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0 likes | 457 Views
제 10 장 총괄계획. 1. 총괄계획의 중요 개념 2. 총괄계획 전략 3. 총괄계획 비용 4. 총괄계획 기법. ■ 총괄계획의 정의 - 총괄계획이란 향후 약 1 년 (12 개월 ) 에 걸친 계획대상기간 동안 변화하는 수요를 가장 경제적으로 충족시킬 수 있도록 월별로 기업의 전반적인 생산수준 , 고용수준 , 잔업수준 , 하청수준 , 재고수준 등을 결정하는 중기계획 ■ 총괄계획은 - 수요를 충족시켜야 하며 , - 중기에는 사실상 고정되어 있는 생산설비의 생산능력
E N D
제10장 총괄계획 1. 총괄계획의 중요 개념 2. 총괄계획 전략 3. 총괄계획 비용 4. 총괄계획 기법
■ 총괄계획의 정의 - 총괄계획이란 향후 약 1년(12개월)에 걸친 계획대상기간 동안 변화하는 수요를 가장 경제적으로 충족시킬 수 있도록 월별로 기업의 전반적인 생산수준, 고용수준, 잔업수준, 하청수준, 재고수준 등을 결정하는 중기계획 ■ 총괄계획은 - 수요를 충족시켜야 하며, - 중기에는 사실상 고정되어 있는 생산설비의 생산능력 범위 내에서 이루어져야 하고, - 기업정책에 부합해야 하며, - 관련비용이 최소가 되도록 수립되어야 함. 제10장 총괄계획
1. 총괄계획의 중요 개념 (1) 생산의 총괄단위 ■ 총괄계획은 기업이 생산하는 여러 제품을 총괄할 수 있는 공통의 산출단위, 즉 총괄생산단위에 입각하여 수립됨. - 예:석유산업의 배럴(barrel), 철강산업의 톤(ton) - 생산량이나 매출량을 공통의 측정단위에 의해 쉽게 총괄할 수 없는 경우에는 금액단위, 노동단위, 기계시간 등을 총괄단위로 사용 - 전체 제품을 총괄할 수 있는 공통의 단일 산출단위를 발견하기가 어려운 경우에는 제품그룹별로 총괄단위를 설정할 수도 있음. ■ 총괄생산단위를 사용하면 수요예측을 보다 용이하고 정확하게 할 수 있으며, 계획수립과정을 보다 단순화 시킬 수 있음. 제10장 총괄계획
(2) 생산 평활(생산 평준화) ■ 생산 평활의 개념 - 기업은 수요변동에도 불구하고 전반적인 생산수준은 안정적으로 유지하려고 하는 경향이 있음. - 생산평활 또는 생산 평준화란 전반적인 생산수준의 급격한 변동을 피하고자 하는 것임. ■ 생산수준의 변동으로 인한 비용 - 잔업비용, 유휴시간비용, 가동 시작 및 중지 비용, 채용 및 해고비용 등 ■ 생산 평활을 위한 방법 - 재고 이용:재고유지비용 발생 - 수요패턴의 조정:비수기에 판촉활동(sale:판촉비용) 성수기에 추후납품정책(추후납품비용) ■ 총괄계획은 생산수준의 변동으로 인한 비용과 생산수준의 변동을 회피하기 위한 비용간의 상충관계를 고려하여 수립 제10장 총괄계획
2. 총괄계획 전략 ■ 총괄계획에서 수요변화에 대처하기 위해 사용되는 변수 - 채용과 해고를 통한 고용수준의 조정 - 잔업과 유휴시간에 의한 작업시간의 조정 - 재고 및 추후납품 - 하청 ■ 순수전략과 혼합전략 - 순수전략:하나의 변수만을 사용하여 수요변동을 흡수 - 혼합전략:두 개 이상의 변수를 혼합 사용하여 수요변동을 흡수 제10장 총괄계획
3. 총괄계획 비용 ■ 채용비용과 해고비용 - 채용비용:모집비용, 선발비용, 교육훈련비용 등 - 해고비용:퇴직수당과 같은 해고와 관련된 제반비용 ■ 잔업비용과 유휴시간비용 - 잔업비용:정규작업시간을 초과하여 작업할 때 정규임금 이상으로 지불되는 비용 - 유휴시간비용:정규작업시간 이하로 공장을 가동할 때 발생하는 유휴시간에 대해 지불된 임금 ■ 재고유지비용 - 재고에 묶여 있는 자본에 대한 기회비용 - 보관비용, 보험료, 보관 중의 손실, 진부화비용 등 제10장 총괄계획
■ 재고부족비용 - 품절비용:이익 상실 기회비용 + 신용 상실로 인한 미래 손실 - 추후납품비용:생산독촉비용, 가격할인, 신용상실비용 등 납품의 지연으로 인한 제 비용 ■ 하청비용 4. 총괄계획 기법 (1) 도시법(대안평가법) ■ 도시법이란? - 도시법이란 도표를 이용하여 총괄계획의 여러 가지 대안을 개발한 다음 이들의 총비용을 계산·비교하여 최선의 대안을 선택하는 기법 제10장 총괄계획
■ 예 제 - 향후 6개월간의 월별 수요예측치와 정규작업일수 - 1월초 재고 = 500단위 - 6월말 요구 재고수준 = 500단위 - 회사정책상 잔업은 금지:1일 작업시간 = 8시간 - 1월초 고용인력 = 35명 제10장 총괄계획
■ 대안의 개발 - 대안 1:고용수준을 변동시켜 매월 정확하게 생산소요량 만큼 생산 - 대안 2:생산율은 작업일 1일당 평균소요량 수준으로 일정 하게 유지하고, 고용수준도 여기에 맞추어 일정 하게 유지;수요변동은 재고와 추후납품으로 흡수 - 대안 3:생산율은 4월의 최저 생산소요량을 만족시키는 수준으로 일정하게 유지하고, 고용수준도 여기에 맞추어 일정하게 유지;추가소요량은 하청 제10장 총괄계획
■ 생산소요량과 각 대안의 누적도표 34 34 30 재고 30 누적생산소요량과 대안 1 누적수량 (천단위) 25 25 20 20 대안 2 재고부족 (추후납품) 15 15 하청 10 대안 3 10 5 5 125 0 20 40 60 80 100 120 누적작업일수 제10장 총괄계획
■ 관련비용 및 기타 자료 - 제조비용(노무비 제외)=5,000원/단위 - 재고유지비용=50원/단위·월 - 추후납품비용=100원/단위·월 - 하청비용=1,500원/단위(하청업체에게 지불되는 단위당 6,500원에서 자체 생산 시 소요되는 단위당 제조비용 5,000원을 뺀 차액) - 채용비용=30,000원/1인 - 해고비용=50,000원/1인 - 정규임금=1,000원/시간 - 단위당 소요작업시간=1시간/단위 제10장 총괄계획
■ 대안 1의 평가 - 월간 고용수준 =월간 소요작업시간÷종업원 1인당 월간 작업시간 =(월간 생산소요량×1시간)÷(월간 작업일수×8시간) - 대안 1의 총괄계획비용 (금액단위:천원)
■ 대안 2의 평가 - 대안 2의 일정한 고용수준 =(총생산소요량×단위당 소요작업시간)÷(총작업일수×8시간) =(34,000×1)÷(125×8) =34명 - 대안 2의 총괄계획비용 (금액단위:천원) * 현재의 고용인원 35명을 34명 수준으로 맞추기 위한 1월초 1명의 해고비용
■ 대안 3의 평가 - 대안 3의 일정한 고용수준 =(4월의 생산소요량×단위당 소요작업시간) ÷ (4월의 작업일수×8시간) =(4,800×1)÷(20×8) =30명 - 대안 3의 총괄계획비용 (금액단위:천원) * 현재의 고용인원 35명을 30명 수준으로 맞추기 위한 1월초 5명의 해고비용
■ 세 가지 대안의 총비용 비교 (단위:천원) 제10장 총괄계획
(2) 선형계획모형 ■ 결정변수 Rt=기간 t의 정규고용수준 Ot=기간 t의 잔업량 Ht=기간 t의 채용량 Ft=기간 t의 해고량 St=기간 t의 하청량 It=기간 t말 재고량 Pt=하청량을 포함한 기간 t의 총산출량 ■ 비용 및 기타 관련자료 CR=단위당 정규임금 C0=단위당 잔업비용 Cs=단위당 하청비용(하청업체에게 지불되는 단위당 금액에서 자체 생산시 소요되는 단위당 제조비용(노무비 제외)을 뺀 차액) CH=단위당 채용비용 CF=단위당 해고비용 CI=단위당 기간당 재고유지비용 Dt=기간 t의 수요 a=정규고용수준에 대한 최대잔업가능비율 제10장 총괄계획
■ 모형 목적함수:최소화(Minimize) 총비용(TC) 제약조건: ① 정규노동력 Rt-1+Ht-Ft=Rt, t=1,2,……,T R0=현재의 정규고용수준 RT=계획기간말에 요구되는 정규고용수준 0≤Ht≤최대채용가능량, t=1,2,……,T 0≤Ft≤최대해고가능량, t=1,2,……,T ② 산출량 Pt=Rt+Ot+St, t=1,2,……,T 0≤Ot≤aRt, t=1,2,……,T 0≤St≤최대하청가능량, t=1,2,……,T ③ 재고수준 It-1+Pt-It=Dt, t=1,2,……,T 최소요구재고량≤It≤최대재고가능량, t=1,2,……,T I0=현재의 재고수준 IT=계획기간말에 요구되는 재고수준 ④ 모든 결정변수≥0 제10장 총괄계획
(3) 수송모형 ■ 가정:고용수준을 일정하게 유지하고 채용과 해고가 없음 ■ 기호의 정의 Rt=기간 t의 정규작업에 의한 생산능력 Ot=기간 t의 잔업에 의한 생산능력 St=기간 t의 하청가능량 Dt=기간 t의 수요량 I0=기초재고량 I3=기간 3말에 요구되는 재고량 CR=정규작업에 의한 단위당 생산비 C0=잔업에 의한 단위당 생산비 Cs=단위당 하청비용 CI=단위당 기간당 재고유지비용 CB=단위당 기간당 추후납품비용(재고부족비용) 제10장 총괄계획
■ 예 제 - 수요예측과 생산능력 - 비용 및 기타자료 · 1월초 재고 = 50단위 · 4월말 재고 = 500단위 ·정규작업에 의한 단위당 생산비 = 50원 ·잔업에 의한 단위당 생산비 = 75원 ·월간 단위당 재고유지비용 = 5원 제10장 총괄계획
- 수송표와 최적해 제10장 총괄계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