기 공정능력(군내) 장기능력(Lt) 장기 최대능력 장기 공정능력(군간) 공정능력지수 분석사례(사출 제품) 개발 시 양산조건에서 샘플 작업을 하여 공정능력을 산출 하고(Cpk), 과거의 유사 제품의 Shift를 반영하여 보면양산 시 추정 불량률을 파악할 수 있으며, 양산 추정불량률을 목표 불량률과 비교하여 양산 이관 여부를 결정하면될 것입니다. ♣중심의 변동(Shift)은 관리수준의 척도6σ이론에서 장기적으로 DATA의 평균이 1.5 σ Shift(중심의 변동) 된다고 하였는데이 회사는 3.51σ Shift 되고 있음(관리부실)σ Shift 정도 산출 =(Cpk-Ppk)×3 (단기추정불량률) (장기추정불량률) (실제불량률) 단기 능력은 기술력을 나타내고, 장기 능력은 실제 능력으로 공정의 관리수준을 파악할 수 있다. 이 회사의 경우, 설계상으로는 문제가 전혀 없으나(Cpk=1.68), 생산부서에서 사출 조건을 임의로 조정하여 장기능력(Ppk=0.51)이 매우 나빠져 불량이 발생 되었는데, 대책을 확인해 본 결과 임시로 Cavity 4개 중 1개를 막고 생산(생산성 25%↓) 하였으며, 또 금형을 내려서 금형수정까지 하였음(생산부서장이 금형문제라고 강력히 주장):조건을 생산과장이 조정하는데, 기록이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