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10

우주의 등대 펄서 (pulsar)

우주의 등대 펄서 (pulsar). 펄서란 ?. ' 펄서 (pulsar)' 는 ' 맥동하는 별 '(pulsating star) 이라는 이름에서 붙여진 이름이다 . 외계인이 만들어낸 인공 신호로 착각할 정도로 우주전파가 규칙적으로 ' 맥동 ' 했기 때문이다 . 하지만 이 명칭은 잘못되었는데 그 이유는 이 펄서는 수축과 팽창을 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 다음 슬라이드에서 알아 보도록 하자 . 이름의 오류. 펄서는 매우 빠르게 회전하면서 전파를 내기 때문에 우주 등대처럼 규칙적으로 깜빡인다 .

kirby
Download Presentation

우주의 등대 펄서 (pulsar)

An Image/Link below is provided (as is) to download presentation Download Policy: Content on the Website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and may not be sold / licensed / shared on other websites without getting consent from its author. Content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only. Download presentation by click this link. While downloading, if for some reason you are not able to download a presentation, the publisher may have deleted the file from their server. During download, if you can't get a presentation, the file might be deleted by the publisher.

E N D

Presentation Transcript


  1. 우주의 등대 펄서(pulsar)

  2. 펄서란? • '펄서(pulsar)'는 '맥동하는 별'(pulsating star)이라는 이름에서 붙여진 이름이다. • 외계인이 만들어낸 인공 신호로 착각할 정도로 우주전파가 규칙적으로 '맥동' 했기 때문이다. • 하지만 이 명칭은 잘못되었는데 그 이유는 이 펄서는 수축과 팽창을 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 다음 슬라이드에서 알아 보도록 하자.

  3. 이름의 오류 • 펄서는 매우 빠르게 회전하면서 전파를 내기 때문에 우주 등대처럼 규칙적으로 깜빡인다. • 벨이라는 사람이 최초로 발견한 펄서는(PSR 1919+21) 1.34초마다 한바퀴씩 자전했다. 이렇게 빠르게 회전하는 물체가 원심력에의해 사방으로 흩어지지 않으려면 천체의 밀도가 상당히 높아야한다. 예를 들어 1054년 게자리 초신성이 폭발하고 남은 펄서는 주기가 0.033초인데, 밀도가 1300억g/㎤보다 크다고 추정되었다. 이것은 우리의 손가락 마디 하나 속에 10만톤의 질량을 집어넣은 것 보다 밀도가 더 높아야 한다는 것이다. • 과학자들은 마침내 펄서가밸생왜성보다도 훨씬 단단하게 뭉친 중성자별이어야 한다는 결론을 내렸다. • 무거운 별은 말년에 초신성 폭발을 일으키는데, 이때 중성자 별이 남는다. • 중성자 별은 반지름이 10~20km이고 질량이 태양의 1.4~2.1배 정도다. • 엄청난 질량이 서울만한 공간에 집중되어있어 중성자의 밀도가 원자핵의 밀도와 같다. • 펄서는 빠르게 회전하는 중성자 별인 셈이다. • 그렇다면 펄서는 어떻게 빠르게 회전할 수 있을까?

  4. 어떻게 회전할까? • 피겨스케이팅 선수들의 스핀동작을 생각해 본다면 의외로 쉽게 찾을 수 있다. • 양팔과 한쪽 다리를 넓게 벌렸다가 몸통쪽으로 급히 오므리면 회전이 빨라진다. • 물리학의 각운동량 보존법칙 덕이다. • 선수가 팔다리 오므리듯 큰 태양이 갑자기 자그만 중성자별로 쪼그라든다면 회전이 빨라진다. • 25에 한번 씩 자전하고 반지름이 70만km인 태양이 갑자기 그대로 쪼그라들어 반지름이 12km인 중성자별이 된다면, 자전주기는 50억배나 짧아져서 10만분의 6초가된다. • 실제 중성자별은초신성 폭발을 하면서 각운동량을 상당부분 잃어버려 한바퀴 회전하는데 1초 정도 걸린다.

  5. 펄서의 발견 • 버넬이 최초로 발견한 펄서는1.34초마다 한 바퀴씩 자전했다. 이렇게 빠르게 회전하는 물체가 원심력에 따라 사방으로 흩어지지 않으려면 천체의 밀도가 매우 높아야 한다. 예를 들어 주기가 0.033초인 게자리 펄서는 밀도가 1300억g/㎤보다 큰데, 이 밀도는 손가락 마디 하나에 10만t의 질량을 넣은 것보다 큰 것이라고 한다. 과학자들은 펄서가 굉장히 단단하게 뭉친 고밀도 천체인 중성자별이어야 한다는 결론을 내렸다. 무거운 별은 최후에 초신성 폭발을 일으키고 난 뒤 중성자별을 남긴다. 중성자별은 지름이 10~20㎞이고 질량이 태양의 1.4~2.1배다. 즉 중성자별의 밀도는 원자핵의 밀도와 같은데, 이는 엄청난 질량이 서울만한 공간에 밀집해 있는 정도다. 결국 펄서는 빠르게 회전하는 중성자별이다.

  6. 펄서의 발견 2 • 1982년 미국의 천문학자들은 보통 펄서보다1000배나 빠르게 자전하는 새로운 펄서를 발견했다. 자전주기가 1.6ms(밀리초, 1ms=1000분의 1초)인 펄서를 찾아낸 것. 자전주기가 0.001~0.01초인 이런 펄서를 ‘밀리초펄서’라고 한다. 밀리초펄서는 지금까지 110개 정도 발견된 데 비해 자전주기가 0.1~10초인 보통 펄서는 약 1500개가 발견됐다. 보통 펄서의 수명은 100만~1000만 년인 반면, 밀리초펄서의 수명은 10억 년 정도로 알려졌다. 또 자기장이 강한 천체인 마그네타(magnetar)도 펄서의 일종이다. 마그네타가 달과 같은 거리에 있다면 지구상의 신용카드가 전부 무용지물이 될 정도다. 2004년 12월에는 ‘SGR 1806-20’이란 마그네타가 태양이 10만 년간 내뿜는 에너지보다 많은 양을 0.1초 만에 방출해 화제가 됐다. 한국천문연구원 안상현 박사는 “이런 폭발이 10광년 이내의 거리에서 발생한다면 지구의 오존층을 파괴할 수 있다”고 밝혔다. 하지만 다행히 지구에서 가장 가까운 마그네타는 지구에서 1만3000광년이나 떨어져 있다.

  7. 펄서의 발견

  8. 펄서의 발견

  9. 펄서의 발견

  10. 펄서의 발견

More Related